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87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8개 세 글자:123개 네 글자:102개 다섯 글자:54개 여섯 글자 이상:69개 모든 글자: 387개

  • 슬은 높이고 뜻은 낮추어라 : (1)높은 자리에 앉게 될수록 겸손해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지위가 높을수록 마음은 낮추어 먹어야’
  • 슬자리 : (1)벼슬의 직위.
  • 슬자리 높을수록 뜻은 낮추랬다 : (1)‘벼슬은 높이고 뜻은 낮추어라’의 북한 속담.
  • 슬하기 전에 일산 준비 : (1)과거에 급제하기 전에 높은 벼슬아치들만이 쓰는 일산을 마련한다는 뜻으로, 일이 장차 어떻게 될 것인지도 모르면서 다 된 것처럼 서둘러 준비를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슬하다 : (1)벼슬아치가 되거나 벼슬길에 오르다.
  • 슬이다 : (1)벼슬을 시키다.
  • : (1)‘볏’의 방언
  • : (1)‘볏’의 방언 (2)‘볏’의 방언
  • : (1)흰쌀과 매조미쌀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못자리에 뿌리는 벼의 씨. ⇒규범 표기는 ‘볍씨’이다. (2)‘볍씨’의 북한어.
  • 씨앗 : (1)‘볍씨’의 북한어.
  • 알 가지 : (1)벼 이삭의 줄기에서 뻗은 가지 가운데 낟알이 달리는 가지. 보통 제1차 가지가 이에 해당한다.
  • 알개이 : (1)‘뉘’의 방언
  • 알갱이 : (1)‘뉘’의 방언
  • 알 떨이판 : (1)벼 탈곡기에서 탈곡된 곡립이 알맹이 상태로 탈곡실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막아 주는 판자.
  • 알락멸구 : (1)‘멸구’의 북한어.
  • 알모기 : (1)모깃과의 곤충. 암컷의 몸은 통통하며 황색이고, 눈은 검은색이다. 벼의 알에 들어가서 싹을 해친다.
  • 애나방 : (1)밤나방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1cm, 편 날개의 길이는 1.8~2.5cm이며, 몸은 검누르고 배와 뒷날개는 어두운 갈색이다. 앞날개에는 어두운 붉은 갈색의 굵은 띠가 두 줄 있다. 애벌레는 어린 벼의 잎을 갉아 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뱅어’의 방언
  • 열병 : (1)‘도열병’의 북한어.
  • 열병균 : (1)‘도열병균’의 북한어.
  • 엽권충나비 : (1)밤나방과의 곤충. 몸은 작으며, 누르스름하고 광택이 난다. 애벌레는 잎을 말아서 해친다.
  • 엽장승 : (1)물파릿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2.4mm이며, 검은 녹색이다. 애벌레는 한 해에 4~8번 발생하고 풀 속에서 번데기로 겨울을 보내며 벼를 해친다. ‘벼잎파리’로 다듬음.
  • 온상 못자리 : (1)인공적으로 온열을 가하여 벼의 모가 촉성으로 재배되도록 만든 못자리.
  • 울눈이 : (1)‘사팔뜨기’의 방언
  • : (1)‘병원’의 방언
  • 위축 바이러스 : (1)벼의 위축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입자는 약 70nm의 20면체이며 내부에 분절된 이중 가닥 사슬 아르엔에이(RNA)를 가지고 있다. 벼농사의 주요한 병해 가운데 하나이다.
  • 은무늬윗날개나방 : (1)밤나방과의 곤충. 편 날개의 길이는 3.9cm 정도이며, 갈색을 띤 황색이다. 앞날개의 가로선은 어두운 갈색이고 중앙에 은색의 큰 무늬가 두 개 있으며 배와 뒷날개는 연한 갈색이다. 애벌레는 벼의 해충으로 우리나라에도 분포한다.
  • 이삭 : (1)벼에서 꽃이 피고 꽃대의 끝에 열매가 더부룩하게 많이 열리는 부분.
  • 이삭 누룩병 : (1)쌀알에 생기는 곰팡이성 병해. 쌀알의 큰 껍질과 작은 껍질이 겹치는 부분에서 생기는 곰팡이의 포자는 벼꽃이 피면 벼 껍질에 전염되어 벼알이 여물지 못하게 한다. 이것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전염된 이삭을 제거하거나 이삭이 여무는 동안 동수은제제(銅水銀製劑) 따위를 살포해야 한다.
  • 이삭 선충병 : (1)벼의 잎 끝이 하얗게 마르는 선충병의 하나. 벼 이삭 선충이 일으키는 벼의 병해이다.
  • 이삭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 (1)교양이 있고 수양을 쌓은 사람일수록 겸손하고 남 앞에서 자기를 내세우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곡식 이삭은 익을수록[잘될수록] 고개를 숙인다’ ‘낟알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병에 찬 물은 저어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
  • 이스락 : (1)벼의 이삭
  • 이시락 : (1)벼의 이삭
  • 이앙기 : (1)못자리나 육묘 상자에서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데 이용하는 농기계. 인력용과 동력용이 있으며, 모의 생육 정도와 형태에 따라 성묘용과 중묘용이 있다.
  • 일으킴 체인 : (1)벼 수확 기계인 바인더나 콤바인에서 벼를 끼워서 일으켜 세우는 작용을 하는 체인.
  • 잎말이벌레 : (1)명밤나빗과의 곤충. 몸은 작으며, 누런 갈색이다. 애벌레는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 사이에 나타나 벼의 잎을 말고 갉아 먹는다.
  • 잎벌레 : (1)잎벌렛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암컷은 4.8mm, 수컷은 4.2mm 정도이며, 푸른빛을 띤 남색에 가슴은 누런 갈색이다. 벼의 잎을 갉아 먹는 해충으로 한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잎잠파리 : (1)나빗과의 곤충. 몸은 작고 어두운 회색이며, 알은 밀알 모양으로 흰색이다. 애벌레는 누르스름한 구더기인데 머리에 두 개의 갈고리 모양의 입이 있어 이것으로 벼를 파먹는다.
  • 잎파리 : (1)‘벼엽장승’을 다듬은 말.
  • 자벌레밤나비 : (1)‘벼애나방’의 북한어.
  • 재배 : (1)벼를 길러서 가꾸는 일. 식용을 목적으로 벼를 심어서 기르는 것을 이른다.
  • 재배 가능 지역 : (1)벼를 심어 가꿀 수 있도록 일정하게 구획된 토지의 범위.
  • 정선기 : (1)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계. 벼에서 짚 검불과 세절립 따위를 제거한 곡립만을 건조기에 공급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사용한다. 체와 기류(氣流) 선별을 조합한 선별기이다.
  • 종잎말이벌레 : (1)명나방과의 곤충. 몸과 날개는 잿빛을 띤 누런 갈색, 앞날개의 앞기슭과 바깥기슭은 갈색이다. 애벌레는 머리가 작고 둥글다. 한 해에 두세 번 발생하고 벼 그루와 볏짚 속에서 애벌레로 겨울을 보내며, 벼를 해친다.
  • 종자 : (1)꽃가루받이와 수정을 거쳐 만들어진 벼의 씨앗.
  • 종합수확기 : (1)‘콤바인’의 북한어.
  • 종합탈곡기 : (1)낟알 털기ㆍ낟알 고르기ㆍ북데기 털기ㆍ낟알 운반 따위의, 벼를 터는 모든 작업을 종합적으로 하는 기계.
  • 죽쟁이 : (1)알맹이가 들지 않은 벼 이삭. ⇒규범 표기는 ‘벼쭉정이’이다.
  • 줄기물파리 : (1)물파릿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1.5~2.3mm이며, 잿빛을 띤 검은색이다. 애벌레는 4~5mm이다. 한 해에 4~5번 발생하고 볏과 잡풀에서 애벌레로 겨울을 보낸다. 벼의 잎과 줄기를 해친다.
  • 줄무늿병 : (1)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의 하나. 벼 잎에 줄무늬가 생겨난다. 애멸구가 이 병에 걸린 볏짚을 빨아 먹은 후 다시 건강한 볏짚으로 옮겨 가 빨아 먹을 경우에 전염된다. 벼 재배에서 피해가 매우 큰 병이다.
  • 직파기 : (1)벼를 직접 논에 파종하는 농기계. 모를 기르지 않고 종자를 직접 논에 파종하므로 노력이 절감되지만, 잡초 방제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도 있다.
  • : (1)‘볏짚’의 북한어.
  • 짚단 : (1)‘볏짚단’의 북한어.
  • 짚도롱이 : (1)볏짚으로 엮어 만든 도롱이. ⇒남한 규범 표기는 ‘볏짚 도롱이’이다.
  • 짚마가리 : (1)볏짚을 이어서 지은 오두막집. ⇒남한 규범 표기는 ‘볏짚마가리’이다.
  • 짚모개신 : (1)볏짚 곡식의 이삭이 달린 부분으로 삼은 신. ⇒남한 규범 표기는 ‘볏짚모개신’이다.
  • 짚버섯 : (1)들버섯과의 송이버섯. 갓은 반 둥근 모양이었다가 점차 편평하게 펴지고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말린다. 겉면은 흰색 또는 잿빛이며 살은 육질이고 두꺼우며 식용한다. 주름은 빽빽하고 처음에는 흰색이었다가 점차 보랏빛 밤색으로 된다. 어릴 때에 갓 가장자리에 흰색의 막이 있다가 후에 터져서 자루에 가락지 모양으로 남는다. ⇒남한 규범 표기는 ‘볏짚버섯’이다.
  • 짚솜 : (1)볏짚을 원료로 하여 솜처럼 만든 상태의 섬유. ⇒남한 규범 표기는 ‘볏짚솜’이다.
  • 짚우장 : (1)볏짚으로 엮어 만든 도롱이. ⇒남한 규범 표기는 ‘볏짚우장’이다.
  • 짚이영 : (1)‘볏짚이엉’의 북한어.
  • 쩍개 : (1)‘벼훑이’의 방언
  • 쭉정이 : (1)알맹이가 들지 않은 벼 이삭.
  • 찍개 : (1)‘벼훑이’의 방언
  • 청벌레 : (1)‘벼애나방’의 북한어.
  • 코끼리벌레 : (1)바구밋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5mm 정도이며, 어두운 갈색 또는 검은색에 회색 또는 회색을 띤 갈색의 인편(鱗片)으로 덮여 있다. 머리가 작고 길게 뻗은 주둥이 끝에 굽은 더듬이가 있어 그 모양이 코끼리와 비슷하다. 애벌레는 벼의 어린뿌리를 갉아 먹는 해충이다.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키다릿병 : (1)벼의 질병 가운데 하나. 증상은 도장형, 위축형, 도장 회복형, 이상 신장형, 정지형의 다섯 가지 유형이 있다. 이 병에 걸린 벼는 거의 이삭이 패지 않고 말라 죽으며, 이삭이 팬다고 해도 잘 여물지 못한다. 푸사륨 모닐리포름(Fusarium moniliforme)이라는 불완전 세대균에 의하여 발생하며, 꽃이 피어 있는 시기에 감염되어 씨앗을 통해 전염되므로 피해가 크다. 벼를 재배하는 모든 국가에서 발생하지만 발생하는 정도는 지역, 품종, 재배 양식, 종자 소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
  • 타작 : (1)벼 이삭을 태질하거나 탈곡기에 넣어 낟알을 떨어내는 일.
  • 틀올강 : (1)‘다슬기’의 방언
  • 팔이 : (1)장사할 목적으로 벼를 사들이는 일.
  • 팔이꾼 : (1)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장사할 목적으로 벼를 사들이는 사람.
  • 팔이하다 : (1)장사할 목적으로 벼를 사들이다.
  • 포충나방 : (1)명나방과의 곤충. 앞날개는 연한 회색이고 애벌레는 벼보다는 잔디류 따위의 기타 초본류에 해를 끼친다.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1)한자 부수의 하나. ‘秀’, ‘秋’ 따위에 쓰인 ‘禾’를 이른다.
  • 황새병균 : (1)무리 육좌균의 자낭균류의 하나. 피자기는 둥근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고 겉은 거칠다. 피자기 안에 결실이 있고 자낭은 원통형이며, 자낭 포자는 길고 둥근 모양이며 격막이 보통 한 개 있다. 우리나라 북부 지대에 있는 볏과 식물에 생긴다.
  • 후리 : (1)‘벼훑이’의 방언
  • 후지 : (1)‘벼훑이’의 방언
  • 훌채 : (1)‘벼훑이’의 방언
  • 훌태 : (1)‘벼훑이’의 방언
  • 훑기 : (1)‘벼훑이’의 방언
  • 훑이 : (1)두 개의 나뭇가지나 수숫대 또는 댓가지의 한끝을 동여매어 집게처럼 만들고 그 틈에 벼 이삭을 넣고 벼의 알을 훑는 농기구.
  • 훑이기 : (1)‘벼훑이’의 북한어.
  • 훑이기계 : (1)‘벼훑이’의 북한어.
  • 흘태 : (1)‘벼훑이’의 방언
  • 흰잎마름병 : (1)벼에 세균이 기생하여 잎이 물결 모양으로 하얗게 마르는 병. 폭풍우나 뇌우가 지나간 다음에 갑자기 퍼지는데 잎의 끝에서부터 푸른 흰색 또는 회색을 띤 흰색의 반점이 커진다. 이삭이 나온 후에 발생하며 잎 전체가 말라 버린다.
  • 다 : (1)‘벼르다’의 옛말.
  • 다 : (1)‘벼슬하다’의 옛말.
1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

실전 끝말 잇기

벼로 끝나는 단어 (76개) : 흑미벼, 박달벼, 설갱벼, 설향찰벼, 원황벼, 밭벼, 토종 벼, 아랑향찰벼, 총체 벼, 자채벼, 날벼, 장벼, 소백벼, 깔끄랑벼, 미향벼, 올벼, 몽근벼, 양조벼, 겉벼, 버들올벼, 찐벼, 종잣벼, 아들벼, 뫼벼, 종자벼, 만추벼, 쭈구렉벼, 산올벼, 풋벼, 씨벼 ...
벼로 끝나는 단어는 7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8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