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아트
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출가
에 관한 속담 총 9 개
•
들 적 며느리 날 적 송아지
:
며느리는 시집올 적에만 대접을 받고 송아지는 태어날 때만 잠시 귀염을 받는다는 뜻으로, 며느리는 출가해 온 후 일만 하고 산다는 말.
#
일
#
며느리
#
출가
#
때
#
귀염
#
대접
#
날
#
후
•
딸 덕에 부원군
:
출가한 딸의 도움으로 무슨 일을 하거나 잘되는 것을 이르는 말.
#
덕
#
일
#
출가
#
딸
#
부원군
#
도움
•
딸은 산적 도둑이라 하네
:
딸은 출가한 후에도 친정에 와서 이것저것 다 가져가 마치 도둑과 같다는 말.
#
친정
#
출가
#
산적
#
딸
#
이것저것
#
도둑
#
후
•
딸은 예쁜 도적
:
딸은 키울 때나 출가한 후에도 아들보다 더 돈이 들고 친정집 세간도 축내지만, 딸에 대한 애정이 커서 그것이 도리어 예쁘게만 보임을 이르는 말.
#
도적
#
친정집
#
출가
#
때
#
세간
#
돈
#
아들
#
딸
#
그것
#
후
#
애정
•
자식은 시집 장가 보내 봐야 안다
:
자식의 부모에 대한 효성은 자식이 출가한 연후에야 비로소 알게 됨을 이르는 말.
#
시집
#
연후
#
자식
#
출가
#
효성
#
부모
#
장
•
누이네 집에 어석술 차고 간다
:
출가한 누이 집에 가면 밥을 듬뿍 퍼서 담아 주므로 어석술을 차고 가야 한다는 뜻으로, 누이 집에 가면 대접을 잘해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차고
#
출가
#
집
#
대접
#
밥
#
누이
#
술
#
가야
#
줌
•
사위 집 더부살이
:
장인이나 장모가 출가한 딸네 집에서 더부살이하기란 떳떳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이르는 말.
#
떳떳
#
어려움
#
더부살이
#
출가
#
집
#
사위
#
딸
#
장인
#
장모
•
촌 처녀 자란 것은 모른다
:
촌 처녀는 아주 어리다가도 곧 자라서 나이도 들기 전에 출가해 버린다는 말.
#
처녀
#
출가
#
나이
#
전
•
안 살이 내 살이면 천 리라도 찾아가고 밭 살이 내 살이면 십 리라도 가지 마라
:
출가하여 사는 부인들이 친정 식구는 매우 반겨서 극진히 대접하나, 시댁 식구는 달갑지 않게 여기고 대접도 소홀히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밭
#
친정
#
출가
#
식구
#
시댁
#
대접
#
천
#
부인들
#
안
#
부인
#
살이
#
함
#
리
출처: 우리말샘
출가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출가
에 관련된
한자어
5개 더 보기
›
出嫁外人(출가외인): 시집간 딸은 친정 사람이 아니고 남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
三戒(삼계): (1)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계. 청년 시절에는 여색을, 장년 시절에는 투쟁을, 노년 시절에는 이욕(利慾)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공자의 교훈이다. (2)부처의 세 가지 계율. 재가계, 출가계, 도속 공수계를 이른다.
›
沙門(사문):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을 이르는 말.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