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724개

한 글자:1개 두 글자:51개 세 글자:161개 네 글자:215개 다섯 글자:103개 여섯 글자 이상:193개 모든 글자: 724개

  • 이문론 : (1)삼론(三論)의 하나. 용수보살이 지은 책이다. 모든 것이 공(空)하다는 것을 열두 가지 면으로 나누어 자세히 해설하였다.
  • 이박자 : (1)단순 삼박자가 두 개 합쳐서 이루어진 복합 박자. 주로 8분의12 박자가 많이 쓰인다.
  • 이버꾸 : (1)풍물놀이에서, 열두 명의 버꾸재비로 구성되는 경우의 맨 마지막 사람. 또는 그 버꾸.
  • 이 번 갈림증 : (1)테시어(Tessier, P.)가 1976년에 분류한 머리 얼굴 갈림증의 한 종류. 대개 벌집뼈굴이 횡적으로 넓어져 두 눈 먼거리증이 있고, 눈썹 내측 끝 바로 가쪽이 갈라져 있다.
  • 이부 : (1)중국 서위 문제(文帝) 때 제정된 관서 총명. 문제 대통(大統) 12년(346)에 상서(尙書) 삼십육 조(三十六曹)를 천관부(天官府)의 선부(膳部)ㆍ계부(計部), 지관부(地官府)의 민부(民部), 춘관부(春官部)의 예부(禮部)ㆍ악부(樂部), 하관부(夏官部)의 이부(吏部)ㆍ병부(兵部)ㆍ가부(駕部), 추관부(秋官部)의 형부(刑部)ㆍ번부(蕃部)ㆍ빈부(賓部), 동관부(冬官部)의 공부(工部) 따위로 바꾸었다.
  • 이부경 : (1)부처의 일생 동안의 가르침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열둘로 나눈 것. 수다라, 기야, 가타, 우타나, 이제왈다가, 사타가, 아부타달마, 아파타나, 우바제사, 이타나, 비불략, 화가라이다.
  • 이분 : (1)충분한 정도를 훨씬 넘는 정도로.
  • 이 분 걷기 테스트 : (1)체력 측정 평가 방법의 하나. 전신 지구력을 측정하는 종목이다. 쿠퍼(Cooper, K.)가 고안해 낸 검사 방법으로, 12분간 트랙을 걷는 거리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많은 피검자를 측정할 수 있으며 검사 비용이 적게 드는 검사 방법이다.
  • 이분경 : (1)부처의 일생 동안의 가르침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열둘로 나눈 것. 수다라, 기야, 가타, 우타나, 이제왈다가, 사타가, 아부타달마, 아파타나, 우바제사, 이타나, 비불략, 화가라이다.
  • 이분교 : (1)부처의 일생 동안의 가르침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열둘로 나눈 것. 수다라, 기야, 가타, 우타나, 이제왈다가, 사타가, 아부타달마, 아파타나, 우바제사, 이타나, 비불략, 화가라이다.
  • 이 분 달리기 테스트 : (1)체력 측정 평가 방법의 하나. 전신 지구력을 측정하는 종목이다. 쿠퍼(Cooper, K.)가 고안해 낸 검사 방법으로, 12분간 트랙을 달린 거리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많은 피검자를 측정할 수 있으며 검사 비용이 적게 드는 검사 방법이다.
  • 이사 : (1)조선 초기에, 의흥삼군부의 십사에서 확장ㆍ개편한 군제(軍制). (2)구한말에, 개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통리기무아문 아래 둔 열두 기구. 사대(事大), 교린(交鄰), 군무(軍務), 변정(邊政), 통상(通商), 군물(軍物), 기계(機械), 선함(船艦), 기연(譏沿), 어학(語學), 전선(典選), 이용(利用)이다.
  • 이 사도 : (1)예수를 따르던 열두 명의 제자. 베드로, 안드레, 야고보, 요한, 빌립, 바돌로매, 도마, 마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다대오, 가나안의 시몬, 유다를 이른다.
  • 이 사화 : (1)조선 시대에 일어난 열두 사화. 계유사화, 병자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신사사화, 을사사화, 정미사화, 기유사화, 계축사화, 기사사화, 신임사화를 이른다.
  • 이 상원 : (1)약사여래가 수행할 때 세운 열두 가지 서원(誓願). 모든 사람에게 광명이 넘치고 모습이 원만하고, 모든 일이 생각대로 되며, 한없이 베풀고, 외도를 믿는 자는 불도로, 소승은 대승으로 이끌어 들이고, 청정한 수행을 하는 이가 삼취 정계(三聚淨戒)를 갖추며, 육체의 불구자들을 완전케 하고, 온갖 병을 없애고, 남자 몸을 받아 성불하며, 정견(正見)에 안립(安立)하고, 중생이 재난에서 벗어나며, 음식이 넉넉하고 불법을 들어 안락한 상태에 있으며, 가난한 이가 아름다운 옷 얻기를 바라는 것이다.
  • 이 성좌 : (1)황도대에 있는 열두 별자리. 이에는 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가 있다.
  • 이수 : (1)십이지(十二支)에 따른 열두 종류의 동물.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이다.
  • 이승 : (1)가는 올로 매우 곱게 짠 모시.
  • 이시 : (1)하루를 열둘로 나누어 십이지(十二支)의 이름을 붙여 이르는 시간.
  • 이신 : (1)점을 치는 맹인(盲人)이나 무당이 경을 욀 때 부르는 신장. (2)구나(驅儺)할 때 쥐ㆍ소ㆍ호랑이ㆍ토끼ㆍ용ㆍ뱀ㆍ말ㆍ양ㆍ원숭이ㆍ닭ㆍ개ㆍ돼지 형상의 탈을 쓴 나자(儺者)들.
  • 이 신왕 : (1)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열두 마리의 동물, 즉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로 상징된다.
  • 이 신장 : (1)점을 치는 맹인(盲人)이나 무당이 경을 욀 때 부르는 신장. (2)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열두 마리의 동물, 즉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로 상징된다.
  • 이 십이면체 : (1)열두 개의 정오각형과 열두 개의 오목 정오각형으로 이루어진 오목한 준정다면체.
  • 이 연기 : (1)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 연문 : (1)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 연생 : (1)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 열국 : (1)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열두 나라. 노(魯), 위(衛), 진(晉), 정(鄭), 조(曹), 채(蔡), 연(燕), 제(齊), 진(陳), 송(宋), 초(楚), 진(秦)이다.
  • 이월 : (1)한 해 열두 달 가운데 맨 끝 달. (2)음력으로 한 해의 맨 끝 달.
  • 이월가 : (1)조선 시대의 월령체 가사. 남녀 간의 정을 월별로 읊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이 월건 : (1)십이지(十二支)를 일 년 열두 달에 짝 지어 놓은 것. 음력 1월은 인(寅), 2월은 묘(卯), 3월은 진(辰), 4월은 사(巳), 5월은 오(午), 6월은 미(未), 7월은 신(申), 8월은 유(酉), 9월은 술(戌), 10월은 해(亥), 11월은 자(子), 12월은 축(丑)과 짝 짓는다. 단, 윤달이 있을 때는 차례를 위로 올린다.
  • 이월 결산 법인 : (1)결산을 12월에 하는 기업. 일반적으로 1월부터 12월까지를 한 회계 연도로 삼아 결산하는 기업이 가장 많다.
  • 이월당원 : (1)1825년 12월에 러시아에서 최초의 근대적 혁명을 꾀하였던 자유주의자들. 러시아어로 12월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하였으며, 나폴레옹 전쟁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받아들인 청년 장교들이 모체가 되어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 이 월령가 : (1)조선 시대의 월령체 가사. 남녀 간의 정을 월별로 읊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이월파문학 : (1)러시아의 12월 당원, 또는 그들과 비슷한 사상을 지닌 작가들이 창작한 문학. 18세기 초반 러시아의 진보 문학을 대표한다.
  • 이 유생 : (1)중생이 태어나는 열두 가지 형태. 태생(胎生), 난생(卵生), 습생(濕生), 화생(化生), 유색(有色), 무색(無色), 유상(有想), 무상(無想), 비유색(非有色), 비무색(非無色), 비유상(非有想), 비무상(非無想)이다.
  • 이 육 퍼텐셜 : (1)중성 원자나 중성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모사하기 위한 수학적 모형 퍼텐셜. 두 입자 사이 거리의 여섯 제곱에 반비례하는 항과 열두 제곱에 반비례하는 항 사이의 차이로 나타낸다.
  • 이 육 포텐셜 : (1)중성 원자나 중성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모사하기 위한 수학적 모형 퍼텐셜. 두 입자 사이 거리의 여섯 제곱에 반비례하는 항과 열두 제곱에 반비례하는 항 사이의 차이로 나타낸다. ⇒규범 표기는 ‘십이 육 퍼텐셜’이다.
  • 이율 : (1)동양 음악에서 열두 음의 이름. 육률(六律)과 육려(六呂)가 있다.
  • 이율관 : (1)오래된 해죽(海竹)으로 만든 악기.
  • 이음 : (1)한 옥타브 안에 있는 열두 개의 반음(半音). 반음계를 구성한다.
  • 이음 기법 : (1)열두 음을 써서 작곡하는 방법.
  • 이음 음계 : (1)열두 개의 반음으로 이루어지는 음계. 원음과 파생음을 구별하지 않고 12음을 모두 동등하게 다룬다.
  • 이음음렬 : (1)‘십이음 음계’의 북한어.
  • 이음 음악 : (1)20세기 초에 쇤베르크가 창시한 12음 기법을 바탕으로 만든 음악. 한 옥타브 안의 열두 음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이를 바탕으로 악곡을 구성해 가는 방법으로, 종래의 7음계, 조성, 화음 따위를 거부하며, 현대 음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 이이십면체 : (1)열두 개의 정오각형과 스무 개의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볼록한 준정다면체.
  • 이 인생 : (1)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 인연 : (1)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입 : (1)일체의 마음의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곳. 인식 주관인 육근(六根)과 인식 대상인 육경(六境)을 말하며, 이 두 가지의 접촉에 따라 모든 생각이 일어난다.
  • 이 입처 : (1)일체의 마음의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근거가 되는 곳. 인식 주관인 육근(六根)과 인식 대상인 육경(六境)을 말하며, 이 두 가지의 접촉에 따라 모든 생각이 일어난다.
  • 이자 : (1)‘지지’를 달리 이르는 말.
  • 이 잡가 : (1)경기 좌창에 속하는 열두 잡가. 팔잡가와 잡잡가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유산가>ㆍ<적벽가>ㆍ<제비가>ㆍ<소춘향가>ㆍ<집장가>ㆍ<형장가>ㆍ<평양가>ㆍ<선유가>ㆍ<달거리>ㆍ<십장가>ㆍ<방물가>ㆍ<출인가> 따위가 있다.
  • 이장 : (1)고대 중국의 천자(天子)의 의복에 붙였던 열두 가지의 장식 무늬. 일월(日月), 성신(星辰), 산(山), 용(龍) 따위를 수놓았다.
  • 이장걸이 : (1)지붕 귀에 선자 서까래 열두 개를 건 모양.
  • 이장문 : (1)황제의 전통 의상에 수놓은 12가지 문양. 일(日), 월(月), 성신(星辰), 산(山), 용(龍), 화(火), 화충(華蟲), 조(藻), 분미(粉米), 보(黼), 불(黻) 종이(宗彝)로 황제의 12가지 통치 이념을 상징한다.
  • 이장복 : (1)황제의 통치 이념을 상징하는 12가지 문양을 수놓은 제복.
  • 이 제국 : (1)천도교에서, 이 세상에 있는 모든 나라를 이르는 말.
  • 이 제자 : (1)예수를 따르던 열두 명의 제자. 베드로, 안드레, 야고보, 요한, 빌립, 바돌로매, 도마, 마태,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다대오, 가나안의 시몬, 유다를 이른다.
  • 이주 : (1)고려 성종 2년(983)에 둔 열두 지방관. 황주, 해주, 양주(楊州), 광주(廣州),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昇州), 진주, 상주에 두었다.
  • 이지 : (1)‘지지’를 달리 이르는 말. 그 수효가 열둘인 데서 나왔다. (2)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지권 : (1)남아프리카 원산의 백합과 다육 식물. 키가 10~15cm 정도로 작고 덤불 형태로 자라며, 약 68종이 분포한다.
  • 이지상 : (1)십이지를 상징하며 각각 방향과 시간을 맡아 지키고 보호하는 열두 가지 동물의 상(像). 대개 같은 모양의 관복을 입고 머리만 동물 모양을 하고 있는데, 능이나 묘의 둘레돌에 조각되거나 관이 들어 있는 방의 내부에 벽화로 그려져 분묘를 지키는 수호신의 역할을 한다.
  • 이지 생초 : (1)십이지를 상징하며 각각 방향과 시간을 맡아 지키고 보호하는 열두 가지 동물의 상(像). 대개 같은 모양의 관복을 입고 머리만 동물 모양을 하고 있는데, 능이나 묘의 둘레돌에 조각되거나 관이 들어 있는 방의 내부에 벽화로 그려져 분묘를 지키는 수호신의 역할을 한다.
  • 이지석 : (1)십이지 신상을 새긴 돌.
  • 이지신 : (1)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열두 마리의 동물, 즉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로 상징된다.
  • 이지 신상 : (1)십이지를 상징하며 각각 방향과 시간을 맡아 지키고 보호하는 열두 가지 동물의 상(像). 대개 같은 모양의 관복을 입고 머리만 동물 모양을 하고 있는데, 능이나 묘의 둘레돌에 조각되거나 관이 들어 있는 방의 내부에 벽화로 그려져 분묘를 지키는 수호신의 역할을 한다.
  • 이지 연기 : (1)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이지장 : (1)위의 날문에서 빈창자 사이에 있는 작은창자의 첫 부분. 대개 ‘ㄷ’ 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길이는 약 25cm이다.
  • 이지장간막 : (1)십이지장을 복벽과 연결하여 주는 장간막.
  • 이지장 게실 : (1)십이지장 유두와 가까운 곳에서 돌출한 십이지장의 곁주머니.
  • 이지장 공장곡 : (1)십이지장과 공장 경계에서 작은창자가 급격하게 굽은 곳.
  • 이지장 공장 굴곡 : (1)십이지장과 공장 경계에서 작은창자가 급격하게 굽은 곳.
  • 이지장 공장 연결술 : (1)십이지장과 공장 사이에 연결 통로를 만들어 주는 외과 수술법.
  • 이지장구 : (1)방사선상이나 투시상에서 보이는 십이지장의 첫 부분.
  • 이지장 궤양 : (1)위산에 의해 샘창자의 점막이 허는 것.
  • 이지장꼭지 : (1)‘큰샘창자 유두’의 북한어.
  • 이지장 내림 부분 : (1)샘창자에서 위 샘창자굽이부터 허리뼈 몸통의 왼쪽으로 내려가는 부분. 약 7.5cm이며, 아래 샘창자굽이에서 아랫부분으로 계속된다.
  • 이지장 담낭 연결술 : (1)십이지장과 담낭 사이에 교통로를 형성하는 수술.
  • 이지장 망울 : (1)방사선상이나 투시상에서 보이는 십이지장의 첫 부분.
  • 이지장 박리술 : (1)십이지장의 섬유성 유착을 떼어 내는 시술.
  • 이지장방와 : (1)십이지장 왼쪽에 드물게 나타나는 복막의 오목. 오목의 입구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으로 동맥이 지나갈 때가 있다.
  • 이지장 방주름 : (1)샘빈창자굽이의 왼쪽과 콩팥 사이에 때때로 나타나는 낫 모양의 복막 주름.
  • 이지장벌레 : (1)‘십이지장충’의 북한어.
  • 이지장 빈창자 문합 : (1)십이지장과 빈창자 사이에 연결로를 만들어 주는 외과적 수술.
  • 이지장 상동맥 : (1)위 십이지장 동맥에서 일어나 십이지장 첫 부분에 분포하는 동맥.
  • 이지장 상부 : (1)십이지장에서 상십이지장 굴곡부터 허리뼈 몸통의 왼쪽으로 내려가는 부분. 길이는 약 7.5cm이다.
  • 이지장샘 : (1)샘창자 점막 밑층에 주로 형성된, 작고 가지가 나뉜 꼬불꼬불한 대롱샘. 염기성 점액 물질을 분비하여 위산을 중화하는 구실을 한다.
  • 이지장선 : (1)샘창자 점막 밑층에 주로 형성된, 작고 가지가 나뉜 꼬불꼬불한 대롱샘. 염기성 점액 물질을 분비하여 위산을 중화하는 구실을 한다.
  • 이지장 소식자 : (1)길이 약 1.5m, 지름 5mm 정도의 가는 고무관 끝에 작은 구멍이 있는 금속성 통을 장치한 기구. 십이지장액을 채취하거나 담석, 담낭염을 치료하는 데 쓴다.
  • 이지장 소식자법 : (1)입에 존데를 넣어 십이지장까지 도달시키는 방법. 십이지장액 가운데 주로 담즙을 채취하거나 담낭을 세정하기 위하여 황산 마그네슘을 주입하는 데에 이용된다.
  • 이지장 소장 연결술 : (1)십이지장과 소장을 연결하는 통로를 만들어 주는 외과 수술법.
  • 이지장 수평부 : (1)십이지장에서 허리뼈 몸통을 가로질러 왼쪽으로 거의 수평하게 달리는 부분. 길이는 약 10cm이며, 앞쪽으로 위 창자 간막 혈관이 가로지른다.
  • 이지장 아래부분 : (1)십이지장에서 허리뼈 몸통을 가로질러 왼쪽으로 거의 수평하게 달리는 부분. 길이는 약 10cm이며, 앞쪽으로 위 창자 간막 혈관이 가로지른다. ⇒규범 표기는 ‘십이지장 아랫부분’이다.
  • 이지장 아랫부분 : (1)십이지장에서 허리뼈 몸통을 가로질러 왼쪽으로 거의 수평하게 달리는 부분. 길이는 약 10cm이며, 앞쪽으로 위 창자 간막 혈관이 가로지른다.
  • 이지장암 : (1)십이지장에 생기는 암.
  • 이지장액 : (1)장액, 췌액, 담즙의 혼합물. 여러 가지의 음식물을 소화하는 작용이 있어 여러 가지의 소화 효소를 포함한다. 담즙은 물리적으로 계면 활성 작용이 크기 때문에 지방질을 유탁시켜 소화를 돕는다.
  • 이지장액 역류 췌염 : (1)십이지장액이 췌관 내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췌염.
  • 이지장 양성 신생물 : (1)십이지장에 생긴 양성 신생물. 정상보다 빠른 세포 증식에 의해 자라는 비정상적인 조직이나 양성 조직이다.
  • 이지장염 : (1)샘창자 점막에 생기는 염증.
  • 이지장 오목 : (1)십이지장 주위에서 복막이 주름져 주머니처럼 우묵하게 들어간 부분. 위 샘창자 오목, 아래 샘창자 오목, 샘창자 옆 오목, 샘창자 뒤 오목이 있다.
  • 이지장 윗부분 : (1)위의 날문에서 계속되어 아래로 꺾어지는 위 십이지장 굽이 사이의 부분. 십이지장의 첫째 부분이며, 길이는 약 5cm이다.
1 2 3 5 6 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십으로 끝나는 단어 (142개) : 잉글리시 파트너십, 모십, 세계 원자력 에너지 파트너십, 사교 클럽형 리더십, 전팔십, 쇼맨십, 결과 지향적 리더십, 챔피언십, 간십, 반오십, 코스닥 오십, 스트론튬 구십, 스폰서십, 실용주의 리더십, 소통 리더십, 오너십, 삼십, 고십, 서울 칠십, 이십, 지시적 리더십, 권위적 리더십, 복십, 전략적 협조 파트너십, 고로롱팔십, 파트너십, 진정성 리더십, 민관 파트너십, 클린 십, 가십 ...
십으로 끝나는 단어는 14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십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72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