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아트
시작
끝
초성
사전
속담
한자
명언
포함
사투리
+
형제
에 관한 속담 총 10 개
•
쇠가 쇠를 먹고 살이 살을 먹는다
:
동포 형제나 가까운 이웃, 친척끼리 서로 해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쇠
#
형제
#
동포
#
이웃
#
친척
#
살이
#
함
•
살이 살을 먹고 쇠가 쇠를 먹는다
:
동포 형제나 가까운 이웃, 친척끼리 서로 해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쇠
#
형제
#
동포
#
이웃
#
친척
#
살이
#
함
•
네 아들 형제가 내 아들 하나만 못하다
:
남의 아들 둘을 데려와도 내 아들 하나만 못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자기 아들이 잘났다고 여기는 부모의 심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심정
#
형제
#
둘
#
아들
#
남
#
부모
•
친사돈이 못된 형제보다 낫다
:
사돈은 어려운 사이이기는 하나 곤란한 경우에 도움을 받아야 할 때는 제구실을 못하는 형제보다 낫다는 말.
#
경우
#
사이
#
형제
#
곤란
#
때
#
사돈
#
도움
#
제구실
•
갈모 형제라
:
갈모의 모양이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넓은 데서, 아우가 형보다 나은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우
#
갈모
#
형제
#
형
#
위
#
모
#
아우
#
아래
#
모양
•
봄 소나기 삼 형제
:
‘소나기 삼 형제’의 북한 속담.
#
삼
#
형제
#
봄
•
소나기 삼 형제
:
소나기가 대체로 내렸다 멎었다 하면서 세 줄기로 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형제
•
네 아들 형제가 내 아들 하나만 못하다
:
남의 아들이 아무리 많아도 자기에게는 소용이 없다는 뜻으로, 필요한 물건이나 조건이 제게 꼭 갖추어져야 제 일이 수월하게 풀려나갈 수 있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일
#
수월
#
형제
#
소용
#
아들
#
필요
#
남
#
제
#
저
#
조건
#
물건
•
누가 흥(興)이야 항(恒)이야 하랴
:
제가 힘써 잡은 권세를 남이 뭐라고 말할 필요는 없다는 뜻으로, 관계없는 남의 일에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다는 말. 숙종 때에 김수흥 김수항 형제가 대신의 자리에 있음에 그 권세를 미워한 데서 나온 말이다.
#
자리
#
일
#
김수흥
#
권세
#
형제
#
흥
#
때
#
있음
#
필요
#
김수항
#
관계
#
남
#
저
#
말
#
숙종
#
대신
•
딸 삼 형제 시집보내면 좀도둑도 안 든다
:
딸은 시집보내는 비용도 많이 들고 시집간 딸들이 무엇이고 가져가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도둑도 안 들 정도로 살림이 준다는 뜻으로, 딸이 많으면 재산이 다 줄어든다는 말.
#
살림
#
재산
#
시집
#
형제
#
때문
#
딸
#
비용
#
좀도둑
#
도둑
#
무엇
#
정도
#
버릇
출처: 우리말샘
형제
스토리 보기
속담을 검색해 보세요.
(와)과 관련된
모든 속담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호랑이
130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
형제
에 관련된
한자어
68개 더 보기
›
再從叔(재종숙): 아버지의 육촌 형제.
›
同根連枝(동근연지):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말.
›
我及兄弟同受親血(아급형제동수친혈): 나와 형제(兄弟)는 한가지로 어버이의 피를 받음.
+
형제
에 관련된
명언
4개 더 보기
›
전인류가 자신의 형제라 믿지 않는 한, 그 사람은 평등의 장에서 위선적으로 헛되이 애쓸 뿐이다.
-
아담 클레이튼 파월 주니어의 명언
›
하늘은 중국의 사치와 오만에 넌더리가 났다. 나는 북쪽에서 온 오랑캐다. 나는 소몰이꾼과 목동과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음식을 먹는다. 우리는 동등한 희생을 치르고 재산을 나눠 갖는다. 나는 국가를 갓난아기로 보며 나의 병사들을 형제처럼 아끼고 돌본다.
-
칭기즈칸의 명언
›
하늘은 중국의 사치와 오만에 넌더리가 났다. 나는 북쪽에서 온 오랑캐다. 나는 소몰이꾼과 목동과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음식을 먹는다. 우리는 동등한 희생을 치르고 재산을 나눠 갖는다. 나는 국가를 갓난아기로 보며 나의 병사들을 형제처럼 아끼고 돌본다.
-
칭기즈칸의 명언
⇈
G
o
o
g
l
e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