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신 나간 미친 여자가 헤아림도 없이 있는 떡을 닥치는 대로 퍼서 돌리듯 한다는 뜻으로, 타산 없이 있는 대로 마구 내다 쓰거나 헤프게 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편
#여자
#타산
#녀편네
#대로
#모양
#정신
#대
#산
#떡
›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방에 들어갈까 부엌에 들어갈까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
#잇속
#타산
#쪽
#이익
#남
#부엌
›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방에 들어갈까 부엌에 들어갈까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
#잇속
#타산
#쪽
#이익
#장떡
#남
#부엌
#장
#떡
›
:
검은 개가 굿판에 와서 멋없이 서 있듯이 아무런 목적과 타산 없이 어떤 일에 참여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여
#개
#굿판
#일
#목적
#구경
#타산
#굿
#개가
#행동
#멋
›
:
검은 개가 굿판에 와서 멋없이 서 있듯이 아무런 목적과 타산 없이 어떤 일에 참여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여
#개
#굿판
#일
#목적
#구경
#타산
#검정개
#굿
#검정
#개가
#행동
#멋
›
:
검정개가 굿판에 와서 멋없이 서 있듯이 아무런 목적과 타산 없이 어떤 일에 참여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여
#개
#굿판
#일
#목적
#구경
#타산
#검정개
#굿
#검정
#행동
#멋
›
:
봄에 깐 병아리 중 몇 마리나 자라서 닭 구실을 할지는 가을에 가서 세어 보아야 정확하다는 뜻으로, 일의 결과를 보지 아니하고 타산만 앞세우다가는 실지와 맞지 아니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
#일
#병아리
#타산
#실지
#있음
#가을
#정확
#결과
#봄
#구실
#닭
#마리
›
:
봄에 깬 병아리를 중병아리가 되는 가을에 가서야 그 수를 세어 본다는 뜻으로, 이해타산이 어수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해타산
#병아리
#타산
#중병아리
#이해
#가을
#어수룩
#봄
›
:
소경이 앞으로 잘살아 보겠다고 타산에 골몰하여 정신없이 걸어가다가 물웅덩이에 빠져 버렸다는 옛말에서 나온 말로, 현실성 없는 이해타산에만 골몰하다가 그 타산이 허무하게 깨진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이해타산
#구구
#타산
#물웅덩이
#앞
#옛말
#이해
#구
#소경
#현실
#물
#말로
#웅덩이
#정신
#말
#허무
#골몰
›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이 장떡이 큰가 저 장떡이 큰가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잇속
#타산
#쪽
#이익
#남
#장
#떡
›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이 장떡이 큰가 저 장떡이 큰가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
#잇속
#타산
#쪽
#이익
#장떡
#남
#부엌
#장
#떡
›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이 장떡이 큰가 저 장떡이 큰가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
#잇속
#타산
#쪽
#이익
#장떡
#남
#부엌
#장
#떡
›
:
남보다 더 먹기 위하여 방에 들어갈까 부엌에 들어갈까 타산한다는 뜻으로, 어느 쪽이 더 이익이 많을까 하고 잇속을 따지느라 망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방
#잇속
#타산
#쪽
#이익
#남
#부엌
›
:
검정개가 굿판에 와서 멋없이 서 있듯이 아무런 목적과 타산 없이 어떤 일에 참여하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여
#개
#굿판
#일
#목적
#구경
#타산
#검정개
#굿
#검정
#행동
#멋
출처: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