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42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00개 세 글자:83개 네 글자:143개 다섯 글자:44개 여섯 글자 이상:52개 모든 글자: 423개

  • 앙하다 : (1)우러러 사모하다.
  • : (1)‘첨약하다’의 어근.
  • 약하다 : (1)사람의 기품이 여리고 약하다.
  • : (1)덧붙여 말함.
  • 언하다 : (1)덧붙여 말하다.
  • : (1)오량(五梁) 이상으로 지은 집의 맨 끝에 걸리는 서까래.
  • : (1)잎 가장자리에서 주맥까지의 1/4 정도가 톱니처럼 갈라진 형태.
  • 열엽 : (1)잎 가장자리에서 주맥까지의 1/4 정도가 톱니처럼 갈라진 형태의 잎.
  • 열잎 : (1)잎 가장자리에서 주맥까지의 1/4 정도가 톱니처럼 갈라진 형태의 잎.
  • : (1)‘첨예하다’의 어근.
  • 예도 : (1)사진이나 텔레비전 따위의 화상에서, 날카롭게 보이는 정도인 화상의 선명도를 물리량으로 나타낸 값.
  • 예분자 : (1)어떤 단체 안에서 급진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
  • 예성 : (1)상황이나 사태 따위가 날카롭고 격한 성질.
  • 예하다 : (1)날카롭고 뾰족하다. (2)상황이나 사태 따위가 날카롭고 격하다.
  • 예화 : (1)상황이나 사태 따위가 날카롭고 격하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2)화상 강조의 하나로, 대상의 윤곽선에서의 농돗값 변화를 강조함으로써 윤곽선을 선명하게 하는 처리.
  • 예화되다 : (1)상황이나 사태 따위가 날카롭고 격하게 되다.
  • 예화하다 : (1)상황이나 사태 따위가 날카롭고 격하게 되다. 또는 그렇게 만들다.
  • 오자 : (1)공척보(工尺譜)에서 청협종을 나타내는 글자. ‘五’ 자를 뾰족하게 쓴 것이다.
  • : (1)인도ㆍ유럽어에서 명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따위의 격(格), 수(數), 성(性)에 의한 굴절을 이르는 말. 국어에서는 명사, 대명사와 같은 체언에 격조사가 붙는 형태를 가리킨다. 곡용 어간은 체언, 곡용 어미는 격 조사로 처리하나, 학교 문법에서는 곡용을 인정하지 않는다.
  • : (1)끝이 뾰족하고 둥긂. (2)‘여러분’을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 원체 : (1)뾰족하고 둥근 형체.
  • 원하다 : (1)끝이 뾰족하고 둥글다.
  • : (1)‘여러분’을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2)조선 시대에, 의빈부에 속한 정ㆍ종삼품 당하의 품계. 왕세자의 서녀(庶女)에게 장가든 사람에게 주었다.
  • : (1)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림. 또는 그런 말이나 짓. (2)아첨을 잘하는 사람. (3)가마나 수레 따위에 치는 휘장.
  • 유지풍 : (1)아첨하는 버릇.
  • 유하다 : (1)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랑거리다.
  • : (1)옷을 적심. (2)여러 사람의 의견. (3)여러 사람의 의논. (4)우러러 높여서 의뢰하거나 의지함.
  • 의녹사 : (1)고려 시대에, 첨의부에 속한 정칠품 벼슬. 공민왕 11년(1362)에 도첨의녹사를 고친 것이다.
  • 의부 : (1)고려 중기의 최고 통치 기관. 충렬왕 1년(1275)에 중국 원나라의 간섭으로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통합하여 설치하였다. 충렬왕 19년(1293)에 도첨의사사로 고쳤다.
  • 의사인 : (1)고려 말기에, 첨의부에 속한 종사품 벼슬. 충렬왕 1년(1275)에 중서사인을 고친 것이다.
  • 의순동 : (1)여러 사람의 의논이 모두 같음.
  • 의시랑찬성사 : (1)고려 시대에, 첨의부에 속한 정이품 벼슬. 충렬왕 1년(1275)에 중서시랑평장사를 고친 것인데, 뒤에 중호(中護)로 고쳤다가 다시 찬성사로 고쳤다.
  • 의우시중 : (1)고려 시대에, 도첨의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첨의우중찬을 고친 것으로 공민왕 12년(1363)에 문하우시중으로 고쳤다.
  • 의우정승 : (1)고려 시대에, 도첨의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충혜왕 때 첨의우시중을 고친 것인데, 뒤에 문하수시중으로 고쳤다.
  • 의우중찬 : (1)고려 시대에, 첨의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뒤에 첨의우시중으로 고쳤다.
  • 의좌시중 : (1)고려 시대에, 도첨의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첨의좌중찬을 고친 것으로 공민왕 12년(1363)에 문하좌시중으로 고쳤다.
  • 의좌정승 : (1)고려 시대에, 도첨의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충혜왕 때 첨의좌시중을 고친 것인데, 뒤에 문하시중으로 고쳤다.
  • 의좌중찬 : (1)고려 시대에, 첨의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뒤에 첨의좌시중으로 고쳤다.
  • 의주서 : (1)고려 시대에, 도첨의부에 속한 종칠품 벼슬. 충렬왕 1년(1275)에 중서주서를 고친 것이다.
  • 의중찬 : (1)고려 시대에, 도첨의부에 속한 종일품 벼슬. 충렬왕 1년(1275)에 문하시중을 고친 것으로, 좌우에 첨의좌중찬과 첨의우중찬이 있었다.
  • 의찬성사 : (1)고려 시대에, 첨의부에 속한 정이품 벼슬. 충렬왕 1년(1275)에 문하시랑평장사를 고친 것인데, 뒤에 중호(中護)로 고쳤다가 다시 찬성사로 고쳤다.
  • 의참리 : (1)고려 말기에, 첨의부에 속한 정이품 벼슬. 충렬왕 1년(1275)에 참지정사를 고친 것이다.
  • 의평리 : (1)고려 시대에, 도첨의사사와 도첨의부, 문하부에 둔 종이품 벼슬. 공민왕 11년(1362)에 평리를 고친 것이다.
  • 의하다 : (1)옷을 적시다. (2)우러러 높여서 의뢰하거나 의지하다.
  • : (1)적의 방어망 또는 공격하는 적의 전투 서열을 한 지점에서 뚫고 들어가는 전투 행동. (2)더 보태어 넣음.
  • 입되다 : (1)더 보태어져 넣어지다.
  • 입하다 : (1)적의 방어망 또는 공격하는 적의 전투 서열을 한 지점에서 뚫고 들어가는 전투 행동을 하다. (2)더 보태어 넣다.
  • : (1)소리의 차이나 변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덧붙이는 소문자. 문자의 좌우(左右)의 상하(上下)에 붙이는 것으로 ‘Xi’, ‘Xh’ 에 쓰인 i, h 따위이다. (2)장도(粧刀)가 칼집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칼집 옆에 덧붙여 댄 두 개의 쇠. 모양이 젓가락과 비슷하여 젓가락으로 쓰기도 한다. (3)점을 치는 데에 쓰는 가늘게 쪼갠 댓가지. 점괘의 글이 적혀 있어, 이를 뽑아 길흉을 판단한다.
  • 자 검사 : (1)프로그램의 원소 배열이 규정된 범위를 벗어나 이용되지 않는지를 검사하는 것. 이 검사를 실시할 때에는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매우 느리다.
  • 자구 : (1)‘첨지’의 방언
  • 자 범위 : (1)프로그램의 원소 배열에서 첨자가 가질 수 있는 크기.
  • 자 변수 : (1)하나의 변수에 두 개 이상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변수. 변수명과 괄호 속의 첨자로 구성된다.
  • 자상 : (1)대오리나 가시 따위가 살에 박히어 빠지지 않은 상처.
  • 자식 : (1)배열에 사용되는 첨자의 값을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식.
  • 자 액세스 : (1)배열을 이용한 프로그램에서, 첨자에 의하여 선언된 여러 데이터 가운데 필요한 첨자를 찾아가는 것.
  • 자 접근 : (1)배열을 이용한 프로그램에서, 첨자에 의하여 선언된 여러 데이터 가운데 필요한 첨자를 찾아가는 것.
  • 자 지정 : (1)배열 요소의 위치를 부여하는 한 개 이상의 식에 따라 그 요소를 참조하는 구조.
  • 자 집합 : (1)집합의 집합을 표기할 때 사용하는 용어의 하나. 집합의 집합을 Math Image 라 표기할 때 집합 Math Image 를 이른다.
  • : (1)제사 때에, 종헌으로 드린 잔에 다른 제관이 다시 술을 가득히 채워 붓는 일.
  • 작하다 : (1)제사 때에, 종헌으로 드린 잔에 다른 제관이 다시 술을 가득히 채워 붓다.
  • : (1)술이 들어 있는 잔에 술을 더 따름.
  • 잔하다 : (1)술이 들어 있는 잔에 술을 더 따르다.
  • 잣값 : (1)프로그램 수행 중인 원소 배열에서 첨자 변수가 가지고 있는 값.
  • : (1)추가 명세서.
  • : (1)토기의 바닥이 뾰족한 상태. (2)참나뭇과의 상록 활엽 교목. 높이는 10~20미터이며, 잎은 긴 타원형에 톱니가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상아색 꽃이 피고 열매는 식용하며 도토리와 비슷한 모양이다. 재목은 여러 가지 가구재, 땔감 따위로 쓴다.
  • 저 토기 : (1)밑이 포탄(砲彈) 모양으로 뾰족한 토기. 우리나라의 빗살무늬 토기, 유럽과 아시아 대륙 북부의 중석기 시대 토기, 중국과 이집트의 신석기 시대 토기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 (1)제사를 지낼 때에, 초헌에 올린 적 위에 아헌과 종헌의 적을 차례로 겹쳐 올리는 일.
  • 적하다 : (1)제사를 지낼 때에, 초헌에 올린 적 위에 아헌과 종헌의 적을 차례로 겹쳐 올리다.
  • 전고후 : (1)앞을 바라보고 뒤를 돌아본다는 뜻으로, 일을 당하여 결단하지 못하고 앞뒤를 재며 어물어물함을 이르는 말.
  • 전고후하다 : (1)일을 당하여 결단하지 못하고 앞뒤를 재며 어물어물하다. 앞을 바라보고 뒤를 돌아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절제사 : (1)조선 시대에, 각 진영에 둔 종삼품 무관 벼슬. 절도사의 아래로 병마첨절제사, 수군첨절제사가 있으며 목ㆍ부 소재지에는 목사나 부사가 겸임하였다.
  • : (1)전기 자기장 분포의 불균일함에 기인하는 최대 전기 자기장의 집중 영역. (2)두 개의 곡선이 접선을 공유하듯이 한 점에서 만날 때 그 점을 이르는 말.
  • : (1)접수의 껍질을 6~7cm 정도 벗긴 뒤 윗부분을 자른 대목에 꽂아 비닐이나 못으로 고정하는 접목 방법. (2)강구조 부재의 접합 방법의 하나. 두 개의 금속 단면을 대조하여 그 옆면에 접합용의 강판을 대고, 볼트나 리벳 또는 필릿 용접으로 접합한다.
  • : (1)나라의 부역을 맡을 장정(壯丁)을 보탠다는 뜻으로, 아들을 낳음을 이르던 말. (2)조선 시대에, 각 관아의 낭청에 속한 종사품 벼슬. 돈령부, 봉상시, 종부시, 사옹원, 내의원, 상의원, 사복시 따위에 두었다.
  • 정보주형 유 : (1)양파 모양을 한 뚜껑 따위의 꼭지.
  • 정석 : (1)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광물. 등축 정계에 속하는 팔면체의 결정으로, 열변성(熱變性) 작용을 받은 석회암이나 염기성 또는 초염기성 화성암에 들어 있다. 무색, 붉은색, 푸른색, 녹색 따위를 띠며 순수한 것은 보석으로 쓴다.
  • 정 지붕 : (1)탑의 꼭대기에 만들어진, 경사가 급한 원뿔 모양의 지붕. 고딕 양식으로 건조된 성당들의 탑 꼭대기에 있는 지붕이 전형적인 형태이다.
  • 정하다 : (1)아들을 낳다. 나라의 부역을 맡을 장정(壯丁)을 보탠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 (1)관절에 이상이 있어 발꿈치가 땅에 닿지 않는 발. 외상성(外傷性), 염증성, 습관성, 마비성 따위의 후천적인 원인이 대부분이다.
  • : (1)‘여러분’을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 : (1)주로 편지글에서, ‘여러 분 앞’을 이르는 말.
  • 좌하 : (1)주로 편지글에서, ‘여러 분 앞’을 이르는 말.
  • : (1)이미 죄가 있는 사람이 거듭 죄를 저지름.
  • 죄하다 : (1)이미 죄가 있는 사람이 거듭 죄를 저지르다.
  • : (1)조선 시대에 군인이 썼던 챙이 있는 투구. 철로 만들었으며 춤이 둥글다.
  • : (1)앓고 있는 병에 다른 병이 겹침. (2)더 늚. 또는 더하여 늘림.
  • 증하다 : (1)앓고 있는 병에 다른 병이 겹치다. (2)더 늘다. 또는 더하여 늘리다.
  • : (1)조선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정삼품 무관의 벼슬. (2)나이 많은 남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3)책 따위에 무엇을 표시하려고 붙이는 쪽지.
  • 지사 : (1)조선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정삼품 무관의 벼슬. 태종 때 인진사를 고친 것이다.
  • 지중추부사 : (1)조선 시대에, 중추원에 속한 정삼품 무관의 벼슬. 태종 때 인진사를 고친 것이다.
  • : (1)삼포(三包) 이상의 집에 있는 꾸밈새. 초제공, 이제공 따위의 가운데에 어긋나게 맞추어 짠다.
  • 착 활성탄 : (1)금속 물질이나 화학 물질을 첨착해 성능을 향상시킨 활성탄. 정화통에 사용되는 주요 물질은 활성탄이나 활성탄만으로는 공기보다 분자량이 가벼운 암모니아, 시안화 수소, 일산화 탄소 등에는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금속 물질, 기타 화학 물질을 첨착시킨다.
  • : (1)시문(詩文) 따위를 자꾸 더하거나 빼서 고침.
  • 찬하다 : (1)시문(詩文) 따위를 자꾸 더하거나 빼서 고치다.
  • : (1)채소를 곁들임. (2)명아줏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약간 두껍고 긴 달걀 모양이다. 여름에 누런 녹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많이 피고 열매는 코르크질의 구낭(球囊)을 맺는다. 뿌리는 원뿔 모양의 덩이뿌리로 맛이 달아 사탕의 원료로 쓴다. 지중해 지방이 원산지로 추운 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 채당 : (1)사탕무로 만든 설탕. 사탕무를 공업적으로 제조하여 설탕을 만든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 채자 : (1)명아줏과에 속하는 근대의 과실. 사포닌과 레시틴 따위가 함유되어 있어 소아용 해열제, 치루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채하다 : (1)채소를 곁들이다.
  • : (1)계속하여 보태는 모양.
  • : (1)동물 정자(精子)의 앞부분에 있는 세포 기관.
1 2 3 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차, 착, 찬, 찰, 참, 찹, 찻, 창, 채, 책, 챌, 챔, 챙, 처, 척, 천, 철, 첨, 첩, 첫, 청, 체, 첵, 첸, 쳇, 쳐, 쳔, 쳘, 초, 촉, 촌, 촐, 촙, 총, 촨, 최, 쵸, 추, 축, 춘, 춝, 춤, 충, 췌, 취, 츠, 측, 츩, 츰, 츳, 층, 츼, 치, 칙, 친, 칠, 칡, 침, 칩, 칭, 칰

실전 끝말 잇기

첨으로 끝나는 단어 (99개) : 첨두첨, 이개첨, 본첨, 별첨, 보첨, 량첨, 현첨, 시첨, 치근첨, 승모판 전첨, 립첨, 몬첨, 경첨, 승모판 후첨, 전첨, 측두골 추체첨, 마첨, 강첨, 단첨, 련첨, 검첨, 저첨, 두첨, 고첨, 도첨, 아첨, 이첨저첨, 가첨, 거첨, 남첨 ...
첨으로 끝나는 단어는 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첨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42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