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107 개
- 마음이 지척이면 천 리도 지척이라 : 서로 정이 깊고 가까우면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가깝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 마음이 천 리면 지척도 천 리라 : 서로 정이 깊지 못하면 가까이 있어도 매우 멀게 느껴짐을 이르는 말.
- 말똥을 놓아도 손맛이더라 : 비록 하찮은 것을 차리더라도 솜씨에 따라서 그 맛이 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얻은 죽에 머리가 아프다 : 변변치 못한 것이나마 남의 것을 얻어 가지게 되면 마음에 짐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이 제 발 저리다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적은 제 발이 저려서 뛴다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매 끝에 정든다 : 매를 맞거나 꾸지람을 들은 후에 더 사이가 가까워짐을 이르는 말.
- 여윈 말이 짐 탐한다 : 몸이 약한 사람이 감당하지도 못하면서 남보다 오히려 많이 가지려고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여윈 말이 짐 탐한다 : 여위고 마른 사람이 많이 먹으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예 짐 동이듯 한다 : 짐을 찬찬히 동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뉴월 장마에 호박꽃 떨어지듯 : 맥없이 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며느리 상청에서도 떡웃지짐이 제일 : 죽은 며느리를 위하여 베푸는 상청에서도 떡 위에 놓여 있는 지짐이에 신경을 쓴다는 뜻으로, 먹는 데만 정신이 팔리어 체면 차리지 않고 맛있는 것만 골라 먹는다는 말.
- 긴병에 효자 없다 : 무슨 일이거나 너무 오래 끌면 그 일에 대한 성의가 없어서 소홀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장병에 효자 없다 : 무슨 일이거나 너무 오래 끌면 그 일에 대한 성의가 없어서 소홀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길마 무거워 소 드러누울까 : 짐을 싣기 위하여 소 등에 얹는 길마가 아무리 무겁다고 한들 그것 때문에 소가 드러누울 리 없다는 뜻으로,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는 남의 일을 부질없이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길을 떠나려거든 눈썹도 빼어 놓고 가라 : 여행을 떠날 때는 조그마한 것이라도 짐이 되고 거추장스럽다는 말.
- 서울 가는 놈이 눈썹을 빼고 간다 : 여행을 떠날 때는 조그마한 것이라도 짐이 되고 거추장스럽다는 말.
- 까마귀 밥이 되다 : 거두어 줄 사람이 없이 죽어 버려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끓는 물에 냉수 부은 것 같다 : 여러 사람이 북적거리다가 갑자기 조용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귀에 짐을 지고 타나 싣고 타나 : 나귀를 타면서 자기가 가진 짐을 나귀 등에 실으면 더 무거울 것이라고 제가 지고 타지만 그것은 그대로 싣고 가는 것과 다름이 없다는 뜻으로, 이러나저러나 결과는 마찬가지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설움에 제 설움 덧짐 친다 : 남이 서러워할 때 자기의 설움까지 함께 쏟아 더 서럽게 한다는 뜻으로, 남의 설움이 더욱 북받치게 곁에서 분수없이 굴거나 남의 설움에 덩달아서 슬퍼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짐이 가벼워 보인다 : 남이 하는 일은 힘든 일이라도 자기가 하는 일보다 쉬워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가 중이 되니 고기가 천하다 : 자기가 구할 때는 없던 것이 필요하지 아니하게 되자 갑자기 많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냇가 돌 닳듯 : 세상에 시달려 성격이 약아지고 모질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우수에 풀렸던 대동강이 경칩에 다시 붙는다 : 우수를 지나 좀 따뜻해졌던 날씨가 경칩 무렵에 다시 추워짐을 이르는 말.
- 떡잎에 황이 들다 : 기세가 약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뜨물에도 아이가 든다 : 일이 여러 날 지연되기는 해도 반드시 이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은행나무도 마주 서야 연다 : 은행나무의 수나무와 암나무가 서로 바라보고 서야 열매가 열린다는 뜻으로, 사람이 마주 보고 대하여야 더 인연이 깊어짐을 이르는 말.
- 늙으면 룡마(龍馬)도 삯마만 못하다 : 날랜 용마도 늙으면 삯짐이나 끄는 삯말보다도 못하다는 뜻으로, 사람도 늙으면 기력이 약해지고 능력도 제대로 낼 수 없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사를 지내려니 식혜부터 쉰다
: 공교롭게 일이 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좁은 데 장모(丈母) 낀다
: 괄시하기 어려운 나그네가 끼어들어 생활이 부자연스러워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종이도 네 귀를 들어야 바르다
: 종이도 네 귀를 다 들어야 어느 한 귀도 처짐이 없이 판판해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힘을 합쳐야 올바르게 되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종잇장도 네 귀를 들어야 바르다
: 종이도 네 귀를 다 들어야 어느 한 귀도 처짐이 없이 판판해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힘을 합쳐야 올바르게 되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죽은 아이 눈매가 곱다
: 잃어버린 것이 더 귀하게 여겨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저씨 아저씨 하고 길짐[떡 짐]만 지운다
: 겉으로는 존경하고 친근한 척하면서 이용해 먹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가 굶으면 환관도 먹는다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벽 호랑이(가) 중이나 개를 헤아리지 않는다[아니한다]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벽 호랑이 쥐나 개나 모기나 하루살이나 하는 판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큰 바람 뒤는 고요하다
: 큰일을 치르느라고 들끓던 분위기가 일이 끝나고 잠잠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 비에 젖어 질척거리던 흙도 마르면서 단단하게 굳어진다는 뜻으로, 어떤 시련을 겪은 뒤에 더 강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빈틈에 바람이 나다
: 사이가 뜨면 아무리 두터운 정이라도 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곱사등이 짐 지나 마나
: 일을 하나 하지 않으나 별로 차이가 없다는 말.
-
사돈집과 짐바리는 골라야 좋다
: 짐바리는 실어서 한쪽으로 기울지 아니하도록 고르게 쌓아야 하듯이, 사돈집도 여러 모로 따져서 한쪽이 기울지 아니하는 비등한 집을 골라야 자식들의 행복을 위하여서나 발전을 위하여 좋은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 닭 주고 죽은 닭 바꾸기도 어렵다
: 원래 변변하지 못한 것을 구하여 오는 사람은 귀한 것을 가지고도 변변하지 못한 것조차 구하지 못하여 결국 귀한 것의 값어치만 천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물을 떠난 고기가 물을 그리워한다
: 자기 고향이나 조국을 떠나 있게 되면 고향이나 조국에 대한 그리움이 간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목장에 해금통이 깨진다
: 가장 요긴한 대목에 가서 일이 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친개 다리 틀리듯
: 미친개가 몽둥이에 얻어맞고 죽어 가면서 다리를 뒤틀듯이, 무슨 일이든지 갑자기 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방귀길 나자 보리 량식 떨어진다
: 보리밥을 먹고 잘 삭이게 되자 보리 양식이 떨어졌다는 뜻으로, 일이 공교롭게 서로 엇나가며 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백 리만 걸으면 눈섭조차 무겁다
: 먼길을 오래 걸으면 몹시 지쳐서 몸에 지닌 하찮은 것조차 무겁고 귀찮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구멍은 깎을수록 커진다
: 잘못된 일을 변명하고 얼버무리려고 하면 할수록 더욱 일이 어려워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굿하다 파한 집 같다
: 한참 법석이던 일이 있은 뒤 갑자기 고요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굿해 먹은 집 같다
: 한참 법석이던 일이 있은 뒤 갑자기 고요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싸고 싼 사향도 냄새 난다
: 재주와 덕망을 겸비한 사람은 알리지 아니하려고 하여도 저절로 알려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싸고 싼 향내도 난다
: 재주와 덕망을 겸비한 사람은 알리지 아니하려고 하여도 저절로 알려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살구도 맛 들일 탓
: 시고 떫은 개살구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신 배도 맛 들일 탓
: 시고 떫은 개살구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떫은 배도 씹어 볼 만하다
: 시고 떫은 개살구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물에 단비
: 가뭄이 들어 곡식이 다 마를 때에 기다리던 비가 온다는 뜻으로, 기다리고 바라던 일이 마침내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
가시 돋은 꽃이 더 곱다
: 그저 순하고 얌전하기만 한 여자보다도 성미가 만만찮은 여자가 더 좋게 느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게으른 놈 짐 많이 지기[진다]
: 게으른 사람이 일하기 싫어 한 번에 많이 해치우려고 하거나, 능력도 없으면서 일에 대한 욕심이 지나치게 많음을 빈정대어 이르는 말.
-
하루가 여삼추(라)
: 하루가 삼 년과 같다는 뜻으로, 짧은 시간이 매우 길게 느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하루가 열흘 맞잡이
: 하루가 삼 년과 같다는 뜻으로, 짧은 시간이 매우 길게 느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저씨 못난 것 조카 장짐 지운다
: 조금 높은 자리에 있다고 아랫사람을 되지 못하게 마구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봄 보지가 쇠 저를 녹이고 가을 좆이 쇠판을 뚫는다
: 봄에는 여자가, 가을에는 남자가 춘정(春情)이 높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끼 많은 거지 말 많은 장자
: 자식이 많으면 거지처럼 못살게 되고 말(馬)이 많으면 부자가 된다는 뜻으로, 가난한 살림에서는 자식이 많으면 살림이 매우 궁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벽달 보고 보짐 싼다
: ‘새벽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기다린다’의 북한 속담.
-
색시 짚신에 구슬 감기가 웬일인고
: 색시가 신는 하찮은 짚신에 구슬을 감다니 이게 무슨 꼴이냐는 뜻으로, 격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많은 치장을 하면 도리어 보기에 어색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 등에 못 실은 짐 벼룩 등에 실을가
: 엄청나게 큰 소 등에도 다 싣지 못한 짐을 조그만 벼룩의 등에 실을 수 있겠느냐는 뜻으로, 도저히 가능성이 없는 짓을 하려는 경우를 비꼬는 말.
-
진상 가는 꿀병[봉물짐] 얽듯
: 무엇을 소중하게 동여매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진상 가는 꿀병[봉물짐] 얽듯
: ‘얽다’라는 말이 동음어인 데서, 얼굴이 몹시 얽은 경우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 도무지 빈틈이 없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찰떡도 한두 끼
: 좋은 것도 한두 번이지 여러 번 반복되면 싫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천 리 길에는 눈섭도 짐이 된다
: 먼 길을 갈 때는 될수록 간편하게 차려야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잠자리 부접대듯 한다
: 붙었다가 금방 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장수가 엄하면 군사가 강하다
: 지휘관이 군사들을 엄한 규율과 훈련으로 단련시키면 그만큼 강해짐을 이르는 말.
-
후추는 작아도 맵다
: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재주가 뛰어나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작은 고추가 더 맵다
: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재주가 뛰어나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는 작아도 맵다
: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재주가 뛰어나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보다 후추가 더 맵다
: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재주가 뛰어나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국 고추는 작아도 맵다
: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재주가 뛰어나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작아도 후추알[고추알]
: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재주가 뛰어나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작은 탕관이 이내 뜨거워진다
: 몸집이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재주가 뛰어나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신 배도 맛 들일 탓
: 시고 떫은 배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살구도 맛 들일 탓
: 시고 떫은 배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떫은 배도 씹어 볼 만하다
: 시고 떫은 배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쓴 배[개살구,외]도 맛 들일 탓
: 시고 떫은 배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맞으면 어미 품도 들춰 본다
: 물건을 잃게 되면 누구나 다 의심스럽게 여겨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상주 되니 개고기도 흔하다
: 자기가 구할 때는 없던 것이 필요하지 아니하게 되자 갑자기 많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야윈 말이 짐 탐한다
: 제격에 어울리지 않게 욕심을 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행수 행수 하고 짐 지운다
: 겉으로는 존경하고 친근한 척하면서 이용해 먹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흘 굶은 범이 원님을 안다더냐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른논에 물 잦듯
: 마른논에 물을 대면 곧 배어들어 잦아들듯이 물건이 금세 녹아 없어짐을 이르는 말.
-
삼촌 못난이 조카 장물 짐 진다
: 못난 삼촌이 조카가 훔친 물건을 지고 따라간다는 뜻으로, 덩치는 큰 사람이 못난 짓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말에 실었던 짐을 벼룩 등에 실을까
: 힘과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무거운 책임을 지울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물 밖에 난 룡이 개미한테 물어뜯긴다
: 온갖 재주를 다 부린다는 용도 물 밖에 나오면 하찮은 개미한테 물어뜯긴다는 뜻으로, 아무리 크고 힘센 존재라도 자기의 생활 환경이나 기반을 떠나서는 무력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밀가루 장사 하면 바람이 불고 소금 장사 하면 비가 온다
: 밀가루 장사를 하려고 장을 펼치면 바람이 불어와서 가루가 날리고 소금 장사를 하려고 하면 비가 와서 소금이 녹아내린다는 뜻으로, 일이 공교롭게 매번 뒤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양이 고막 조개 보기
: 고양이가 고막 조개를 보고도 무엇인지 몰라서 보기만 한다는 뜻으로, 속내를 모르기 때문에 보기만 할 뿐 아무런 관심이나 흥미도 안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쓴 배[개살구,외]도 맛 들일 탓
: 시고 떫은 개살구도 자꾸 먹어 버릇하여 맛을 들이면 그 맛을 좋아하게 된다는 뜻으로, 정을 붙이면 처음에 나빠 보이던 것도 점차 좋아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게으른 말 짐 탐하기[탐한다]
: 게으른 사람이 일하기 싫어 한 번에 많이 해치우려고 하거나, 능력도 없으면서 일에 대한 욕심이 지나치게 많음을 빈정대어 이르는 말.
-
보리방아 찧을 때면 시어머니 생각난다
: 힘든 보리방아를 찧을 때면 한몫 맡아 일을 도와주시던 시어머니 생각이 난다는 뜻으로, 힘든 일에 부닥치면 그전에 밉게 보이던 사람도 그리워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ㅈ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