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목록에서 속담 풀이를 사진과 함께 확인 가능합니다.출처: 우리말샘
공유해 주세요. 힘이 됩니다.
:
다소 방해되는 것이 있다 하더라도 마땅히 할 일은 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호박 #방해 #장마 #함 :
:
:
뜻하지 않게 생긴 행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렁 #호박 #뜻 #행운 :
뜻하지 않게 생긴 행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뜻 #우 #호박 #행운 #시렁 :
:
무슨 일이 처음부터 별로 큰 장애도 없는데 틀어져 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장애 #마파람 #처음 #호박 #꼭지 :
삶아 놓아서 물렁물렁한 호박에 송곳이 안 들어갈 리가 없다는 뜻으로, 전혀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 #사리 #호박 #리가 #송곳 #안 #말 #삶 #무 #리 :
제 것으로 만들지 못할 바에야 남도 갖지 못하게 못쓰게 만들자는 뒤틀린 마음을 이르는 말. #바 #심사 #호박 #남 #저 #마음 :
저렇게 못난 사람이라면 아예 태어나지도 못하게 짚신짝으로 틀어막을걸 잘못했다는 뜻으로, 지지리 못난 사람임을 핀잔하는 말. #임 #핀잔 #국 #호박 #사람 #짝 #짚신 #잘못 :
남의 일이 잘되어 가는 것을 시기하여 일부러 방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호박 #남 #방해 #시기 #말뚝 :
잘되어 가는 남의 일을 시기하여 훼방을 놓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호박 #훼방 #남 #손가락 #시기 :
한창 잘되어 가는 것을 훼방을 놓고 방해하는 심술 사나운 마음이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심술 #호박 #훼방 #방해 #행동 #말뚝 #마음 :
‘자라나는 호박에 말뚝 박는다’의 북한 속담. #호박 #말뚝 :
쓸데없는 일에 공연히 혼자 기를 쓰고 화를 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일 #화 #쓸데 #호박 #혼자 #기 #나물 :
기골이 약한 사람이 가벼운 것을 들고도 쩔쩔맨다는 말. #기골 #사람 #호박 #나물 :
딸이 바른길로 들어서도록 교육을 잘 시켜야 한다는 말. #교육 #넝쿨 #호박 #딸 :
한창 기세가 오를 때는 무엇이나 다 될 것 같으나 결과는 두고 보아야 안다는 말. #적 #때 #호박 #창 #덩굴 #무엇 #결과 #기세 :
심술궂고 잔혹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잔혹 #호박 #짓 #말뚝 :
아주 하기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박 #일 #말뚝 :
아주 하기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박 #일 #침 :
어떤 자극에도 아무 반응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극 #반응 #호박 #침 :
돼지가 좋아하는 호박을 쓰고 돼지 굴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아무런 방비 없이 위험에 뛰어들어 스스로 멸망의 길로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길 #위험 #호박 #멸망 #방비 :
뜻밖에 좋은 물건을 얻거나 행운을 만났다는 말. #호박 #물건 #뜻 #행운 :
뜻밖에 좋은 물건을 얻거나 행운을 만났다는 말. #뜻 #넝쿨 #호박 #행운 #물건 :
뜻밖에 좋은 물건을 얻거나 행운을 만났다는 말. #호박 #물건 #뜻 #행운 :
뜻밖에 이익이 되는 일이 생겨서 그것이 제 주머니 안으로 저절로 들어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일 #뜻 #호박 #주머니 #이익 #저 #안 #장독 #그것 :
:
물건의 가치는 크고 작은 것으로 정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호박 #가치 #사 #후추 #물건 :
귀한 산호로 기둥을 세우고 귀한 호박으로 주춧돌을 놓았다는 뜻으로, 매우 사치스럽고 호화롭게 꾸미고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추 #귀 #호박 #산호 #호화 #사치 #삶 #기둥 #주춧돌 :
삶아 놓아서 물렁물렁한 호박[무]에 이빨이 안 들어갈 리가 없다는 뜻으로, 전혀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리 #말 #여드레 #호박 #리가 #송곳 #이빨 #삶 #무 #리 :
삶아서 물렁물렁해진 호박에 침을 박는다는 뜻으로, 일이 아주 쉬움을 이르는 말. #호박 #일 #삶 #침 :
어떤 자극을 주어도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자극 #경우 #호박 #반응 #삶 #침 :
주글주글하고 뒤틀려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 #모양 #호박 #글 #꼴 :
‘삶은 무[호박]에 이(도) 안 들 소리’의 북한 속담. #소리 #호박 #안 #무 :
:
:
알뜰한 아내를 버리고 둔하고 못생긴 첩을 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외 #알뜰 #호박 #첩 #아내 :
좋은 것을 버리고 나쁜 것을 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참외 #호박 :
:
귀엽지도 아니한 것이 깡똥하니 올라앉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잎 #호박 #호박 잎 #장마 #개구리 :
저렇게 못난 사람이라면 차라리 호박이나 낳아 국이나 끓여 먹을걸 잘못했다는 뜻으로, 지지리 못난 사람임을 핀잔하는 말. #임 #핀잔 #적 #국 #호박 #사람 #짝 #짚신 #잘못 :
삶아 놓아서 물렁물렁한 호박에 송곳이 안 들어갈 리가 없다는 뜻으로, 전혀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리 #여드레 #호박 #리가 #송곳 #말 #삶 #리 :
쉬운 일도 못하는 주제에 당치 아니한 어려운 일을 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주제 #일 #하늘 #지붕 #호박 #당 #당치 #함 :
호박 넝쿨은 가지를 옮겨 놓은 데로 뻗기 마련이고 딸은 시집가면 남편을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딸을 시집보낼 때는 사윗감을 잘 골라야 한다는 말. #남편 #넝쿨 #때 #호박 #딸 #마련 #사윗감 #가지 :
한창 기세가 오를 때는 무엇이나 다 될 것 같으나 결과는 두고 보아야 안다는 말. #넝쿨 #때 #적 #호박 #창 #무엇 #결과 #기세 :
모든 일은 시작할 때부터 잘되어야 결말이 좋으며 사람도 어렸을 때부터 잘하여야 커서도 잘된다는 말. #일 #결말 #때 #시작 #호박 #사람 #떡잎 #잎 #잘 #떡 :
나이 적은 사람이 나이 많은 사람에게 버릇없이 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청개구리 #나이 #호박 #사람 #잎 #호박 잎 #버릇 :
삶아 놓아서 물렁물렁한 호박[무]에 이빨이 안 들어갈 리가 없다는 뜻으로, 전혀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리 #사리 #말 #호박 #리가 #안 #이빨 #삶 #무 #리 :
심술이 매우 고약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심술 #호박 #애 #말뚝 :
소경이 횡재라고 좋아한 것이 알고 보니 제 것이었다는 뜻으로, 이익을 보는 줄 알고 한 일이 결국은 자기 자신에게 손해가 되거나 아무런 이익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줄 #일 #손해 #결국 #호박 #이익 #저 #소경 #횡재 #자신 :
저렇게 못난 사람이라면 차라리 호박이나 낳아 국이나 끓여 먹을걸 잘못했다는 뜻으로, 지지리 못난 사람임을 핀잔하는 말. #임 #핀잔 #국 #호박 #사람 #잘못 :
호박죽이나 호박나물이 늙은이들에게 먹기 쉬울 뿐 아니라 그래도 근기가 있는 음식임을 이르는 말. #임 #늙은이 #호박 #뿐 #용 #호박 나물 #나물 #음식 #호박 죽 #근기 :
도저히 힘을 쓸 수 없는 처지에 있는 사람이 힘을 쓸 듯이 자신 있게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늙은이 #사람 #호박 #힘 #용 #호박 나물 #나물 #처지 #자신 :
집 근처 호박은 매일 보니까 자라는 줄 모르지만 숲속의 호박은 오랜만에 보기 때문에 많이 커 있는 것을 금방 알아보게 된다는 뜻으로, 한창 자랄 때의 사람이나 생물은 오랜만에 보면 몰라볼 만큼 잘 자라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줄 #숲 #속 #때문 #집 #때 #사람 #호박 #근처 #만큼 #생물 #숲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