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4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17개 세 글자:330개 네 글자:314개 다섯 글자:147개 여섯 글자 이상:139개 😀모든 글자: 1,148개

  • 공 못 : (1)못 종류 중 하나. 경화 강철로 만들어 부러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석조, 콘크리트 따위에 박을 수 있는 못이다.
  • 공업 : (1)돌, 콘크리트, 벽돌 따위를 다루는 직업.
  • 공예 : (1)돌을 재료로 하는 공예. 활석, 대리석, 보석, 수정처럼 광택이 있는 돌 천연의 질감이 살아나도록 한다.
  • 공장 : (1)돌을 가공하는 공장.
  • 공장궁 : (1)당나라의 고사. 선승(禪僧) 석공이 승려가 찾아오면 활을 겨누어 그 인품을 시험하였는데, 삼평(三平) 곧 의충 선사가 가슴을 벌려 석공에게 그 활이 사람을 살리는 활인지 죽이는 활인지 물어 활을 버렸다고 한다.
  • 공 폐 : (1)석공들이 규산이 많이 들어 있는 먼지를 오랫동안 들이마셔서 생기는 폐병. 숨이 차고 얼굴빛이 흙처럼 검어지면서 부기가 생기고 식욕이 없어지는 증상을 보인다.
  • : (1)액과(液果)의 하나. 단단한 핵으로 싸여 있는 씨가 들어 있는 열매로, 외과피는 얇고 중과피는 살과 물기가 많다. 복숭아, 살구, 앵두 따위가 있다. 보통 하나의 방에 한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과불식 : (1)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
  • : (1)자연 석괴로 토광 내 장방형의 곽을 쌓아서 만든 것.
  • 곽 도관정 : (1)정사각형으로 쌓은 돌덧널 안에 밑바닥을 도려낸 큰 항아리를 묻어 만든 우물.
  • 곽묘 : (1)지면을 깊게 파고 자갈 따위의 석재(石材)로 덧널을 만든 무덤. 삼국 시대에 사용했으며 널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곽분 : (1)지면을 깊게 파고 자갈 따위의 석재(石材)로 덧널을 만든 무덤. 삼국 시대에 사용했으며 널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 (1)돌로 만든 관.
  • 관묘 : (1)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서 쓴 무덤. 주로 청동기 시대에 썼다.
  • 관장 : (1)청동기 시대에, 고대인들이 시체를 석관에 넣어 장사 지내던 일.
  • : (1)광물이 바위 속에 든 광산. (2)돌을 캐내는 광산. (3)주석을 파내는 광산. (4)주석이 들어 있는 광석.
  • : (1)돌멩이보다 크고 바위보다 작은 돌.
  • 괴 포장 : (1)입방체 모양의 석괴나 콘크리트 블록, 아스팔트 블록 따위를 콘크리트 기초 면 위에 깔고, 그 위를 모르타르나 모래, 역청재 따위로 덮어 다지는 일.
  • : (1)돌처럼 변하지 아니하는 굳은 교제. (2)돌로 만든 다리. (3)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석가모니가 창시한 후 동양 여러 나라에 전파된 종교. 이 세상의 고통과 번뇌를 벗어나 그로부터 해탈하여 부처가 되는 것을 궁극적인 이상으로 삼는다. 교리에 따라 대승인 북방 불교와 소승인 남방 불교로 나누는데, 동양의 문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 교리 유적 : (1)황해남도 용연군 석교리에 있는 원시 유적. 집터에서 팽이 토기, 단검, 도끼, 턱자귀, 대패, 끌, 반달 칼, 숫돌 따위가 나왔으며 그 동쪽 벌판에 20~30개의 고인돌이 떼를 이루고 있어 원시 시대 발전 과정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 : (1)돌의 가운데 부분을 오목하게 파서 만든 절구. (2)‘석유’의 방언
  • 구조 : (1)뼈대가 돌로 된 구조.
  • : (1)수나라ㆍ당나라에서 ‘타슈켄트’를 이르던 이름. 시르다리야강 상류의 오아시스에 있으며, 동서 무역의 요충지로 번영하였다.
  • : (1)바위에 붙어 사는 굴을 미네굴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바위에 뚫린 굴.
  • 굴불 : (1)석굴 사원의 내부에 새겨진 석불.
  • 굴빵가루튀기 : (1)석굴을 식초에 재웠다가 양념을 하여 밀가루와 달걀, 빵가루에 묻혀서 튀긴 요리.
  • 굴사 : (1)암벽에 굴을 파서 그 안에 불상을 안치하거나 벽면에 불상을 새겨서 만든 절. 인도에서 시작하여 아프가니스탄,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하여졌다.
  • 굴 사원 : (1)암벽에 굴을 파서 그 안에 불상을 안치하거나 벽면에 불상을 새겨서 만든 절. 인도에서 시작하여 아프가니스탄,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하여졌다.
  • 굴암 : (1)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 동쪽에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석굴 사원. 신라 경덕왕 때에 김대성이 쌓아서 만든 것으로, 화강암을 석굴 모양으로 쌓아 올려 그 위에 흙을 덮었으며, 굴 가운데 흰 화강암에 조각한 석가여래 좌상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여러 불상이 있는데, 간단하고도 기묘한 모양과 영묘함이 불교 예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불국사와 더불어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석굴암 석굴’이다.
  • 굴암 삼층 석탑 : (1)경상북도 경주시 토암산 동쪽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원형ㆍ팔각의 2층 기단 위에 탑신을 올린 것으로, 경주 석굴암 석굴에서 동북쪽으로 약 150미터 떨어진 언덕에 있다. 독특한 기단의 모습에 대해서는 유래가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조각 수법으로 보아 8세기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경주 석굴암 삼층 석탑’이다.
  • 굴 조각 : (1)바위 굴 안에 새겨 놓은 조각.
  • : (1)중세 유럽에서 쓰던 활의 하나. 돌을 쏘는 데에 썼다.
  • : (1)돗자리를 만다는 뜻으로, 빠른 기세로 영토를 휩쓸거나 세력 범위를 넓힘을 이르는 말.
  • 권지세 : (1)돗자리를 마는 기세라는 뜻으로, 세력이 빠르고 거침없이 휩쓸어 나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 권하다 : (1)빠른 기세로 영토를 휩쓸거나 세력 범위를 넓히다. 돗자리를 만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 (1)임금 또는 왕후의 무덤이나 역대 제왕의 위패를 모신 왕실의 사당 앞에 좌우 한 쌍으로 돌을 쌓아 만든 장식적인 문. 사면에 인물, 동물 따위가 새겨져 화상석(畫像石)과 비슷하며, 중국 한(漢)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 : (1)남생잇과의 하나. 거북과 비슷하나 작으며, 등은 진한 갈색의 딱지로 되어 있고 네발에는 각각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는데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있다. 6~8월에 모래 속에 구멍을 파고 4~6개의 알을 낳는다. 냇가나 연못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중국 우시 지역의 전통 연극.
  • 글다 : (1)‘시끄럽다’의 옛말.
  • : (1)돌에 박혀 있는 금.
  • 금광 : (1)석금이 나는 광산.
  • 금기 : (1)동기(銅器)와 석기(石器)를 함께 쓰던 시대.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중간기로, 동기 시대를 이렇게 이르기도 한다.
  • : (1)돌의 토대. (2)화성암의 반상(斑狀) 구조에서, 반정(斑晶) 이외의 미세한 결정이 모인 부분. (3)돌로 만든 여러 가지 생활 도구. 주로 선사 시대에 만들어진 돌 접시, 돌살촉, 돌도끼, 귀고리 따위의 유물을 이른다. (4)초벌구이를 아니하고 단번에 만들며, 잿물에 철분을 넣고 불을 약하게 하여 구운 도자기.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며, 적갈색이나 흑갈색을 띠고 있는데 토관이나 화로 따위에 쓰인다. (5)‘속히’의 방언
  • 기관 : (1)돌로 만든 여러 가지 생활 도구들이 있는 방이나 건물. 주로 선사 시대에 만들어진 돌 접시, 돌살촉, 돌도끼, 귀고리 따위의 유물들이 있다.
  • 기류 : (1)여러 종류의 석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 기 시대 : (1)돌을 이용하여 칼, 도끼 따위의 기구를 만들어 쓰던 시대. 인류 문화 발달의 첫 단계로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로 나눈다.
  • 기이다 : (1)‘섞이다’의 옛말.
  • 기 점토 : (1)석기를 만들기에 알맞은 점토. 산지에 따라 석영, 철 화합물, 알칼리 토류, 알칼리 염류 따위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 기질 토기 : (1)밀폐된 가마에서 환원염으로 단단하게 구운 토기.
  • : (1)진달랫과의 상록 관목.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의 선 모양으로 뒷면에 흰 가루가 덮여 있다. 5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이 방상(房狀)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지름 3mm 정도의 둥근 삭과(蒴果)로 가을에 익는다. 고산 식물로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높은 지대의 습한 곳에 사는데 한국 북부, 중국 북부, 일본 홋카이도, 러시아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2)진달랫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4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가지 끝에서는 모여 달린다. 여름에 흰 꽃이 가지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9월에 익는다. 잎은 ‘만병엽’이라 하여 약용한다. 높은 산 중턱의 숲속에 나는데, 한국의 지리산ㆍ울릉도ㆍ강원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3)‘송석하’의 호. (4)진달랫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2~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다. 5월에 분홍색 꽃이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10월에 익는다. 관상용이고 한국,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철쭉’이다.
  • 남꽃 : (1)석남의 꽃.
  • 남등 : (1)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우상 복엽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초여름에 작고 흰 꽃이 가지 끝에 산방(繖房) 화서로 피고 열매는 이과(梨果)로 10월에 익는다. 재목은 단단하여 세공물이나 지팡이를 만드는 데 쓰고 나무껍질과 열매는 약용한다. 깊은 산의 숲속에서 저절로 나는데 한국,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 남사내 : (1)신라 때에 유행한 노래. 군악(君樂)이었다는 유래와 제목만이 ≪삼국사기≫에 전한다. 가사와 작자는 알 수 없다.
  • 남사 부도 : (1)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석남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사리탑. 도의 국사의 사리탑으로 알려졌으며, 전체적으로 팔각형을 이루고 있다. 1962년에 해체하여 수리할 때 기단부의 가운데 받침돌에서 사리 장치를 두었던 공간이 확인되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울주 석남사 승탑’이다.
  • 남사 영산전 : (1)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석남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불전. 석가모니불과 그의 생애를 그린 그림을 모신 곳으로,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안성 석남사 영산전’이다.
  • 남엽 : (1)진달랫과에 속하는 만병초의 생약명. 잎을 약용하며 거풍(祛風), 지통, 강장, 이뇨에 효험이 있어 두통, 관절염, 생리 불순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남잎 : (1)석남의 잎. (2)만병초의 잎. 독성이 있으며 혈압을 낮추거나 열을 내리게 하고 염증을 없애는 데 쓰인다.
  • 냥짜리 말은 이발도 들어 보지 말라 : (1)너무 어리거나 값싸고 변변치 아니한 가축은 나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빨조차 들어 볼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 값어치가 없어 보이는 뻔한 것은 흥정조차 하지 말라는 말.
  • : (1)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자. (2)성욕이나 성적 흥분을 느끼지 못하는 여자.
  • 녀아 : (1)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자의 아이라는 뜻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을 이르는 말.
  • : (1)여러 해 전. (2)이해의 바로 앞의 해.
  • : (1)석기 시대에 쓰던, 돌로 만든 화살촉.
  • 노교 : (1)정재 때에 곡파무에 부르던 가사. 모두 아홉 장으로 되어 있다.
  • 뇌유 : (1)150~220℃에서 증류하여 얻는 중질의 가솔린.
  • : (1)쌓인 눈이 속으로 녹다. (2)담근 술이나 식혜 따위가 익을 때에 괴는 물방울이 속으로 사라지다. (3)‘썩다’의 옛말.
  • 다리 : (1)‘삭정이’의 방언
  • 다치다 : (1)말에 재갈을 물리고 채찍 따위로 치면서 달리다.
  • : (1)집채의 앞뒤에 오르내릴 수 있게 놓은 돌층계. (2)돌로 만든 단.
  • 단지 : (1)‘석동’의 방언
  • : (1)정상인의 임신 기간을 대략 셋으로 나눌 때 약 3개월에 해당하는 각각의 임신기. 임신 기간은 처음부터 임신이 종료될 때까지 제1 석 달, 제2 석 달, 제3 석 달로 나뉜다.
  • : (2)‘섣달’의 방언
  • 달 가는 흉 없다 : (1)남의 흉은 얼마 동안 하다가 결국에는 흐지부지되어 버리고 만다는 말.
  • 달개 : (1)중국 청나라 태평천국 운동의 지도자(?~1863). 홍수전을 좇아 익왕(翼王)으로 봉하여졌다가 나중에 태평천국과 분립하였다.
  • 달그믐 : (1)‘섣달그믐’의 방언
  • 달 장마 끝에 해빛을 본 것 같다 : (1)오래고 지루한 기간을 거쳐 비로소 반가운 일을 만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달 장마에도 개부심이 제일 : (1)끝판에 가서야 평가가 가능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끝마무리가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바위가 깊게 파여 물이 맑게 괴어 있는 곳. (2)‘이윤우’의 호. (3)‘이이’의 호. (4)황산 구리로 이루어진 황산염 광물. 삼사 정계에 속하며, 콩팥 모양 또는 종유(鐘乳) 모양으로, 유리 광택이 나고 반투명한 푸른색을 띤다. 여러 광산의 물속에서 발견되는데, 침전동(沈澱銅)의 원료 광물로서, 살충제ㆍ안료ㆍ매염제ㆍ전해액 따위로 쓰인다. (5)밀물의 물기 때문에 낀 구름.
  • 담구곡가 : (1)조선 선조 11년(1578)에 율곡 이이가 지은 연시조. 작자가 황해도 고산에 은거하고 있을 때 고산의 구곡 풍경과 감회를 읊은 것으로, 서곡 1수와 본문 9수로 되어 있으며, 주희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본떠 지었다.
  • 담집 : (1)조선 선조 때의 학자 이윤우의 시문집. 시(詩), 사(辭), 명(銘), 서(序), 차(箚), 전문(箋文), 기(記), 제문(祭文) 따위를 싣고 부록으로 실기(實記), 연보(年譜), 가장(家狀), 만장(輓章) 따위를 실었다. 6권 4책의 인본(印本).
  • : (1)돌로 기둥처럼 길게 만들어 세운 것. (2)석조 건물의 하나.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의 몸체와 감실, 갓, 보주 따위로 이루어진다.
  • : (1)돌을 쌓아 만든 밑받침. (2)‘석대하다’의 어근. (3)‘혁대’의 방언
  • 대하다 : (1)몸집이 굵고 크다.
  • : (1)높은 덕. 또는 덕이 높은 사람. (2)덕이 높은 승려.
  • : (1)석기 시대에 쓰던, 돌로 만든 칼. (2)중국 청나라의 승려ㆍ화가(1641~1720). 법명은 도제(道濟). 호는 대척자(大滌子). 산수ㆍ화훼ㆍ난죽 따위에 뛰어났으며, 작품에 <황산도권(黃山圖卷)> 따위가 있다.
  • 도 강판 : (1)냉간 압연을 한 석도용 원판 표면에 주석을 도금한 강판.
  • 도금 : (1)철판 겉면에 주석을 얇게 입히는 일.
  • 도금판 : (1)석도금을 한 얇은 철판. 주로 통조림통, 가정용 그릇, 일용품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쓴다.
  • 도기 : (1)성균관에서 저녁 식사 때에 받던 도기.
  • 도벚나무 : (1)장미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잎은 넓은 타원형이고 가지는 굵으며 회흑색을 띤다. 관상용이고 황해도의 장산곶, 대청도, 석도에 분포한다.
  • 도용 원판 : (1)석도 강판 제조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저탄소강의 강판 및 강대. 두께가 얇아 최고급 냉연 강판에 속한다.
  • : (1)‘석동’의 방언
  • : (1)화강암이나 화강 편마암 따위가 풍화 작용을 받아 푸석푸석하여진 돌. (2)‘부싯돌’의 방언 (3)‘석광’의 북한어.
  • : (1)윷놀이에서, 말이 첫 밭에서 끝 밭을 거쳐 나가는 세 번째 차례. 또는 세 번째 나는 말. (2)윷놀이에 쓰는 세 개의 말. (3)바위에 뚫린 굴.
  • 동구리 : (1)‘석동무니’의 방언
  • 동기시대 : (1)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동무니 : (1)윷놀이에서, 세 동이 한데 포개어져 가는 말.
  • 동무이 : (1)‘석동무니’의 방언
  • 동무지 : (1)‘석동무니’의 방언
  • 동바리 : (1)‘석동무니’의 방언
  • 동백이 : (1)어깨에 세 가지 색을 세 줄로 넣은 어린이용 색동저고리.
1 3 4 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석으로 끝나는 단어 (2,785개) : 잡각석, 혈석, 황동석, 재해 위험 분석, 생략값 해석, 공해 분석, 노약자석, 정체 분석, 차석, 연회석, 들석들석, 가용 좌석, 권사석, 지각적 해석, 아연 첨정석, 다차원적 분석, 널개턱석, 클러스터 분석, 운영 평가 분석, 자력분석, 전좌 분석, 목적론적 해석, 망주석, 나이테 분석, 전립선 결석, 외야석, 인비목석, 전기 화학 분석, 취약점 분석, 나무연마석 ...
석으로 끝나는 단어는 2,78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석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4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