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아트
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첩
에 관한 속담 총 24 개
•
더러운 처와 악한 첩이 빈방보다 낫다
:
아무리 못된 아내라도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악
#
처
#
첩
#
아내
#
빈방
•
시앗을 보면 길가의 돌부처도 돌아앉는다
:
남편이 첩을 보면 아무리 무던한 부인도 화를 낸다는 말.
#
남편
#
화
#
시앗
#
돌부처
#
첩
#
부인
#
길가
#
무
•
길 아래 돌부처도 돌아앉는다
:
남편이 첩을 보면 아무리 무던한 부인도 화를 낸다는 말.
#
남편
#
화
#
돌부처
#
부처
#
첩
#
아래
#
부인
#
무
•
마지막 담배 한 대는 기생첩도 안 준다
:
마지막 남은 한 대의 담배는 남을 주기가 매우 아까움을 이르는 말.
#
기생
#
담배
#
마지막
#
남
#
첩
#
대
•
막대는 첩도 안 준다
:
‘마지막 담배 한 대는 기생첩도 안 준다’의 북한 속담.
#
기생
#
담배
#
마지막
#
막대
#
첩
#
대
•
길쌈 잘하는 첩
:
길쌈 잘하고 부지런한 첩이 어디 있겠느냐는 뜻으로, 괴리한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현상
#
첩
#
부지런
#
괴리
#
어디
•
길쌈 잘하는 첩
:
있을 리 없는 희망적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길쌈
#
희망
#
첩
#
리
•
동냥아치 첩도 제멋에 한다
:
세상 사람들이 다 좋다고 하는 일은 아니하고 나쁘다고 하는 일만 하는 사람을 보고 하는 말.
#
동냥
#
일
#
세상
#
사람
#
첩
#
제멋
•
두 계집 둔 놈의 똥은 개도 안 먹는다
:
첩을 둔 자의 마음은 몹시 괴로워 속이 썩는다는 말.
#
놈
#
속
#
계집
#
안
#
똥
#
첩
#
괴
#
개
#
마음
•
한 아들에 열 며느리
:
부모들이 흔히 아들이 여러 첩을 거느리는 것을 말리지 아니할 때 쓰는 말.
#
부모들
#
며느리
#
때
#
아들
#
열
#
부모
#
첩
#
리
•
한 아들에 열 며느리
:
아들이 첩을 여럿 얻어도 그 며느리들이 밉지 아니하다는 말.
#
며느리
#
첩
#
아들
#
열
#
여럿
•
겉보리를 껍질째 먹은들 시앗이야 한집에 살랴
:
아무리 고생을 하고 살망정 남편의 첩과 한집에서 살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생
#
남편
#
시앗
#
겉보리
#
껍질
#
첩
#
한집
•
봄바람은 첩의 죽은 귀신
:
봄바람이 매우 쌀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신
#
봄바람
#
귀
#
첩
•
성인군자 같은 사람도 남의 첩 노릇을 하면 변한다
:
아무리 성인군자 같은 사람도 남의 첩 노릇을 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첩살이를 하는 다른 계집들처럼 앙큼하고 요사스럽게 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군자
#
계집
#
사람
#
성인군자
#
노릇
#
성인
#
남
#
첩
#
살이
#
요사
•
참외를 버리고 호박을 먹는다
:
알뜰한 아내를 버리고 둔하고 못생긴 첩을 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참외
#
알뜰
#
호박
#
첩
#
아내
•
첩의 살림은 밑 빠진 독에 물 길어 붓기
:
첩의 살림에는 돈이 한없이 든다는 말.
#
살림
#
첩
#
돈
#
독
#
물
#
밑
•
첩 정은 삼 년 본처 정은 백 년
:
아무리 첩에 혹한 사람이라도 그것은 잠시 동안이고 그 본처는 끝내 버리지 않는다는 말.
#
백
#
본처
#
정
#
사람
#
동안
#
정은
#
년
#
첩
#
그것
#
잠시
•
작은댁네 하품은 큰댁네한테는 옮지 않는다
:
하품은 본디 쉽게 옮겨지는 법인데도 옮겨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본처와 첩 사이의 관계가 매우 좋지 않음을 이르는 말.
#
사이
#
하품
#
본처
#
법
#
관계
#
첩
•
돌부처도 꿈적인다
:
남편이 첩을 보면 아무리 무던한 부인도 화를 낸다는 말.
#
남편
#
화
#
돌부처
#
첩
#
부인
#
꿈
#
무
•
동냥치 첩도 제멋에 취한다
:
세상 사람들이 다 좋다고 하는 일은 아니하고 나쁘다고 하는 일만 하는 사람을 보고 하는 말.
#
동냥
#
일
#
세상
#
사람
#
동냥치
#
첩
#
제멋
•
발이 편하려면 버선을 크게 짓고, 집안이 편하려면 계집을 하나 둬라
:
첩을 두면 집안이 편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버선
#
계집
#
집안
#
발
#
첩
•
계집 둘 가진 놈의 창자는 호랑이도 안 먹는다
:
본처와 첩을 데리고 사는 사람은 몹시 속이 썩기 때문에 그 창자가 썩어서 호랑이도 안 먹는다는 뜻으로, 처첩을 거느리고 살자면 속이 썩어 편할 날이 없다는 말.
#
놈
#
속
#
본처
#
때문
#
계집
#
사람
#
둘
#
호랑이
#
속이
#
날
#
첩
#
처
첩
#
창자
•
며느리 시앗은 열도 귀엽고 자기 시앗은 하나도 밉다
:
흔히 아들이 첩을 얻는 것은 좋아하면서도 제 남편이 첩을 얻어 시앗을 보게 되면 못 견디어 한다는 말.
#
남편
#
며느리
#
시앗
#
아들
#
열
#
저
#
첩
•
양첩한 놈 때 굶는다
:
첩을 둔 사람은, 본집에서는 첩 집으로 첩 집에서는 본집으로 미루어 끼니를 굶는 일이 많다는 말.
#
일
#
놈
#
때
#
사람
#
집
#
끼니
#
양
#
첩
출처: 우리말샘
첩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첩
에 관련된
한자어
21개 더 보기
›
慈母(자모):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
嫡兄(적형): 첩에게서 난 아들이 정실에게서 난 형을 이르는 말.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