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31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16개 세 글자:337개 네 글자:450개 다섯 글자:130개 여섯 글자 이상:184개 🦕모든 글자: 1,318개

  • 껑설껑 : (1)‘설컹설컹’의 방언
  • 꼭지 : (1)질그릇 따위의 넓죽한 꼭지.
  • : (1)소의 볼기에 붙은 고기. 구이나 회 따위에 쓴다.
  • 낏머릿살 : (1)소의 대퇴 이두근 의 상단부를 설낏에서 분리하여 정형한 부위. 채끝에 이어지는 부위로 육색이 선명하고 지방과 살코기의 비율이 적당하다. 뒷다리 중 가장 무거운 부위이다.
  • 낏살 : (1)돼지 뒷다리의 바깥쪽 넓적다리에 붙은 살. (2)소의 볼기에 붙은 고기. 구이나 회 따위에 쓴다.
  • : (1)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정월 초하룻날이다.
  • 날에 옴 오르듯 : (1)희망차고 즐거워야 할 새해 첫날부터 옴이 오른다는 뜻으로, 재수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일본 전설에 나오는 눈을 다스리는 요괴. 매우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눈 위를 떠다닌다.
  • 놀이 : (1)설날에 즐기는 놀이.
  • 놀이하다 : (1)설날에 놀이를 하다.
  • 농양 : (1)혀에 생기는 고름증. 급성 전염병에 걸린 뒤 바로 나타나거나 충치, 곤충에 물린 독, 입안염, 혀뿌리나 편도의 고름 따위가 있을 때 발생하고, 심하면 삼킴곤란ㆍ언어 장애 및 호흡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 농탕 : (1)소의 머리, 내장, 뼈다귀, 발, 도가니 따위를 푹 삶아서 만든 국. 또는 그 국에 밥을 만 음식. ⇒규범 표기는 ‘설렁탕’이다.
  • 농하다 : (1)‘실농하다’의 방언
  • 농혈 : (1)대변에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증상.
  • : (1)설날에 내리는 눈.
  • : (1)혀에서 피가 나는 병.
  • 늙은이 : (1)나이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기질이 노쇠한 사람.
  • : (1)눈과 진흙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눈이 녹아 뒤범벅이 된 진 땅. (3)‘뻐드렁니’의 방언
  • 니홍조 : (1)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이 눈이 녹으면 없어진다는 뜻으로, 인생의 자취가 눈 녹듯이 사라져 무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열매, 밥, 술 따위가 제대로 익지 아니하다. (2)잠이 모자라거나 깊이 들지 아니하다. (3)익숙하지 못하다. (4)빈틈이 있고 서투르다. (5)이치에 맞지 아니하여 모자란 데가 있다. (6)수량이 모자란 데가 있다. (7)원통하고 슬프다. ⇒규범 표기는 ‘섧다’이다. (8)걷다. 치우다. 정리하다. (9)‘설거지하다’의 방언 (10)‘변상하다’의 방언
  • 다듬이 : (1)대강대강 다듬는 다듬이질. (2)어설프고 서투르게 다그침.
  • 다듬이하다 : (1)어설프고 서투르게 다그치다.
  • 다루다 : (1)불충분하게 처리하거나 섣불리 다루다.
  • 다리 : (1)물레의 바탕 위에 세우는 두 개의 기둥. 윗부분에 구멍이 뚫려 굴통을 끼우게 되어 있다.
  • : (1)문짝을 끼워 달기 위하여 문의 양쪽에 세운 기둥. ⇒규범 표기는 ‘문설주’이다. (2)혀의 끝부분.
  • 단음 : (1)혀끝을 윗니의 뒷부분이나 윗잇몸에 대어서 내는 소리.
  • 단증 : (1)갑자기 혀가 줄어들어 말하기가 어렵게 되는 병.
  • 단 현상 : (1)말을 하려 할 때, 말문이 막히면서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지 정확하게 생각이 나지 않아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현상. 또는 전달해야 할 내용은 생각이 나면서도 말로 곧장 표현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하는 현상.
  • 달구뭄 : (1)‘섣달그믐’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설구뭄’으로도 적는다.
  • 달구뭄날 : (1)‘섣달그믐’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설구뭄날’로도 적는다.
  • 담금 : (1)반도체에 불순물을 도핑할 때 이온 이식 직후 반도체 격자에 생긴 손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약 한 시간 동안 웨이퍼를 400℃ 정도로 가열하는 일.
  • : (1)중국 송나라의 시인 소식이 후베이성 황저우(黃州)에 유배되었을 때 세운 집. 대설(大雪)을 무릅쓰고 건립하였으며, 사방의 벽에 설경(雪景)을 그렸다고 한다. (2)맛이 달고 물에 잘 녹는 결정체. 사탕수수, 사탕무 따위를 원료로 하여 만든다. ⇒규범 표기는 ‘설탕’이다.
  • : (1)담배통과 물부리 사이에 끼워 맞추는 가느다란 대. (2)볏과의 하나. 높이는 2~4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으로 줄기의 속이 비고 끝에 순이 생긴다. 여름에 가지 끝에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영과(潁果)로 가을에 익는다. 열매와 죽순은 먹고 줄기는 바구니, 조리 따위를 만든다. 한국의 중부 이남, 일본에 분포한다. (3)말의 대신이라는 뜻으로, 편지나 쪽지 따위를 쓸 때 첫머리에 쓰던 말. (4)쐐기 모양으로 펼치는 전투 대형.
  • 대형 : (1)앞에 한 부대, 뒤에 두 부대를 배치하여 앞을 뾰족하게 만든 대형.
  • 더구하다 : (1)실컷 먹다
  • : (1)‘서덜’의 방언
  • 덕밧 : (1)돌무더기와 잡초목이 얼크러진 것이 여기저기 있는 밭
  • 덕질 : (1)돌이 쌓이고 잡초목이 우거진 곳으로 통한 길
  • 데치다 : (1)충분하지 않게 데치다.
  • : (1)칼날 같은 혀라는 뜻으로, 날카로운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도리를 설명함. (3)중국 당나라의 시인(770?~830). 자는 홍도(洪度)ㆍ홍도(弘度). 청두(成都)에서 가기(歌妓)가 되었고 시문에 뛰어났으며, 원진(元稹), 백거이 등 당대의 시인과 교제하였다.
  • 도사문 : (1)설법하여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길을 보이는 승려.
  • 도하다 : (1)도리를 설명하다.
  • 도형 : (1)중국 수나라 때의 정치가(540~609). 진(陳)을 정벌할 때 고경(高熲)과 함께 공이 있었다. 양제(煬帝)의 미움을 받아 자결을 명 받았으나, 이를 실행하지 못하자 살해당하였다.
  • : (1)직접적으로, 또는 성인(聖人)이나 성물(聖物)을 통하여 하느님을 모욕하는 일. (2)사람을 더럽히거나 경멸하는 일.
  • 독하다 : (1)직접적으로, 또는 성인(聖人)이나 성물(聖物)을 통하여 하느님을 모욕하다.
  • : (1)눈 속을 파서 만든 구덩이. 눈이 많이 쌓이는 시기에 등산하는 사람들이 잠을 자거나 물건을 넣어 두기 위하여 만든다.
  • 동맥 : (1)바깥 목동맥에서 일어나 혀로 들어가, 혀에 분포하는 동맥.
  • 동맥 설골 상지 : (1)혀 동맥에서 일어나 설골을 따라 달리는 가지.
  • 동맥 설배지 : (1)혀 동맥에서 일어나 혀의 뒤쪽 뿌리 부분에 분포하는 여러 가지.
  • 되다 : (1)충분하지 아니하게 되다. (2)됨됨이나 행동이 어설프고 서투르다.
  • : (1)혀의 끝부분. (2)앞장서서 일을 주선함.
  • 두하다 : (1)앞장서서 일을 주선하다.
  • 둥하다 : (1)조금 덜 익은 느낌이 있다.
  • 드럭 : (1)‘서덜’의 방언
  • 드럭궤 : (1)위로 큰 바위나 절벽 따위로 가려져 있고 땅속으로 깊숙이 파여 들어간 굴
  • 드럭질 : (1)돌이 쌓이고 잡초목이 우거진 곳으로 통한 길
  • : (1)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여러 가지로 깨우쳐 말함.
  • 득 광고 : (1)어떤 상품의 특징이나 장점을 설명하여 소비자가 그 상품을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광고.
  • 득되다 : (1)상대편의 이야기에 따르도록 깨우쳐지다.
  • 득력 : (1)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깨우치는 힘.
  • 득술 : (1)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깨우쳐 말하는 여러 가지 기술.
  • 득 요법 : (1)의사가 정신병 환자로 하여금 스스로 증상의 원인을 이해하고 고치도록 설득하여 치료하는 방법. 강박 신경증, 히스테리 따위의 심인성 정신 질환 치료에 쓴다.
  • 득자 단계 : (1)판매 활동에서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을 사도록 설득하는 단계.
  • 득적 : (1)말로 하여 다른 사람을 납득시키는. 또는 그런 것.
  • 득적 광고 : (1)소비자에게 상표를 선호하게 하거나 상표 전환을 권유하고 상품에 관한 인식을 바꾸도록 설득하는 광고.
  • 득 조 : (1)설득을 하는 듯한 말투.
  • 득책 : (1)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깨우쳐 말하는 방책(方策).
  • 득 책임 : (1)증거가 제출되었음을 전제로 하여 배심원단으로 구성된 법원을 설득함으로써 자신에게 유리한 심증이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할 책임.
  • 득하다 : (1)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여러 가지로 깨우쳐 말하다.
  • 득형 : (1)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여러 가지로 깨우쳐 말하는 유형.
  • 득 화법 : (1)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깨우쳐 말하는 방법.
  • 듣다 : (1)충분하지 아니하게 듣다.
  • : (1)동지섣달에 태어난 사람
  • 디디다 : (1)디디지 아니하여야 할 곳을 서두르다가 잘못 디디다.
  • 땅을[자리를] 잃다 : (1)존재 기반이 없어지다.
  • 땅이[자리가] 없다 : (1)존재 근거가 없다.
  • 때 궂긴 아이가 날 때도 궂긴다 : (1)배 속에 처음 생길 때부터 힘든 아이는 태어날 때도 고생한다는 뜻으로, 처음 시작이 순조롭지 못하면 내내 순조롭지 못함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설 제 궂긴 아이가 날 제도 궂긴다’
  • 때다 : (1)‘설때우다’의 준말.
  • 때리다 : (1)필요한 정도에 미치지 못한 채로 그만두다. ⇒규범 표기는 ‘설치다’이다. (2)충분하지 않게 때리다.
  • 때우다 : (1)만족스럽지는 아니하나 어설프게 한 것으로 쳐서 넘기다.
  • 떠름하다 : (1)분명하지 아니하고 떨떠름하다.
  • : (1)설날에 해 먹는 떡.
  • : (1)‘설두’의 방언
  • 뚝멀뚝이 : (1)자연스럽지 못하고 매우 서먹서먹하게
  • 뚝멀뚝하다 : (1)‘서름서름하다’의 방언
  • : (1)‘설뚱하다’의 어근.
  • 뚱멀뚱하다 : (1)사이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매우 서먹서먹하다. ⇒규범 표기는 ‘서름서름하다’이다.
  • 뚱하다 : (1)마음이나 분위기가 들뜨고 어수선하다.
  • 뜨다 : (1)발효가 제대로 되지 못하다. (2)밥 따위에서 쌀알이 푹 퍼지게 제대로 뜸이 들지 못하다.
  • 뜨리다 : (1)필요한 정도에 미치지 못한 채로 그만두다. ⇒규범 표기는 ‘설치다’이다.
  • : (1)중국 당나라에서, ‘신라’를 이르던 말.
  • 라마 : (1)‘서라말’의 음역어.
  • 라믄 : (1)‘설랑’에 보조사 ‘은’이 결합한 말. ‘설랑’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낸다. ⇒규범 표기는 ‘설랑은’이다.
  • : (1)혓바닥에 염증이 생겨서 혀 점막이 벗어지는 증상.
  • : (1)‘서랍’의 방언
  • 랑설랑 : (1)팔을 가볍게 저으면서 걷는 모양
  • 랑은 : (1)‘설랑’에 보조사 ‘은’이 결합한 말. ‘설랑’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낸다.
  • : (1)눈이 내린 분량.
  • 량계 : (1)눈이 내린 양을 재는 기구. 쌓인 눈의 중량 또는 질량을 측정하거나, 눈을 전부 녹여서 적설 상당의 강우량을 측정한다.
  • 러불다 : (1)‘서릊다’의 방언
1 2 3 5 6 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설로 끝나는 단어 (2,897개) : 삽설, 기소 청탁설, 전용 시설, 여성 소설, 철학 소설, 새끼받이시설, 강설, 인정 소설, 전택설, 보관 시설, 수정 법률 요건 분류설, 녹색 세계 가설, 린 건설, 민족주의 소설, 종설, 천년 왕국설, 손돌 전설, 합리적 기대 가설, 의성어설, 고딕 소설, 공동 처리 시설, 명백성 보충 요건설, 완전설, 리만 가설, 라이프 사이클 가설, 공항 시설, 공항 외부 탑승 수속 시설, 목욕 시설, 련애소설, 연합 가설 ...
설로 끝나는 단어는 2,897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설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31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