▹ 에 관한 속담 총 155 개
- 서울 사람을 못 속이면 보름을 똥을 못 눈다 : 시골 사람이 서울 사람을 못 속이면 보름 동안 똥을 못 눌 정도로 속을 태운다는 뜻으로, 시골 사람 중에 서울 사람을 속이려는 사람이 많음을 이르는 말.
- 만진중의 외 장사 : 먼지만 가득한 땅에서의 참외 장수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환경 속에서의 귀중한 존재를 이르는 말.
- 업어 온 중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의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업어 온 중 : 싫으나 괄시하기 어려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손 잰 승[중]의 비질하듯 : 동작이 빨라 무슨 일이나 되는대로 빨리 해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산 중놈 쓸 것 : 전혀 관계없는 남이 쓸 것이라는 말.
- 중 쳐 죽이고 살인한다 : 이미 죽은 송장을 때리고 사람 죽였다는 누명을 쓰게 된다는 뜻으로, 섣불리 관계하였다가 억울하게 화를 당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쇠꼬리보다 닭 대가리가 낫다 : 큰 짐승에게 붙어 꼬리 노릇 하는 것보다는 비록 작은 짐승일지라도 머리 노릇을 하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 크거나 훌륭한 것 중의 말단에 있는 것보다는 대수롭지 않은 데서라도 상석에 있는 것이 훨씬 더 나음을 이르는 말.
- 열 손가락 깨물어 다 아픈 중 새끼손가락이 제일 더 아프다 : 막냇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이 각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염병에 보리죽을 먹어야 오히려 낫겠다 : 염병은 병 중에서 가장 악질이요 보리죽 또한 가장 좋지 아니한 음식이니, 너무 어처구니없어서 논박할 필요조차 느끼지 아니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염불 못하는 중이 아궁이에 불을 땐다 : 사람은 누구나 제 능력에 따라 일을 하여야 대접도 받는다는 말.
-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 :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가 중이 되니 고기가 천하다 : 자기가 구할 때는 없던 것이 필요하지 아니하게 되자 갑자기 많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몸이 중이면 중의 행세를 하라 : 제 신분이나 분수를 지켜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녹용 대가리 베어 가는 셈 : 어떤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부분을 가로채어 가는 염치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들 중은 소금을 먹고 산 중은 나물을 먹는다 : 자기와는 아무 상관없는 일에 쓸데없이 간섭한다는 말.
- 중의 망건 사러 가는 돈이라도 : 일이 궁박하면 염치를 돌보지 않고 무슨 방법이라도 하여 힘쓰겠다는 말.
- 똥 중에 고양이 똥이 제일 구리다 : 고양이같이 간교한 성격의 인물이 제일 고약하다는 말.
- 은에서 은 못 고른다 : 은이 많지만 그 가운데서 마음에 꼭 맞는 은을 골라내지 못한다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것을 찾기란 매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이 제 머리를 못 깎는다 : 자기가 자신에 관한 일을 좋게 해결하기는 어려운 일이어서 남의 손을 빌려야만 이루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의사와 변호사는 나라에서 내놓은 도둑놈이라 : 국가의 허가를 얻어 개업하고 있는 의사와 변호사 중에 보수를 무리하게 많이 요구하는 사람이 있음을 비꼬는 말.
- 인왕산 중허리 같다 : 배가 부른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던 중도 떡 다섯 개 : 아무 일도 하지 아니하고 이익을 나누는 데는 참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식은 생물 장사 : 마치 과일 장수나 생선 장수가 물건이 썩어서 팔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처럼 자식 중에는 일찍 죽는 아이도 있고 제대로 못 자라는 아이도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몸이 중이면 중의 행세를 하라고 : 자기의 신분을 지켜 분수에 넘치는 행동을 삼가라는 말.
- 제사날 중만큼이나 구변이 좋다 : 제사 집에 와서 염불을 외우는 중만큼이나 말솜씨가 좋다는 뜻으로, 말재간이 좋아서 술술 엮어 대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팔꿈치는 물지 못한다 : ‘중이 제 머리를 못 깎는다’의 북한 속담.
- 중의 공사가 삼 일 : 고려의 정령(政令)은 사흘 만에 바뀐다는 뜻으로, 착수한 일이 자주 변경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종일 가는 길에 중도 보고 속(俗)도 본다 : 온종일 가는 길에는 중도 만나고 속인도 만난다는 뜻으로, 먼 길 가는 데는 여러 부류의 사람을 겪게 된다는 말.
-
죽은 놈[중]의 발바닥 같다
: 뻣뻣하고 싸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은 놈[중]의 발바닥 같다
: 바닥이 싸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은 중 매질하기
: 공연히 심한 짓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놈 돝고깃값 치른다
: 당치도 아니한 돈을 물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이 횟값 문다
: 당치도 아니한 돈을 물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놈은 장(長)이라도 죽으니 무덤이 있나 사니 상투가 있나
: 중의 우두머리라도 누구나 다 가질 수 있는 것조차 가지지 못한다고 중을 업신여겨 이르는 말.
-
중놈 장에 가서 성내기
: 아무 반응도 없는 데 가서 호령하고 꾸짖음을 이르는 말.
-
중놈 장에 가서 성내기
: 눈앞에서는 꼼짝도 못 하면서 안 보는 데서는 기를 올리거나 뒷말을 함을 이르는 말.
-
중다버지는 댕기치레나 하지[한다]
: 자기의 모자라는 것을 다른 것으로 억지로 채우려 한다는 말.
-
중도 개[소]도 아니다
: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라는 말.
-
중도 (아니고) 속환이도 아니다
: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라는 말.
-
중 도망은 절에(나) 가 찾지
: 행방이 묘연하여 찾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 먹을 국수는 고기를[생선을] 속에 넣고 담는다
: 남의 사정을 잘 봐주는 것이 좋다는 말.
-
중 무 상직하듯
: 중이 무를 지켜보고 있어도 소용없다는 뜻으로, 행여나 하는 기대를 가지고 지켜보고 있으나 헛일임을 이르는 말.
-
중 양식이 절 양식(이다)
: 이러나저러나 결국 마찬가지라는 말.
-
중은 절로 가면 설치(雪恥)한다
: 제 활동의 본거지로 가야 활발히 활동할 수 있다는 말.
-
중은 중이라도 절 모르는 중이라
: 제 본분을 모르는 정신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은 중이라도 절 모르는 중이라
: 꼭 알고 있어야 할 처지에 있으면서 모르고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을 보고 칼을 뽑는다
: 보잘것없는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않게 엄청나게 큰 대책을 씀을 이르는 말.
-
중을 잡아먹었나
: 알아듣지 못할 말을 입 안에서 우물거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벗고 환도 차는 격
: 군사가 복장을 다 갖추어 입은 다음에 겉에 환도를 차게 되어 있는데 중의를 벗고 환도를 차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격에 전혀 어울리지 않아 매우 어색하게 보임을 이르는 말.
-
중의 빗[망건]
: 몹시 구하기 어려운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상투
: 몹시 구하기 어려운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빗[망건]
: 중에게는 망건에 다는 관자 구멍이 필요 없다는 뜻으로, 소용없게 된 물건이나 쓸데없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관자 구멍이다
: 중에게는 망건에 다는 관자 구멍이 필요 없다는 뜻으로, 소용없게 된 물건이나 쓸데없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망건값 안 모인다
: 필요 없는 지출을 아니 하면 돈이 모일 것 같지만 실제로 그렇지도 아니하다는 말.
-
중의 법고 치듯
: 무엇을 아주 빨리 쾅쾅 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상좌 중의 법고 치듯
: 무엇을 아주 빨리 쾅쾅 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벗은 아이 마구 풀 끌어 넣듯
: 음식을 마구 먹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상투
: 쓸데없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의 이마 씻은 물
: 덤덤하고 미지근한 국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이 개고기 사 먹듯
: 돈을 조금씩 전부 써 버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이 고기 맛을 알면 절에 빈대가 안 남는다
: 억제하였던 욕망을 이루거나 무슨 좋은 일을 한번 당하면 그것에 빠져 정신을 못 차리고 덤빈다는 말.
-
중이 미우면 가사(袈裟)도 밉다
: 어떤 사람이 미우면 그에 딸린 사람까지도 밉게 보인다는 말.
-
중(이) 절 보기 싫으면 떠나야지
: 어떤 곳이나 그곳이 싫거나, 대상이 싫어지면 싫은 그 사람이 떠나야 한다는 말.
-
중이 팔양경(八陽經) 읽듯
: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혼자서 흥얼흥얼 외우는 모양을 이르는 말.
-
새벽 호랑이(가) 중이나 개를 헤아리지 않는다[아니한다]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린 중 젓국 먹이듯
: 순진한 사람을 속여서 나쁜 짓을 하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홰대 밑에 중머리 셋 앉으면 돈 안 모인다
: 집에 일 못하는 노인이 많으면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게 된다는 말.
-
취담 중에 진담이 있다
: 술에 취하여 횡설수설하는 말도 실은 제 진심을 드러낸 것임을 이르는 말.
-
유비가 한중(漢中) 믿듯
: 모든 일을 굳게 믿어 의심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불 차인 중놈 달아나듯
: 불알을 차이면 몹시 고통스럽다는 데서, 어디가 아픈지도 모르고 덮어놓고 고통스러워 날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비 맞은 중놈 중얼거리듯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낮은 소리로 불평 섞인 말을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비 맞은 중 담 모퉁이 돌아가는 소리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낮은 소리로 불평 섞인 말을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봉치에 포도군사
: 사돈의 잔치에 중이 나타남은 당치 아니하다는 뜻으로, 연회나 기타의 장소에 전연 관계없는 사람이 끼어드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골 놈은 도끼질 야지 놈은 괭이질
: ‘산중 놈은 도끼질 야지(野地) 놈은 괭이질’의 북한 속담.
-
산골 중놈 같다
: 의뭉스러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중 놈은 도끼질 야지(野地) 놈은 괭이질
: 사람은 각기 자신의 환경에 따라 하는 일이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중 놈(의) 풋농사
: 두메 화전의 어설픈 농사라는 뜻으로, 여름에는 잘된 듯 보이나 산짐승도 와서 뜯어 먹고 하여 추수할 때는 별 수확이 없게 되는 농사를 이르는 말.
-
산중에 거문고라
: 외딴 산속에 있는 거문고와 같이 어떤 자리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지기가 놀고 중이 추렴을 낸다
: 놀기는 산지기가 놀았는데 그 값은 중이 문다는 뜻으로, 아무런 관련도 없는 남의 일로 부당하게 대가를 치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지기가 놀고 중이 추렴을 낸다
: 산지기가 산을 안 지키고 민간에 내려가서 행음을 하고 중이 불공은 안 드리고 술추렴을 한다는 뜻으로, 부당하거나 엉뚱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삼경에 만난 액(이라)
: 한밤중에 뜻밖에 액을 만났다는 뜻으로, 뜻밖에 불행한 일을 당하여 고스란히 다 겪게 됨을 이르는 말.
-
뭇 닭 속의 봉황이요 새 중의 학 두루미다
: 평범한 여러 사람 가운데 뛰어난 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운 계집이 달밤에 삿갓 쓰고 다닌다
: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의 북한 속담.
-
미운 마누라가 죽젓광이에 이 죽인다
: 미워하는 중이 고깔을 바로 써도 미운데 오히려 모로 삐딱하게 쓰고 이렇게 멋을 부렸는데도 미운가 하고 묻는다는 뜻으로,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운 벌레 모로 긴다
: 미워하는 중이 고깔을 바로 써도 미운데 오히려 모로 삐딱하게 쓰고 이렇게 멋을 부렸는데도 미운가 하고 묻는다는 뜻으로,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흉한 벌레 모로 긴다
: 미워하는 중이 고깔을 바로 써도 미운데 오히려 모로 삐딱하게 쓰고 이렇게 멋을 부렸는데도 미운가 하고 묻는다는 뜻으로, 미운 것이 더욱더 미운 짓만 골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친 중놈 집 헐기다
: 당치도 않은 일에 어수선하고 분주하게 떠드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밉다니까 작두로 이마를 밀어 달란다
: ‘미운 중놈이 고깔 모로 쓰고 이래도 밉소 한다’의 북한 속담.
-
실한 과객 편에 중의 부친다
: 미덥지 못한 사람에게 어떤 긴요한 일을 부탁할 때 반어적으로 이르는 말.
-
귀머거리 솔뿌리 캐듯
: ‘귀먹은 중 마 캐듯’의 북한 속담.
-
귀먹은 중 마 캐듯
: 남이 무슨 말을 하거나 말거나 알아듣지 못한 체하고 저 하던 일만 그대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급하면 관세음보살을 왼다
: 중이건 속인이건 으레 급하면 관세음보살을 외는데, 그보다는 오히려 평소에 힘쓰고 닦아서 급한 일을 당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게 하라는 말.
-
고기 맛본 중
: 금지된 쾌락을 뒤늦게 맛보고 재미를 붙인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 중 싸대듯[쏘대듯,싸다니듯]
: 수확이 많은 가을철에 조금이라도 더 시주를 얻기 위하여 중이 바쁘게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분주히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 중의 시주 바가지 같다
: 가을에는 곡식이 풍성하여 시주도 많이 하게 되므로 시주 바가지가 가득하다는 데서, 무엇이 가득 담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지가 말 얻은 것[격]
: 자기 몸 하나도 돌보기 어려운 거지가 건사하기 힘든 말까지 가지게 되었다는 뜻으로, 괴로운 중에 더욱 괴로운 일이 생겼음을 이르는 말.
-
왜 감중련을 하였나
: 서로 어울려 다정히 지내지 아니하고 저만 따로 위엄만 차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범 잡아먹는 담비가 있다
: 산중의 왕이라고 하는 범을 잡아먹는 담비라는 작은 짐승이 있다는 뜻으로, 위에는 위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침 안개가 중 대가리 깬다
: 아침에 안개가 낀 날은 낮이 되면 중의 머리를 깰 정도로 햇빛이 쨍쨍하다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ㅈ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