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속담 총 130 개
- 술 담배 참아 소 샀더니 호랑이가 물어 갔다 : 돈을 모으기만 할 것이 아니라 쓸데는 써야 한다는 말.
- 승냥이를 쫓는다고 호랑이에게 문을 열어 준다 : 승냥이를 내쫓는다고 문을 열었다가 더 무서운 호랑이를 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이리 떼를 막자고 범을 불러들인다 : 승냥이를 내쫓는다고 문을 열었다가 더 무서운 호랑이를 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 : 깊은 시골에 있는 사람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막다른 골목에 든 강아지 호랑이를 문다 : 약한 자도 극한 상황에 이르게 되면 무서움을 모르고 마지막 힘을 다해 덤벼든다는 말.
- 여우를 피하니까 이리가 나온다 : ‘여우를 피해서 호랑이를 만났다’의 북한 속담.
- 여우를 피해서 호랑이를 만났다 : 갈수록 더욱더 힘든 일을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송곳니를 가진 호랑이는 뿔이 없다 : 모든 것을 다 갖출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뉴월 손님은 호랑이보다 무섭다 : 더운 오뉴월에는 손님 접대가 무척 어렵고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죽하여 호랑이가 개미를 핥아 먹겠는가 : 상황이 극도로 어려워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할 하찮은 것을 붙들고 늘어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깊은 산에서 목마르다고 하면 호랑이를 본다 : 물을 찾기 어려운 깊은 산에서는 목이 마르더라도 참으라는 말.
- 깊은 산에서 목마르다고 하면 호랑이를 본다 : 형편으로 보아 실현되기 어려운 요구나 희망을 가지지 말라는 말.
- 껍질 상치 않게 호랑이를 잡을까 : 호랑이 가죽이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힘들여 애써야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허리 부러진 장수[호랑이] : 위세를 부리다가 타격을 받고 힘없게 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새끼는 자라면 사람을 물고야 만다 : 무엇이나 어떤 단계에 이르면 최종적인 결과가 나타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뒤로 오는 호랑이는 속여도 앞으로 오는 팔자는 못 속인다 : 이미 정하여진 팔자는 모면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말.
- 이리 떼를 막자고 범을 불러들인다 : 이리 떼를 막겠다고 더 무서운 호랑이를 불러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승냥이를 쫓는다고 호랑이에게 문을 열어 준다 : 이리 떼를 막겠다고 더 무서운 호랑이를 불러들이게 된다는 뜻으로, 하나의 위험을 면하려고 하다가 더 큰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가 있나 : 한국의 호랑이는 반드시 인왕산에 와 본다는 옛말에서 나온 말로, 자기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가 있나 : 그 방면에 속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라는 말.
- 자는 범[호랑이] 코 찌르기 :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는 범[호랑이] 코침 주기 :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는 호랑이 불침 놓기 :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식 둔 골[곳]에는 호랑이도 두남둔다 : 짐승도 자기 새끼를 사랑하여 그 새끼가 있는 곳을 살펴보는데 하물며 사람은 더 말할 것이 없다는 말.
- 자식 둔 골은 호랑이[범]도 돌아본다 : 짐승도 자기 새끼를 사랑하여 그 새끼가 있는 곳을 살펴보는데 하물며 사람은 더 말할 것이 없다는 말.
- 자식 잘못 기르면 호랑이만 못하다 : 자식을 올바르게 기르지 못하면 큰 후환을 입게 됨을 이르는 말.
- 쌍태 낳은 호랑이 하루살이 하나 먹은 셈 : 먹는 양은 큰데 먹은 것이 변변치 못하여 양에 차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가 굶으면 환관도 먹는다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벽 호랑이(가) 중이나 개를 헤아리지 않는다[아니한다]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벽 호랑이 쥐나 개나 모기나 하루살이나 하는 판
: 다급해지면 무엇이든지 가릴 여지가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가 새끼 치겠다
: 김을 매지 않아 논밭에 풀이 무성함을 꾸짖거나 비꼬는 말.
-
호랑이가 시장하면 코에 묻은 밥풀도 핥는다
: 위신과 체면을 차리던 사람이 배가 고프면 아무것이나 마구 먹는다는 말.
-
호랑이가 호랑이를 낳고 개가 개를 낳는다
: 근본에 따라 거기에 합당한 결과가 이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개 어르듯
: 속으로 해칠 생각만 하면서 겉으로는 슬슬 달래서 환심을 사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개 어르듯
: 상대편으로 하여금 넋을 잃게 만들어 놓고 마음대로 놀리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도 제 새끼를 곱다고 하면 물지 않는다
: 사람은 제 자식을 예쁘다고 하는 사람을 나쁘게 대하지 아니한다는 말.
-
호랑이도 제 새끼를 사랑하면 좋아한다
: 사람은 제 자식을 예쁘다고 하는 사람을 나쁘게 대하지 아니한다는 말.
-
범의 꼬리를 잡고[붙잡고] 놓지 못한다
: 호랑이 꼬리를 잡고 그냥 있자니 힘이 달리고 놓자니 호랑이에게 물릴 것 같다는 뜻으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딱한 처지에 놓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날고기 먹는 줄은 다 안다
: 그런 짓을 하는 줄 다 아는데 굳이 숨기고 안 하는 체할 필요가 없다는 말.
-
호랑이는 바람을 일으키고 룡은 안개를 일으킨다
: ‘용 가는 데 구름 가고 범 가는 데 바람 간다’의 북한 속담.
-
호랑이는 세 살 먹은 어린애가 봐도 호랑인 줄 안다
: 용맹하고 위엄 있는 존재는 누구나 알아본다는 말.
-
호랑이는 세 살 먹은 어린애가 봐도 호랑인 줄 안다
: 모질고 악독한 사람은 그 본성이 누구에게나 드러난다는 말.
-
호랑이는 제 새끼를 벼랑에서 떨어뜨려 본다[보고 기른다]
: 자식을 훌륭하게 기르려면 어려서부터 엄하게 하여야 한다는 말.
-
호랑이 담배 먹을[피울] 적
: 지금과는 형편이 다른 아주 까마득한 옛날을 이르는 말.
-
호랑이더러 날고기 봐 달란다
: 염치와 예의도 모르는 사람에게 그 사람이 좋아하는 물건을 맡겨 놓으면 영락없이 그 물건을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도 곤하면 잔다
: 누구나 피곤할 때는 쉬어야 한다는 말.
-
호랑이도 곤하면 잔다
: 일이 잘 안되고 실패만 거듭할 때는 쉬면서 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좋다는 말.
-
호랑이도 사람 셋을 잡아먹으면 귀가 째진다
: 악독한 짓을 하면 꼭 응당한 벌을 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도 새끼가 열이면 스라소니를 낳는다
: 자식이 많으면 그중에 사람 구실을 못하는 자식도 있게 마련이라는 말.
-
호랑이도 쏘아 놓고 나면 불쌍하다
: 아무리 밉던 사람도 죽게 되었을 때는 측은하게 여겨진다는 말.
-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
: 깊은 산에 있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범도 제 말[소리] 하면 온다
: 깊은 산에 있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시골 놈 제 말 하면 온다
: 깊은 산에 있는 호랑이조차도 저에 대하여 이야기하면 찾아온다는 뜻으로, 어느 곳에서나 그 자리에 없다고 남을 흉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호랑이도 제 숲만 떠나면 두리번거린다
: 아무리 유능한 사람도 환경과 조건이 바뀌면 생소하여 조심하게 된다는 말.
-
호랑이 만날 줄 알면 산에 갈가
: ‘호랑이에게 물려 갈 줄 알면 누가 산에 갈까’의 북한 속담.
-
호랑이 말 타고 산천 유람한단다
: 호랑이가 말을 타고서 산수 구경을 다닌다는 뜻으로, 도저히 이루어지지 않을 허황한 일을 하려 함을 비꼬는 말.
-
호랑이보고 아이 보아 달란다
: ‘호랑이더러 날고기 봐 달란다’의 북한 속담.
-
호랑이 어금니 같다
: 아주 든든하고 믿음직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어금니 아끼듯
: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긴다는 말.
-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
: 뛰어난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득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없는 동산에 토끼가 선생 노릇 한다
: 뛰어난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득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에게 물려 갈 줄 알면 누가 산에 갈까
: 처음부터 위험할 줄 알면 아무도 그 일을 하려 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
-
호랑이에게 물려 갈 줄 알면 누가 산에 갈까
: 누구나 처음에는 실패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말.
-
호랑이 잡고 볼기 맞는다
: 좋은 일을 하고도 비난을 받거나 화를 입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잡을 칼로 개를 잡는 것 같다
: 칼이 잘 들지 않음을 이르는 말.
-
호랑이 제 새끼 안 잡아먹는다
: 사람이 제 자식을 사랑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말.
-
호랑이 코빼기에 붙은 것도 떼어 먹는다
: 위험을 무릅쓰고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 코빼기에 붙은 것도 떼어 먹는다
: 눈앞에 당한 일이 당장 급하게 되어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랑이한테 쫓기우는 토끼
: 몹시 위험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혈에 들어가지 않고서 호자를 얻지 못한다
: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의 북한 속담.
-
횃대 밑에서 호랑이 잡고 나가서 쥐구멍 찾는다
: 집 안에서는 큰소리치고 밖에 나가서는 사람들에게 창피만 당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보다 호랑이가 더 크다
: 주가 되는 산보다 부차적인 골이 더 크다는 뜻으로, 사리에 맞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에 들어가 호랑이를 피하랴
: 이미 피할 수 없는 일이나 피하여서는 안 되는 일을 피하려고 무모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
-
산 호랑이 눈썹도 그리울 게 없다
: 매우 귀한 산 호랑이의 눈썹까지도 그리울 게 없을 정도라는 뜻으로,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어 무엇 하나 아쉬운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 호랑이 눈썹 (찾는다)
: 살아 있는 호랑이 눈썹을 찾는다는 뜻으로, 도저히 구할 수 없는 것을 구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삵이 호랑이를 낳는다
: 변변치 못한 부모에게서나 평범한 집안에서 뛰어난 인물이 나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삵이 호랑이를 낳는다
: 아이가 부모보다 훨씬 잘났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물 건너가는 호랑이
: 호랑이가 물을 건널 때 몹시 살을 아끼며 조심한다는 뜻으로, 자기 몸을 지나치게 아끼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닷가 개는 호랑이 무서운 줄 모른다
: 겪어 보지 않았거나 어리석어서 사리에 어두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친개가 호랑이 잡는다
: 미친개가 날뛰다가 호랑이까지 잡는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돌아보지 않고 겁 없이 날뛰면 어떤 무서운 짓을 할지도 모른다는 말.
-
밭에서 호랑이가 새끼 치게 되였다
: 논밭의 김을 잘 매야 함을 이르는 말.
-
밭에 풀이 무성하면 범이[호랑이가] 새끼 친다
: 논밭의 김을 잘 매야 함을 이르는 말.
-
밭에 풀이 무성하면 범이[호랑이가] 새끼 친다
: 무슨 일이나 제때에 처리하지 아니하고 어지럽게 내버려 두면 나중에는 나쁜 결과가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배고픈 호랑이가 원님을 알아보나
: 배고픈 호랑이가 원님이라고 사정을 보아주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극히 가난하고 굶주리는 지경에 이르면 아무것도 가리지 않고 분별없는 짓까지 마구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신(을) 피하려다 호랑이(를) 만난다
: 한 가지 재화를 피하려다 도리어 더 큰 화를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쌍태 낳은 호랑이가 강아지 채 먹은 듯
: ‘쌍태 낳은 호랑이 하루살이 하나 먹은 셈’의 북한 속담.
-
범 나비 잡아먹듯
: 쌍태를 낳느라고 배가 홀쭉한 호랑이가 아주 적은 먹이를 잡아먹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먹는 양은 큰데 먹은 것이 변변치 못하여 양에 차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주린 범의 가재다
: 쌍태를 낳느라고 배가 홀쭉한 호랑이가 아주 적은 먹이를 잡아먹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먹는 양은 큰데 먹은 것이 변변치 못하여 양에 차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썩은 새끼로 범[호랑이] 잡기
: 어수룩한 계책과 허술한 준비로 큰일을 하겠다고 덤비는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썩은 새끼로 범[호랑이] 잡기
: 허술한 계책으로 큰일에 성공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포수 집 개는 호랑이가 물어 가야 말이 없다
: 자신이 저지른 일로 화를 당하여야 남에게 트집을 잡지 못한다는 말.
-
호랑이 보고 창구멍 막기
: 범을 본 여편네가 질겁하여 범이 창구멍으로 들어오지나 않을까 걱정하여 창구멍을 틀어막는다는 뜻으로, 급한 나머지 임시변통으로 어리석게 맞추려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범 없는 골에 삵이 범 노릇 한다
: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의 북한 속담.
-
범 없는 산에서 오소리가 왕질한다
: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의 북한 속담.
-
범을 잡자면 범의 굴에 들어가야 한다
: ‘호랑이 굴에 가야 호랑이 새끼를 잡는다’의 북한 속담.
-
악박골 호랑이 선불 맞은 소리
: 상종 못할 정도로 사납고 무섭게 내지르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새벽 호랑이(다)
: 활동할 때를 잃어 깊은 산에 들어가야 할 호랑이라는 뜻으로, 세력을 잃고 물러나게 된 신세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선불 맞은 승냥이
: ‘선불 맞은 호랑이 (뛰듯)’의 북한 속담.
-
세 사람만 우겨 대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어 낼 수 있다
: 여럿이 떠들어 소문내면 사실이 아닌 것도 사실처럼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문난 호랑이 잔등이 부러진다
: 세상에 떠들썩하게 소문이 나면 오히려 좋지 아니한 일이 끼어들기 쉽다는 말.

▹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
#사람 2622
#경우 1317
#모양 476
#있음 459
#행동 375
#마음 361
#무엇 317
#물건 315
#생각 278
#자식 219
#아이 205
#소리 198
#처지 191
#잘못 179
#나무 163
#이익 159
#결과 156
#필요 147
#바람 145
#고양이 142
#그것 141
#자신 136
#놀림 135
#마련 133
🍇 #호랑이에 관한 130개의 속담
#세상 129
#새끼 129
#훌륭 128
#걱정 127
#조금 118
#관계 117
#자리 114
#조건 113
#사이 113
#하늘 111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ㅎ
ㄹ
ㅇ
(총 75개)
:
하래이, 하랭이, 하론업, 하릿이, 한량인, 한림아, 한림원, 할로윈, 핫라인, 해로우, 해로이, 해룡왕, 해릉왕, 해리압, 해리열, 핼러윈, 행려인, 행로인, 행릉의, 향락업, 허리옷, 허리운, 헐렁이, 헐렝이, 헤로인, 헬라어, 헬리움, 헴라인, 현륭원, 협력안, 협력인, 호라이, 호란이, 호랑연, 호랑요, 호랑이, 호래이, 호랭이, 호렝이, 호롱이, 호리이, 호림윷, 혼례일, 홀랑이, 홀랭이, 홀로이, 홀리이, 홀링이, 홈런왕, 홍로원, 화라이, 화란어, 화랑이, 화래이, 화랭이, 회례악, 회례연, 횡령액, 후라이, 후류와, 후릿이, 훈련원, 훼롱이, 휘록암, 흐락이, 흐렝이, 흐름양, 흘림이, 희랍어, 희랍인, 히로인, 힙라인, 하루 일, 훅 라인, 훈련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