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의 집에 더부살이하면서 제 옷도 변변히 못 입는 형편에 주인집 마누라의 속곳 마련할 걱정을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속곳
#일
#더부살이
#걱정
#옷
#주인
#마누라
#집
#주인집
#남
#저
#마련
•
:
남의 집에 더부살이하면서 제 옷도 변변히 못 입는 형편에 주인집 마누라의 속곳 마련할 걱정을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속곳
#일
#더부살이
#칠월
#옷
#걱정
#마누라
#집
#주인
#주인집
#남
#저
#마련
•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편
#비슷
#사정
#인연
#모양
#솔개
•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편
#비슷
#사정
#인연
#가재
#모양
•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편
#비슷
#사정
#인연
#가재
#모양
#초록
#빛
•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편
#비슷
#사정
#검정개
#인연
#검정
#돼지
#모양
#개
•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비슷
#한패
#사정
#검정개
#한편
#인연
#검정
#모양
#개
•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비슷
#사정
#인연
#이리
#꼬리
#개가
#모양
#개
•
:
어떤 일에 좀 익숙하여진 사람이나, 가난하다가 형편이 좀 나아진 사람이 지나치게 젠체함을 비꼬는 말.
#형편
#일
#사람
#체
#지
#개구리
#가난
#올챙이
•
:
형편이나 사정이 전에 비하여 나아진 사람이 지난날의 미천하거나 어렵던 때의 일을 생각지 아니하고 처음부터 잘난 듯이 뽐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일
#미천
#적
#때
#사람
#사정
#전
#지난날
#처음
#생각
#개구리
#올챙이
•
:
형편으로 보아 실현되기 어려운 요구나 희망을 가지지 말라는 말.
#형편
#희망
#실현
#요구
#호랑이
#말
#산
•
:
없는 형편에 빚까지 내서 굿을 하니 맏며느리가 분수 없이 굿판에 뛰어들어 춤을 춘다는 뜻으로, 어렵게 된 일을 잘하려고 노력하여야 할 사람이 도리어 엉뚱한 행동을 한다는 말.
#형편
#굿판
#일
#며느리
#사람
#맏며느리
#분수
#굿
#논
#춤
#빚
#엉뚱
#행동
#노력
#내서
•
:
매우 사리에 어둡거나 어찌 된 형편인지 아무것도 알지 못하고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사리
#아무것
#형편
•
: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형편
#풍족
#두렁
#사람
#이리
•
: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형편
#풍족
#사람
#도랑
#이리
•
: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형편
#풍족
#사람
#개천
#이리
•
:
넓은 세상의 형편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사람
#우물
#안
#개구리
•
:
•
:
•
:
심한 곤경을 당하여 몹시 어려운 형편에서 허우적거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경우
#발
#곤경
#코
•
:
빌어먹는 형편에 하늘을 보고 처지가 가련하다고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동정을 하거나 엉뚱한 일을 걱정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경우
#걱정
#일
#하늘
#비렁뱅이
#가련
#동정
#처지
#엉뚱
•
:
빌어먹는 형편에 하늘을 보고 처지가 가련하다고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동정을 하거나 엉뚱한 일을 걱정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거지
#일
#걱정
#경우
#하늘
#가련
#동정
#처지
#엉뚱
•
:
빈 외양간에 소를 들여다 매면 어떤 빈자리가 적절하게 채워지게 된다는 뜻으로, 일의 형편이나 외모가 좋아져 꼭 짜이게 잘 어울리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적절
#소
#일
#빈자리
#외모
#외양간
•
:
오랫동안 굶어서 허기진 사람은 제사에 쓸 떡조차 가릴 형편이 못 된다는 뜻으로, 사람이 궁한 처지에 이르게 되면 좋고 나쁜 것을 가리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놈
#사람
#궁
#저
#년
#처지
#제사
#떡
•
:
삼대에 걸쳐서 계속 거지 노릇만 하는 집안도 없고 계속 부자인 집안도 없다는 뜻으로, 많은 재산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으며 가난한 형편 또한 오래가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재산
#집안
#오랫동안
#노릇
#삼대
#부자
#정승
#가난
•
:
밀물이 올라올 때와 썰물이 질 때를 안다는 뜻으로, 사물의 형편이나 나아가고 물러서는 시기를 잘 알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밀물
#형편
#때
#있음
#물
#사물
#썰물
•
:
일정한 신념과 주견이 없이 기회나 형편을 엿보다가 조건이 좋은 쪽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을 비꼬는 말.
#형편
#주견
#쪽
#일정
#신념
#기회
#바람
#조건
#모양
#돛
•
:
일정한 신념과 주견이 없이 기회나 형편을 엿보다가 조건이 좋은 쪽을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을 비꼬는 말.
#형편
#주견
#쪽
#일정
#신념
#기회
#바람
#바람세
#조건
#모양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와 물결이 치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와 물결이 치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산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산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산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바람
#모양
#형세
#대
•
:
궁한 처지에 이르면 이것저것 가릴 형편이 못 되고 닥치는 대로 받아들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찬밥
#이것저것
#밥
#처지
#대
•
:
가난한 집에서는 산 사람도 배를 곯는 형편이므로 신주까지도 제사 음식을 제대로 받아 보지 못하게 된다는 뜻으로, 줄곧 굶기만 한다는 말.
#형편
#집
#사람
#배
#음식
#신주
#제사
#산
#가난
•
:
형편이나 힘이 한창 좋을 때라도 더욱 마음을 써서 힘써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때
#힘
#채찍
#말
#함
#마음
•
:
형편이나 힘이 한창 좋을 때라도 더욱 마음을 써서 힘써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때
#힘
#말
#함
#마음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의붓아버지
#일
#풍족
#때
#아버지
#가을
#넉넉
#처지
#제사
#체면
#봄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의붓아버지
#일
#풍족
#친아비
#때
#아버지
#가을
#넉넉
#의붓아비
#처지
#제사
#아비
#체면
#봄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제사를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일
#제도
#풍족
#때
#가을
#넉넉
#저
#의붓아비
#제
#처지
#제사
#아비
#체면
#봄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제사를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일
#풍족
#친아비
#때
#가을
#넉넉
#의붓아비
#처지
#제사
#아비
#체면
#봄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제사를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일
#풍족
#때
#가을
#넉넉
#저
#의붓아비
#제
#처지
#제사
#아비
#체면
#봄
•
:
•
:
친한 벗에게 줄 것 없어서 안타까워할 형편이지만 그래도 도적이 들어 훔쳐 갈 물건은 얼마든지 있다는 뜻으로, 없다 없다 하는 사람도 무엇인가 쓸 만한 것은 다 가지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도적
#사람
#있음
#얼마
#도둑
#무엇
#물건
•
:
땅만 내려다보고 다니는 삽살개에게도 하늘을 쳐다볼 날이 있다는 뜻으로,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형편이 필 날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속
#하늘
#삽살개
#땅
#생활
#있음
#날
•
:
형편이 좋을 때에 좋은 일을 많이 해서 인심을 얻어 두어야 한다는 말.
#형편
#일
#인심
#때
•
:
상대편의 요구에 응하지 아니하면 안 될 구차한 형편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있음
#요구
#속옷
#구차
#상대편
•
:
아무리 형편이 어렵더라도 뜻을 굳게 가지고 굽히지 아니하여야 끝내 성공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뜻
#있음
#성공
#꽃
•
:
살림이 아주 형편없이 가난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거지
#형편
#살림
#정
#가난
•
:
기세가 꺾여 형편없이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세
#붕어
#형편
•
:
이왕 크게 빚을 진 형편이니, 뒷일이야 어찌 되든 먹고나 보자는 말.
#형편
#이왕
#천
#빚
#뒷일
#냥
#천한
•
:
사람이 아무리 못났더라도 잘 입고 잘 먹으면 덩달아 좋아 보이기 마련이란 뜻으로, 생활 형편이나 차림새를 가지고 사람을 평가하는 것은 옳지 못함을 이르는 말.
#형편
#차림새
#놈
#사람
#생활
#평가
#마련
•
:
모양이나 형편이 서로 비슷하고 인연이 있는 것끼리 서로 잘 어울리고, 사정을 보아주며 감싸 주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편
#비슷
#사정
#인연
#돼지
#검둥개
#모양
•
:
여름내 입어 명색만 남은 중의(中衣)처럼, 형편없이 됐으면서 장담만 남아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사람
#명색
#남
#여름
#장담
#중의
•
:
유리한 생활 조건이 없어져서 형편이 아주 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유리
#생활
#물
#조건
#올챙이
•
:
형편이나 사정이 전에 비하여 나아진 사람이 지난날의 미천하거나 어렵던 때의 일을 생각지 아니하고 처음부터 잘난 듯이 뽐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일
#미천
#적
#때
#사람
#사정
#전
#지난날
#처음
#생각
#개구리
#올챙이
•
:
자기 집 사람의 형편이 몹시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어려움
#집
#사람
#남
#소경
•
:
없는 형편에 빚까지 내서 굿을 하니 맏며느리가 분수 없이 굿판에 뛰어들어 춤을 춘다는 뜻으로, 어렵게 된 일을 잘하려고 노력하여야 할 사람이 도리어 엉뚱한 행동을 한다는 말.
#형편
#굿판
#일
#며느리
#사람
#맏며느리
#분수
#굿
#춤
#빚
#엉뚱
#행동
#노력
#내서
•
:
이왕 한 일이니까 별로 만족스럽지 않아도 상황이나 형편이 허락하는 한에서 일을 해치우는 수밖에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김
#일
#이왕
#상황
#한
#발
#만족
#허락
#잠
•
:
제가 잘 알 수 있는 저의 집의 식기 뚜껑도 모르면서 남의 집의 식기 뚜껑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하는 뜻으로, 자기가 맡은 일도 잘 몰라 바빠하는 형편에 남의 일을 모르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는 말.
#형편
#뚜껑
#일
#집
#남
#저
#당연
#제집
#개
•
:
중다버지라면 댕기라도 할 수 있겠는데, 그러지 못할 만큼 머리가 짧아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할 정도로 형편이 매우 난처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형편
#중
#치레
#정
#머리
#댕기
#만큼
#난처
#정도
•
:
맞설 형편이 못 되는 아주 수준이 어린 상대한테 옥신각신 시비를 가리기보다 아량 있고 너그럽게 대하면서 양보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승리하는 것임을 이르는 말.
#형편
#아량
#승리
#시비
#옥신각신
#수준
#상대
#양보
#거
•
:
높은 곳에 놓인 물건을 잘 내릴 수 있는 키 큰 사람의 집에 내려서 먹을 만한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과 다른 유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써먹을 형편이 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놈
#집
#사람
#유리
#남
#특징
#키
#그것
#불구
#물건
•
:
비가 와서 물이 지면 산은 사태가 나 형편없는 모양이 되지만 들은 오히려 농사가 잘되어 웃는 것 같고, 날이 가물어 들이 말라붙으면 오히려 산은 헐리지 아니하여 웃는 듯하다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이 나무가 없이 벌거벗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우리나라
#농사
#산이
#물
#나라
#나무
#날
#사태
#모양
#비
#산
•
:
삼대에 걸쳐서 계속 거지 노릇만 하는 집안도 없고 계속 부자인 집안도 없다는 뜻으로, 많은 재산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으며 가난한 형편 또한 오래가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재산
#집안
#오랫동안
#부
#노릇
#삼대
#부자
#가난
•
:
바람이 부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부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바람이 부는 형세와 물결이 치는 형세에 따라 돛을 단다는 뜻으로, 세상 형편 돌아가는 대로 따르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세상
#물결
#바람
#모양
#형세
#대
#돛
•
:
남의 일에 쓸데없는 간섭을 하지 말고 되어 가는 형편을 보고 있다가 이익이나 얻도록 하라는 말.
#형편
#일
#간섭
#굿
#이익
#남
#떡
•
:
남보다 못한 형편에 있으면서 오히려 남을 비웃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못
#비웃음
#남
#개가
#개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의붓아버지
#일
#제도
#풍족
#때
#아버지
#가을
#넉넉
#저
#의붓아비
#제
#처지
#제사
#아비
#체면
#봄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의붓아버지
#일
#풍족
#때
#가을
#아버지
#넉넉
#저
#의붓아비
#제
#처지
#제사
#아비
#체면
#봄
•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제사를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양식
#일
#풍족
#때
#가을
#넉넉
#처지
#제사
#체면
#봄
•
:
도적질도 그 형편을 잘 아는 사람이 한다는 뜻으로, 잘 아는 사람이 속임수를 써서 이쪽 편을 해롭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속임수
#편
#놈
#이쪽
#도적
#도적질
#사람
#도둑놈
#함
•
:
가난하게 살던 사람이 좀 형편이 나아지면 도리어 어려운 사람을 생각할 줄 모른다는 말.
#형편
#줄
#생각
#사람
#밥술
#밥
#술
#안
#가난
•
:
처지와 형편에 맞지 않게 크게 일을 떠벌이면 안 된다는 말.
#형편
#일
#굿
#메밀
#처지
#떡
•
: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할 정도로 헐벗고 굶주린 진짜 거지라는 뜻으로,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기막힌 형편에 놓인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정
#진짜
#사람
#눈
#숨
#정도
•
:
젖을 먹이는 아이어머니는 식성이 좋아 닥치는 대로 잘 먹는데 더군다나 해가 긴 음력 삼사 월에는 이만 들어가면 돌이라도 먹을 형편이라는 뜻으로, 젖을 먹이는 어머니들이 무엇이나 가리지 아니하고 다 잘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못
#음력
#식성
#젖
#어미
#사
#아이
#무엇
#안
#대
#어머니
#애
•
:
도랑 양편에 우거진 풀을 다 먹을 수 있는 소라는 뜻으로,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소라
#형편
#양편
#풍족
#사람
#도랑
#이리
#풀
•
:
도랑 양편에 우거진 풀을 다 먹을 수 있는 소라는 뜻으로,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소라
#형편
#양편
#풍족
#사람
#도랑
#개천
#이리
#풀
•
:
도랑 양편에 우거진 풀을 다 먹을 수 있는 소라는 뜻으로,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소라
#형편
#양편
#두렁
#풍족
#사람
#도랑
#이리
#풀
•
:
눈치를 먹어 치웠으니 형편을 알 수 없다는 뜻으로, 눈치가 무디거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경우
#사
#눈치
•
:
형편이 이미 기울어 아무리 도와주어도 보람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솥
#보람
#물
•
:
남의 집에 더부살이하면서 제 옷도 변변히 못 입는 형편에 주인집 마누라의 속곳 마련할 걱정을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남의 일에 대하여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형편
#속곳
#일
#걱정
#환자
#옷
#더부살이
#마누라
#집
#주인집
#남
#저
#마련
출처: 우리말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