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을 모으기만 할 것이 아니라 쓸데는 써야 한다는 말.
#소
#담배
#쓸데
#돈
#술
#호랑이
•
:
승냥이를 내쫓는다고 문을 열었다가 더 무서운 호랑이를 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위험
#문
#직면
#승냥이
#호랑이
•
:
승냥이를 내쫓는다고 문을 열었다가 더 무서운 호랑이를 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위험
#범
#직면
#문
#떼
#승냥이
#이리
#호랑이
•
:
깊은 시골에 있는 사람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자리
#조
#사람
#시골
#남
#저
#호랑이
#이야기
#말
•
:
약한 자도 극한 상황에 이르게 되면 무서움을 모르고 마지막 힘을 다해 덤벼든다는 말.
#무서움
#상황
#골목
#강아지
#마지막
#힘
#자
#호랑이
•
:
‘여우를 피해서 호랑이를 만났다’의 북한 속담.
#여우
#이리
#호랑이
•
:
갈수록 더욱더 힘든 일을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여우
#호랑이
•
:
모든 것을 다 갖출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뿔
#송곳니
#호랑이
•
:
더운 오뉴월에는 손님 접대가 무척 어렵고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접대
#힘
#오뉴월
#손님
#호랑이
#운
•
:
상황이 극도로 어려워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할 하찮은 것을 붙들고 늘어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상황
#개미
#극도
#호랑이
#도움
#오죽
•
:
물을 찾기 어려운 깊은 산에서는 목이 마르더라도 참으라는 말.
#물
#산
#목
#호랑이
•
:
형편으로 보아 실현되기 어려운 요구나 희망을 가지지 말라는 말.
#형편
#희망
#실현
#요구
#호랑이
#말
#산
•
:
호랑이 가죽이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힘들여 애써야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상
#가죽
#있음
#껍질
#호랑이
#애
•
:
위세를 부리다가 타격을 받고 힘없게 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위세
#타격
#장수
#호랑이
#허리
•
:
무엇이나 어떤 단계에 이르면 최종적인 결과가 나타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결과
#단계
#새끼
#사람
#물
#무엇
#호랑이
•
:
이미 정하여진 팔자는 모면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말.
#속
#모면
#정
#앞
#팔자
#뒤
#호랑이
•
:
이리 떼를 막겠다고 더 무서운 호랑이를 불러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위험
#범
#직면
#이리
#호랑이
•
:
이리 떼를 막겠다고 더 무서운 호랑이를 불러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위험
#직면
#문
#떼
#승냥이
#이리
#호랑이
•
:
한국의 호랑이는 반드시 인왕산에 와 본다는 옛말에서 나온 말로, 자기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인왕산
#사람
#옛말
#말로
#호랑이
#말
•
:
•
: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범
#탈
#문제
#호랑이
#코
•
: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범
#탈
#문제
#호랑이
#침
#코
•
: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탈
#문제
#호랑이
#침
•
:
짐승도 자기 새끼를 사랑하여 그 새끼가 있는 곳을 살펴보는데 하물며 사람은 더 말할 것이 없다는 말.
#자식
#새끼
#사람
#골
#사랑
#짐승
#남
#호랑이
#말
•
:
짐승도 자기 새끼를 사랑하여 그 새끼가 있는 곳을 살펴보는데 하물며 사람은 더 말할 것이 없다는 말.
#자식
#새끼
#사람
#골
#사랑
#범
#짐승
#호랑이
#말
•
:
자식을 올바르게 기르지 못하면 큰 후환을 입게 됨을 이르는 말.
#호랑이
#자식
#후환
•
:
먹는 양은 큰데 먹은 것이 변변치 못하여 양에 차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차지
#하루살
#양
#호랑이
#셈
#쌍태
•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랑이
#환관
#무엇
#여지
#다급
#짐
•
:
•
:
•
:
김을 매지 않아 논밭에 풀이 무성함을 꾸짖거나 비꼬는 말.
#김
#풀이
#새끼
#논밭
#호랑이
•
:
•
:
근본에 따라 거기에 합당한 결과가 이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결과
#근본
#개가
#호랑이
#개
•
:
속으로 해칠 생각만 하면서 겉으로는 슬슬 달래서 환심을 사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
#함
#생각
#환심
#겉
#호랑이
#개
•
:
상대편으로 하여금 넋을 잃게 만들어 놓고 마음대로 놀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넋
#호랑이
#모양
#상대편
#개
#마음
•
:
사람은 제 자식을 예쁘다고 하는 사람을 나쁘게 대하지 아니한다는 말.
#자식
#새끼
#사람
#저
#호랑이
•
:
사람은 제 자식을 예쁘다고 하는 사람을 나쁘게 대하지 아니한다는 말.
#자식
#새끼
#사람
#사랑
#저
#호랑이
•
:
호랑이 꼬리를 잡고 그냥 있자니 힘이 달리고 놓자니 호랑이에게 물릴 것 같다는 뜻으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딱한 처지에 놓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랑이
#범
#힘
#꼬리
#처지
•
:
그런 짓을 하는 줄 다 아는데 굳이 숨기고 안 하는 체할 필요가 없다는 말.
#줄
#날고기
#필요
#체
#짓
#호랑이
•
:
‘용 가는 데 구름 가고 범 가는 데 바람 간다’의 북한 속담.
#룡
#안개
#구름
#범
#용
#바람
#호랑이
•
:
•
:
•
:
자식을 훌륭하게 기르려면 어려서부터 엄하게 하여야 한다는 말.
#훌륭
#자식
#새끼
#벼랑
#저
#호랑이
•
:
•
:
염치와 예의도 모르는 사람에게 그 사람이 좋아하는 물건을 맡겨 놓으면 영락없이 그 물건을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날고기
#사람
#염치
#호랑이
#물건
#예의
•
:
누구나 피곤할 때는 쉬어야 한다는 말.
#때
#피곤
#호랑이
•
:
일이 잘 안되고 실패만 거듭할 때는 쉬면서 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좋다는 말.
#일
#때
#기회
#실패
#거듭
#안
#호랑이
#다음
•
:
악독한 짓을 하면 꼭 응당한 벌을 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
#악독
#사람
#응당
#벌
#셋
#짓
#호랑이
•
:
•
:
아무리 밉던 사람도 죽게 되었을 때는 측은하게 여겨진다는 말.
#측은
#때
#사람
#호랑이
#불쌍
•
:
깊은 산에 있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자리
#조
#남
#저
#호랑이
#이야기
#말
#산
•
:
깊은 산에 있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자리
#소리
#조
#범
#말[소리]
#남
#저
#호랑이
#이야기
#말
#산
•
:
깊은 산에 있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자리
#놈
#조
#시골
#남
#저
#호랑이
#이야기
#말
#산
•
:
•
:
‘호랑이에게 물려 갈 줄 알면 누가 산에 갈까’의 북한 속담.
#줄
#산
#호랑이
•
:
호랑이가 말을 타고서 산수 구경을 다닌다는 뜻으로, 도저히 이루어지지 않을 허황한 일을 하려 함을 비꼬는 말.
#유람
#일
#허황
#함
#구경
#호랑이
#말
#산천
#타고
•
:
‘호랑이더러 날고기 봐 달란다’의 북한 속담.
#아이
#날고기
#호랑이
•
:
아주 든든하고 믿음직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든든
#어금니
#호랑이
•
: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긴다는 말.
#어금니
#귀
#호랑이
•
:
뛰어난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득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
#토끼
#골
#사람
#노릇
#호랑이
#득세
•
:
뛰어난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득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선생
#토끼
#사람
#노릇
#호랑이
#동산
#득세
•
:
처음부터 위험할 줄 알면 아무도 그 일을 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
#줄
#일
#위험
#처음
#호랑이
#산
•
:
•
:
좋은 일을 하고도 비난을 받거나 화를 입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비난
#경우
#일
#화
#볼기
#호랑이
•
:
칼이 잘 들지 않음을 이르는 말.
#칼
#호랑이
#개
•
:
•
:
•
:
눈앞에 당한 일이 당장 급하게 되어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위험
#코빼기
#눈앞
#당
#호랑이
#당장
•
:
몹시 위험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험
#처지
#토끼
#호랑이
•
: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의 북한 속담.
#굴
#새끼
#호자
#가야
#호랑이
•
:
집 안에서는 큰소리치고 밖에 나가서는 사람들에게 창피만 당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쥐구멍
#밖
#집
#사람
#호랑이
#횃대
#창피
#안
#밑
#사람들
•
:
주가 되는 산보다 부차적인 골이 더 크다는 뜻으로, 사리에 맞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골
#사리
#산
#호랑이
•
:
이미 피할 수 없는 일이나 피하여서는 안 되는 일을 피하려고 무모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
#일
#무모
#행동
#호랑이
#산
•
:
매우 귀한 산 호랑이의 눈썹까지도 그리울 게 없을 정도라는 뜻으로,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어 무엇 하나 아쉬운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귀
#무엇
#호랑이
#정도
#산
#눈썹
•
:
살아 있는 호랑이 눈썹을 찾는다는 뜻으로, 도저히 구할 수 없는 것을 구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산
#호랑이
#함
#눈썹
•
:
변변치 못한 부모에게서나 평범한 집안에서 뛰어난 인물이 나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삵
#집안
#인물
#부모
#호랑이
•
:
아이가 부모보다 훨씬 잘났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삵
#놀림
#아이
#부모
#호랑이
•
:
호랑이가 물을 건널 때 몹시 살을 아끼며 조심한다는 뜻으로, 자기 몸을 지나치게 아끼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조심
#때
#사람
#물
#호랑이
#몸
•
:
겪어 보지 않았거나 어리석어서 사리에 어두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줄
#사리
#어두움
#바닷가
#호랑이
#개
•
:
미친개가 날뛰다가 호랑이까지 잡는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돌아보지 않고 겁 없이 날뛰면 어떤 무서운 짓을 할지도 모른다는 말.
#미친개
#겁
#아무것
#짓
#호랑이
•
:
•
:
•
:
무슨 일이나 제때에 처리하지 아니하고 어지럽게 내버려 두면 나중에는 나쁜 결과가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밭
#풀이
#일
#새끼
#호랑이
#범
#제때
#처리
#결과
#나중
#무성
•
:
배고픈 호랑이가 원님이라고 사정을 보아주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극히 가난하고 굶주리는 지경에 이르면 아무것도 가리지 않고 분별없는 짓까지 마구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경
#사람
#사정
#아무것
#분별
#짓
#원님
#호랑이
#가난
•
:
한 가지 재화를 피하려다 도리어 더 큰 화를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화
#재화
#귀신
#호랑이
#가지
•
:
•
:
쌍태를 낳느라고 배가 홀쭉한 호랑이가 아주 적은 먹이를 잡아먹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먹는 양은 큰데 먹은 것이 변변치 못하여 양에 차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범
#차지
#양
#먹이
#배
#호랑이
#나비
#쌍태
•
:
쌍태를 낳느라고 배가 홀쭉한 호랑이가 아주 적은 먹이를 잡아먹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먹는 양은 큰데 먹은 것이 변변치 못하여 양에 차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범
#차지
#가재
#양
#먹이
#배
#호랑이
#쌍태
•
:
어수룩한 계책과 허술한 준비로 큰일을 하겠다고 덤비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계책
#큰일
#새끼
#범
#준비
#호랑이
#어수룩
•
:
•
:
•
:
범을 본 여편네가 질겁하여 범이 창구멍으로 들어오지나 않을까 걱정하여 창구멍을 틀어막는다는 뜻으로, 급한 나머지 임시변통으로 어리석게 맞추려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걱정
#범
#임시변통
#창
#나머지
#급
#변통
#여편네
#호랑이
#질겁
#모양
#창구멍
#구멍
•
: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의 북한 속담.
#삵
#왕
#토끼
#범
#골
#노릇
#호랑이
•
:
•
: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의 북한 속담.
#범
#가야
#새끼
#호랑이
•
:
상종 못할 정도로 사납고 무섭게 내지르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
#악
#못
#선불
#골
#호랑이
#상종
#정도
•
:
활동할 때를 잃어 깊은 산에 들어가야 할 호랑이라는 뜻으로, 세력을 잃고 물러나게 된 신세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새벽
#임
#신세
#때
#세력
#호랑이
#활동
#산
•
:
•
:
여럿이 떠들어 소문내면 사실이 아닌 것도 사실처럼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람
#여럿
#사실
#호랑이
#대
•
:
세상에 떠들썩하게 소문이 나면 오히려 좋지 아니한 일이 끼어들기 쉽다는 말.
#소문
#일
#세상
#등
#호랑이
출처: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