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445개

한 글자:1개 두 글자:95개 세 글자:92개 네 글자:151개 다섯 글자:45개 여섯 글자 이상:61개 🐩모든 글자: 445개

  • 병 학교 : (1)헌병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학교.
  • 병헌작 : (1)미사 때에, 빵과 포도주를 받들어 바치는 일.
  • : (1)책을 바침. 또는 그 책.
  • 본하다 : (1)책을 바치다.
  • : (1)고려ㆍ조선 시대에, 정사(政事)를 논의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여 그 책임을 규탄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2)예전에, 전쟁에 이기고 돌아와서 조상의 영묘 앞에 포로를 바치면서 성공을 고하던 일.
  • 부하다 : (1)예전에, 전쟁에 이기고 돌아와서 조상의 영묘 앞에 포로를 바치면서 성공을 고하다.
  • 분지 깨고 새 요강 물어 준다 : (1)손해를 끼친 것은 얼마 되지 아니한데 크게 변상을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축하하거나 찬양하는 뜻으로 바치는 글. (2)지은이나 발행자가 그 책을 다른 사람에게 바치는 뜻을 적은 글.
  • : (1)임금에게 바침. (2)물건을 삼가 올림.
  • 상되다 : (1)임금에게 바쳐지다. (2)물건이 삼가 올려지다.
  • 상물 : (1)헌상하는 물품.
  • 상하다 : (1)임금에게 바치다. (2)물건을 삼가 올리다.
  • : (1)신에게 산 짐승을 제물로 바침.
  • 생하다 : (1)신에게 산 짐승을 제물로 바치다.
  • : (1)책을 바침. 또는 그 책.
  • 서하다 : (1)책을 바치다.
  • 선도 : (1)고려 문종 시기에 들어온 당악 정재의 하나. 정월 보름날 밤 가회(嘉會)에 임금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내용으로 추던 것으로, 왕모가 하늘에서 내려와 선도(仙桃)를 준다는 줄거리로 되어 있다.
  • 선도무 : (1)고려 시대에, 정재(呈才) 때 추던 춤의 하나. 죽간자 두 사람과 대여섯 사람의 무기(舞妓)가 주악에 맞추어 춘다. 장면이 바뀔 때마다 부르는 사(詞)가 있다.
  • 선도춤 : (1)고려 시대에, 정재(呈才) 때 추던 춤의 하나. 죽간자 두 사람과 대여섯 사람의 무기(舞妓)가 주악에 맞추어 춘다. 장면이 바뀔 때마다 부르는 사(詞)가 있다.
  • 섬에 곡식이 더 든다 : (1)늙은 사람이 밥을 더 많이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정성을 다하여 바침.
  • 성하다 : (1)정성을 다하여 바치다.
  • 소리 : (1)조리에 맞지 아니하는 말.
  • 소리하다 : (1)조리에 맞지 아니하는 말을 하다.
  • : (1)옷, 이불 따위에서 빼낸 묵은 솜.
  • : (1)녹이 슬거나 깨어져 못 쓰게 된 쇠붙이.
  • : (1)집의 수효. (2)잔을 올림. (3)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 (4)공원이나 학교, 공공장소 따위에 나무를 기증하는 일.
  • 수목 : (1)기증을 받은 나무.
  • 수자 : (1)공원이나 학교, 공공장소 따위에 나무를 기증하는 사람.
  • 수하다 : (1)잔을 올리다. (2)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리다.
  • 숙 왕후 : (1)고려 경종의 비(?~?). 성은 김(金). 신라 경순왕의 딸이다.
  • 승 황후 : (1)고려 경종의 비(?~?). 성은 김씨(金氏). 본관은 경주. 신라 경순왕의 딸이다.
  • : (1)축하하거나 기리는 뜻으로 시를 지어 바침. 또는 그 시.
  • 시비 : (1)위인의 업적을 칭송하는 시를 새겨 세운 기념비.
  • 시하다 : (1)축하하거나 기리는 뜻으로 시를 지어 바치다.
  • : (1)절에서 대중이 공양할 때에 음식을 조금씩 덜어 아귀에게 줌. 우리나라에서만 행한다.
  • 식돌 : (1)영혼의 천도식(薦度式)을 마치고 마지막으로 문밖에서 잡귀에게 음식을 주며 경문을 읽는 곳.
  • 식하다 : (1)절에서 대중이 공양할 때에 음식을 조금씩 덜어 아귀에게 주다. 우리나라에서만 행한다.
  • : (1)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함.
  • 신성 : (1)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하는 성질.
  • 신자 : (1)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하는 사람.
  • 신적 : (1)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하는. 또는 그런 것.
  • 신짝 : (1)값어치가 없어 버려도 아깝지 아니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신짝 버리듯 : (1)요긴하게 쓴 다음 아까울 것이 없이 내버리다.
  • 신하다 : (1)몸과 마음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하다.
  • : (1)대청 아래에서 연주하는 음악.
  • 안왕 : (1)신라의 제47대 왕(?~861). 이름은 의정(誼靖)ㆍ우정(祐靖). 제방을 쌓아 농사를 장려하였으며, 후사가 없어 왕족 응렴(膺廉)을 사위로 삼고 왕위를 물려주었다. 재위 기간은 857~861년이다.
  • 안왕릉 : (1)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헌안왕의 능.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무덤으로 자연석을 이용하여 둘레돌을 쌓았으며, 내부는 굴식 돌방무덤으로 추측된다. 사적 정식 명칭은 ‘경주 헌안왕릉’이다.
  • : (1)‘헌앙하다’의 어근.
  • 앙하다 : (1)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하다. (2)너그럽고 인색하지 아니하다.
  • 애 왕후 : (1)고려 경종의 비(妃)(964~1029). 목종의 생모로 목종이 즉위하자 섭정하면서 김치양과 통정하고 아들을 낳았는데, 후에 이 아들 때문에 강조의 정변이 일어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 : (1)우수한 업적을 인정받아 명예로운 자리에 오름.
  • 액되다 : (1)우수한 업적을 인정받아 명예로운 자리에 오르게 되다.
  • 액자 : (1)공을 인정받아 명예로운 자리에 오른 사람.
  • : (1)임금에게 의견을 아뢰던 일.
  • 언하다 : (1)임금에게 의견을 아뢰다.
  • : (1)‘홍역’의 방언
  • : (1)‘헌연하다’의 어근.
  • 연하다 : (1)의기가 높고 당당하다.
  • 연히 : (1)의기가 높고 당당하게.
  • : (1)마루의 기둥. (2)신령과 부처에게 시가를 지어 올림.
  • 영하다 : (1)신령과 부처에게 시가를 지어 올리다.
  • : (1)사헌부에 속한 하례를 이르던 말.
  • 옷 수거함 : (1)헌 옷을 내놓아 잠시 보관해 두는 큰 상자나 통. 헌 옷을 재활용하여 사회적인 취약 계층을 돕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한다.
  • 옷이 있어야 새 옷이 있다 : (1)헌것이 있어야 새것이 좋은 줄을 알 수 있다는 말.
  • 우티 : (1)‘누더기’의 방언
  • 원씨 : (1)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三皇)의 한 사람으로, 처음으로 곡물 재배를 가르치고 문자ㆍ음악ㆍ도량형 따위를 정하였다고 한다.
  • : (1)윗사람에게 의견을 아룀.
  • 의서 : (1)정사에 관한 임금의 물음에 대하여 의견을 올리던 글.
  • 의 왕후 : (1)고려 경종의 비(?~?). 성은 유(劉). 문원 대왕 왕정과 문혜 왕후(文惠王后) 유씨(柳氏)의 딸이다. 경종과의 사이에 소생은 없다.
  • 의 육 조 : (1)독립 협회가 중심이 되어 1898년에 만민 공동회에서 결의한 개혁안. 6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의하다 : (1)윗사람에게 의견을 아뢰다.
  • : (1)자금, 자재 따위를 바침.
  • 자하다 : (1)자금, 자재 따위를 바치다.
  • : (1)제사 때에, 술잔을 올림. (2)미사 때에, 포도주가 담긴 잔을 받들어 높이 올림.
  • 작하다 : (1)제사 때에, 술잔을 올리다. (2)미사 때에, 포도주가 담긴 잔을 받들어 높이 올리다.
  • : (1)어떠한 사실에 대하여 약속을 이행하기 위하여 정한 규범. (2)헌법의 전장(典章).
  • : (1)‘헌법 재판소’를 줄여 이르는 말.
  • : (1)‘어서’의 방언
  • : (1)‘흔적’의 방언
  • : (1)육전(六典) 가운데 형조의 소관 사항을 규정한 법전.
  • : (1)‘입헌 정치’를 줄여 이르는 말. (2)물품을 올림. 주로 책 따위를 남에게 줄 때 쓴다. (3)독일의 작곡가 슈트라우스의 가곡 작품. 8곡으로 구성된 작품 번호 10은 그의 나이 18세 때인 1882년~1883년 사이에 쓰였다. 그중 1번에 해당하는 곡이며, 가사는 기름(Gilm, H. V.)의 시에 의했다. 당시 이미 39곡의 피아노 반주에 의한 가곡을 작곡한 슈트라우스였지만 작품 번호를 붙인 성악곡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 정국 : (1)헌법을 제정하고 그에 따라 정치를 행하는 나라.
  • 정 기념관 : (1)국회의 기능과 권한, 역사 따위와 관련된 기록물들을 보관하고 전시하는 기념관. 1998년 5월 29일에 개관하였으며, 국회 의사당 내에 위치하고 있다.
  • 정사 : (1)입헌 정치의 역사.
  • 정승만치도 안 여긴다 : (1)사람을 지나치게 무시하고 깔본다는 말.
  • 정식 : (1)스승이나 윗분, 존경하는 사람에게 저술한 책이나 논문, 음반, 주요 건축물 따위를 바치는 의식.
  • 정 연구회 : (1)대한 제국 광무 9년(1905)에 이준, 양한묵, 윤효정(尹孝定) 등이 조직한 정치적 계몽 단체. 이듬해 장지연, 윤효정 등이 대한 자강회로 발전시켰다.
  • 정 왕후 : (1)고려 경종의 비(妃)(?~?). 헌애 왕후와 친자매로 함께 경종의 비가 되었으며, 경종이 죽은 뒤 삼촌인 욱(郁)과 통정하여 현종을 낳았다.
  • 정 음반 : (1)존경하는 음악가를 기리기 위하여 만든 음반.
  • 정 질서 파괴 범죄의 공소 시효 등에 관한 특례법 : (1)헌법의 존립을 해치거나 헌정 질서의 파괴를 목적으로 하는 헌정 질서 파괴 범죄에 대한 공소 시효의 배제 따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 헌법상 자유 민주적 기본 질서를 수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정 콘서트 : (1)존경하는 음악가를 기리기 위해 여는 콘서트.
  • 정하다 : (1)물품을 올리다. 주로 책 따위를 남에게 줄 때 쓴다.
  • 정회 : (1)우리나라의 전직 국회 의원들로 구성된 사단 법인. 민주 헌정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대의 제도 연구와 정책 개발 및 사회 복지 향상에 공헌을 목적으로 한다. 1968년에 국회 의원 동우회가 창립되어, 1979년 사단 법인으로 등록된 뒤, 1989년에 이 이름으로 바뀌었다. 정식 명칭은 ‘대한민국 헌정회’이다.
  • : (1)나라의 제도나 법. (2)중국 후한의 마지막 황제(180~234). 성명은 유협(劉協). 동탁에 의하여 소제(少帝)가 폐위된 후 즉위하였으며, 뒤에 조조 때문에 허(許)로 옮겨지고 조조의 맏아들 비의 강요로 왕위를 물려주게 되었다. 재위 기간은 189~220년이다. (3)제사를 드림. (4)지은이나 발행자가 그 책을 다른 사람에게 바치는 뜻을 적은 글.
  • 조개 : (1)바닷조개의 하나. 껍데기는 검은 갈색이고 마르면 그 거죽의 꺼풀이 벗겨져 너슬너슬하게 된다.
  • : (1)조선의 제24대 왕(1827~1849). 이름은 환(奐). 자는 문응(文應). 호는 원헌(元軒). 8세에 즉위하여 순조비인 순원 왕후가 수렴청정하였으며, 1841년에 비로소 친정하게 되었으나 삼정의 문란과 정치의 혼란으로 민생고는 가중되었다. 재위 기간은 1834~1849년이다. (2)중국 당나라의 제11대 황제(778~820). 안녹산의 난 이후 여러 차례 번진(藩鎭)의 횡포를 다스려 조정의 위신을 크게 높임으로써 당나라 중흥의 영주로 불린다. 재위 기간은 805~820년이다. (3)‘몽케 칸’의 묘호. (4)고려의 제14대 왕(1084~1097). 이름은 욱(昱). 즉위한 후 이자의(李資義)의 난을 평정하고 다음 해 신병으로 왕위를 숙부 희(熙)에게 물려주었다. 재위 기간은 1094~1095년이다. (5)중국 명나라의 제8대 황제(1447~1487). 이름은 주견심. 영종(英宗) 주기진의 아들이다. 방술(方術)을 지나치게 믿었고, 환관을 중용하는 등 실정을 행하였다. 재위 기간은 1464~1487년이다. (6)중국 서하(西夏)의 제9대 황제(1181~1226). 본명은 이덕왕, 시호는 흥덕제. 신종의 소생이며, 재위 기간은 1223~1226년이다.
  • 종 가례 도병 : (1)부산광역시 서구 동아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병풍. 헌종 10년(1844)에 헌종과 효정 왕후가 혼인할 때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모두 8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헌종 가례 진하도 병풍’이다.
  • 종 가례 진하도 병풍 : (1)부산광역시 서구 동아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병풍. 헌종 10년(1844)에 헌종과 효정 왕후가 혼인할 때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모두 8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물 제733-1호. (2)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병풍. 헌종 10년(1844)에 헌종과 효정 왕후가 혼인할 때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모두 8폭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아 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헌종 가례 진하도 병풍과 내용 및 표현 양식은 거의 같으나, 세부적으로는 약간 차이가 있으며 보존 상태는 더 양호한 편이다. 보물 제733-2호.
  • 종실록 : (1)조선 헌종 재위 15년 동안의 실록. 철종 2년(1851)에 조인영이 중심이 되어 엮어서 펴냈다. 16권 9책의 인본.
1 2 4 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헌으로 끝나는 단어 (129개) : 전헌, 삼헌, 상헌, 지헌, 위헌, 대헌, 고문헌, 함석헌, 집복헌, 발췌 개헌, 가고문헌, 당문헌, 김헌, 숙헌, 영화문헌, 오죽헌, 아헌, 어헌, 개헌, 호헌, 회헌, 오체스터 문헌, 일차 문헌, 관물헌, 립헌, 서헌, 공헌, 방헌, 염희헌, 최충헌 ...
헌으로 끝나는 단어는 12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헌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445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