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8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13개 세 글자:20개 네 글자:46개 다섯 글자:5개 여섯 글자 이상:3개 🌶모든 글자: 188개

  • : (1)사리를 분별하고 의심을 끊는 슬기. (2)‘나막신’의 방언 (3)예전에 신던 목이 긴 신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중국 남북조 시대의 승려(487~593). 속성은 희(姬). 초명은 신광(神光). 선종(禪宗)의 개조(開祖)인 달마의 제자가 되어 6년간 수행 끝에 달마의 선법을 계승하여 포교하였다.
  • 가단비 : (1)혜가가 달마에게 입문을 빌었으나 허락하지 않자, 구도의 의지를 보이려 왼쪽 팔을 절단하고 허락을 받았다는 고사. 화제(畫題)로 많이 쓴다.
  • : (1)‘잘 보아 주십시오.’라는 뜻으로, 자기의 저서나 작품을 남에게 보낼 때에 상대편 이름 밑에 쓰는 말.
  • : (1)‘최한기’의 호. (2)중국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문인(223~262). 자는 숙야(叔夜). 죽림칠현의 한 사람으로, 작품에 한시 <유분시(幽憤詩)>, 산문 <금부(琴賦)> 따위가 있다.
  • : (1)지혜의 횃불이라는 뜻으로, 무지의 어둠을 버리고 열반으로 가는 길을 환히 비추어 주는 부처의 지혜를 이르는 말.
  • : (1)지혜의 칼이라는 뜻으로, 번뇌의 얽매임을 끊어 버리는 지혜를 이르는 말.
  • 게하다 : (1)‘회계하다’의 방언
  • : (1)신묘한 지혜로 모든 것을 통찰하는 고상한 식견.
  • 경궁 홍씨 : (1)조선 시대 사도 세자의 빈(1735~1815). 정조의 어머니로서 남편 사도 세자가 참변을 당한 영조 38년(1762)의 참사를 회고하여 ≪한중록≫을 지었다. 고종 때에 헌경 왕후로 추존되었다.
  • : (1)초파릿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이 작고 겹눈은 크고 붉으며, 몸빛은 누런색인 것이 많다. 세계에 2,000여 종이, 한국에 약 110여 종이 알려져 있다.
  • : (1)은혜를 베풀어 잘 돌보아 줌. (2)‘왕림’을 달리 이르는 말. (3)여칫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3.3cm 정도이며, 녹색 또는 누런 갈색이다. 더듬이가 길고 수컷은 울음소리가 크다.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고성 : (1)여치의 울음 소리.
  • 고하다 : (1)은혜를 베풀어 잘 돌보아 주다. (2)‘왕림하다’를 달리 이르는 말.
  • : (1)신라 진평왕ㆍ선덕여왕 때의 승려(?~?). 초명은 우조(憂助).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삼태기를 짊어지고 장판을 다녔으므로 부궤 화상(負簣和尙)이라고 불리었으며, 원효 대사와 경을 논하였다.
  • 공왕 : (1)신라의 제36대 왕(758~780). 성은 김(金). 이름은 건운(乾運). 재위 중 천재지변이 자주 일어나 민심이 흉흉하였으나 사치와 방탕을 일삼고 국사를 돌보지 않다가, 780년에 김지정의 난으로 살해되었다. 재위 기간은 765~780년이다.
  • : (1)중국 당나라의 승려(746~805). 불공(不空) 삼장을 스승으로 섬기어 밀교에 통달하였으며, 대종ㆍ덕종ㆍ순종의 신임을 받아 삼조(三朝)의 국사(國師)로 추앙받았다.
  • : (1)고구려의 승려(?~?). 중국 수나라에서 삼론종의 종지(宗旨)를 배우고 돌아와, 일본에 건너가 공종과 삼론을 강의하여 일본 삼론종의 시조가 되었다.
  • : (1)지혜를 베풀어 가르침. (2)영리한 슬기와 뛰어난 기술이나 솜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
  • 교하다 : (1)지혜를 베풀어 가르치다.
  • : (1)자비로운 임금.
  • : (1)고려 말기의 승려(1320~1376). 속성은 아(牙). 속명은 원혜(元惠). 호는 나옹(懶翁)ㆍ강월헌(江月軒). 중국 원나라에서 인도의 승려 지공(指空)에게 배운 뒤에 귀국하여 왕사가 되었다. 보우(普愚)와 더불어 고려 말 선종의 대가로서 이후의 불교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2)오근의 하나. 도(道)를 낳는 바탕이 되는 지혜이다. (3)진리를 깨닫게 하는 지혜의 힘.
  • : (1)제사를 지낼 때 식혜를 담는 그릇.
  • : (1)‘혀끝’의 방언
  • : (1)사리를 잘 분별하고 슬기로운 여자.
  • : (1)남이 헤아려 돌보아 줌을 높여 이르는 말. 주로 편지에서 부탁하는 말로 쓴다.
  • 념하다 : (1)(높이는 뜻으로) 남이 헤아려 돌보아 주다. 주로 편지에서 부탁하는 말로 쓴다.
  • : (1)중국 당나라의 승려(638~713). 속성은 노(盧). 시호는 대감 선사(大鑑禪士). 육조 대사(六祖大師)라고도 한다. 중국 선종의 제6조로서, 남선종(南禪宗)이라는 파를 형성하였으며, 그의 설법을 기록한 ≪육조단경(六祖壇經)≫이 전한다.
  • : (1)‘세다’의 방언 (2)‘세다’의 옛말. (3)‘생각하다’의 옛말.
  • : (1)선혜청의 제조(提調).
  • : (1)혜초로 만든 띠.
  • : (1)조계종 비구니 법계(法階)의 3급 2호. 현덕(顯德)의 아래, 정덕(定德)의 위이다.
  • : (1)중국 청나라의 학자(1697~1758). 자는 정우(定宇). 호는 송애(松崖). 경사(經史)와 제자(諸子)에 정통하였는데, 특히 역학(易學) 연구에 힘썼으며 고증학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저서에 ≪주역술(周易述)≫, ≪역한학(易漢學)≫ 따위가 있다.
  • : (1)슬기가 생겨나는 원천.
  • : (1)지혜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어둠의 세계를 깨치는 지혜를 이르는 말. 주로 편지에 쓴다.
  • : (1)난초의 하나. 잎은 난초보다 길고 뻣뻣하며, 꽃은 늦은 봄에 한 줄기에 열 개가량씩 핀다. 꽃의 빛깔은 조금 부옇고 향기는 난초보다 못하다.
  • : (1)자기가 지은 책을 증정할 때, 헤아려 보아 달라는 뜻으로 받는 사람 이름 뒤에 쓰는 말.
  • : (1)‘왕림’을 달리 이르는 말.
  • 래하다 : (1)‘왕림하다’를 달리 이르는 말.
  • : (1)남이 헤아려 살펴서 이해함을 높여 이르는 말. 주로 편지에 쓴다.
  • 량하다 : (1)(높이는 뜻으로) 남이 헤아려 살펴서 이해하다. 주로 편지에 쓴다.
  • : (1)남이 헤아려 걱정해 줌을 높여 이르는 말.
  • : (1)지혜의 힘. (2)오력(五力)의 하나. 욕계, 색계, 무색계의 견혹(見惑), 사혹(思惑)을 파하고 번뇌 없는 순진한 무루지(無漏智)를 발하는 힘을 이른다.
  • : (1)지혜의 흐름이라는 뜻으로, 번뇌의 더러움을 깨끗이 씻어 버리는 지혜를 이르는 말.
  • : (1)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경종의 원비인 단의 왕후의 능. 동구릉의 하나이다. (2)중국 허베이성 탕산 청 동릉에 있는, 청나라 동치제의 능.
  • : (1)은혜를 베풀어 이롭게 해 줌.
  • 리바람 : (1)‘회오리바람’의 방언
  • 리하다 : (1)은혜를 베풀어 이롭게 해 주다.
  • : (1)‘왕림’을 달리 이르는 말. (2)중국 당나라의 승려(737~820). 속성은 배(裴). 중국 고전의 훈고와 음운을 연구하여 ≪일체경음의≫ 100권을 저술하였다.
  • 림음의 : (1)‘일체경음의’의 다른 이름.
  • 림하다 : (1)‘왕림하다’를 달리 이르는 말.
  • : (1)신과 버선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혜성의 뒤에 꼬리같이 길게 끌리는 빛. 혜성의 핵에서 방출된 가스와 먼지가 태양풍과 태양의 광압에 의하여 태양 반대쪽으로 날려서 흩어진 것이다.
  • : (1)지혜의 생명이라는 뜻으로, 법신은 지혜가 수명이어서 지혜의 명이 다하면 법신의 몸을 잃음을 이르는 말. (2)불법의 명맥을 이어 가는 비구를 높여 이르는 말. 들은 바가 많고 식견이 있는 비구에게는 지혜가 생명이라는 뜻이다.
  • : (1)은혜를 베풀어 어루만져 줌.
  • 무하다 : (1)은혜를 베풀어 어루만져 주다.
  • : (1)지혜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뜻으로, 불도의 교의를 이르는 말.
  • 미들다 : (1)‘철들다’의 방언
  • : (1)‘혜민하다’의 어근.
  • 민고 : (1)조선 시대에, 가난한 백성에게 무료로 질병을 치료해 주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 민국 : (1)고려 시대에, 가난한 백성의 질병 치료를 맡아보던 관아. 예종 7년(1112)에 설치하여 충렬왕 때에 사의서의 관할로 하였다가 공양왕 3년(1391)에 혜민전약국으로 고쳤다. (2)조선 시대에, 백성의 질병을 고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1년(1392)에 설치한 것으로, 세조 12년(1466)에 혜민서로 승격하였다.
  • 민서 : (1)조선 시대에 둔 삼의원의 하나. 가난한 백성을 무료로 치료하고 여자들에게 침술을 가르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세조 12년(1466)에 혜민국을 고친 것으로, 고종 19년(1882)에 없앴다.
  • 민원 : (1)대한 제국 때에, 가난한 백성을 구휼하고 구호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광무 5년(1901)에 설치하였다가 동 7년(1903)에 없앴다.
  • 민전약국 : (1)고려 시대에, 가난한 백성의 질병 치료를 맡아보던 관아. 공양왕 3년(1391)에 혜민국을 고친 것이다.
  • 민하다 : (1)슬기롭고 민첩하다.
  • : (1)지혜를 얽매어 도를 닦는 데에 방해가 되는 우매와 무지.
  • : (1)은혜로운 복.
  • 분난비 : (1)혜초(蕙草)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벗의 불행을 함께 슬퍼함을 이르는 말.
  • : (1)고려 정종의 비(?~1036). 성은 한(韓). 한조(韓祚)의 딸로 정종의 두 번째 비인 용의 왕후와 자매간이다. 능은 현릉(玄陵)이다.
  • : (1)은혜로 사랑하여 생각함. (2)은총으로 죄를 용서함. (3)은혜를 베풀어 무엇을 줌.
  • 사하다 : (1)은혜로 사랑하여 생각하다. (2)은총으로 죄를 용서하다. (3)은혜를 베풀어 무엇을 주다.
  • : (1)함경남도 혜산군에 있는 읍. 군청 소재지이다. (2)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시의 하나. 양강도에 속한 시로, 북한이 1954년 10월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양강도를 신설할 때에 혜산군의 일부 지역이 분리ㆍ통합되어 신설되었다.
  • 산군 : (1)함경남도의 동북쪽에 있는 군. 귀리ㆍ옥수수ㆍ수수 따위의 농산물과 소ㆍ돼지 따위의 축산물, 목재ㆍ숯 따위의 임산물이 난다. 군청 소재지는 혜산, 면적은 2,325㎢. 북한에서는 1954년 10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이 군의 일부 지역이 통합되어 시로 승격되었다.
  • 산돼지 : (1)고산 지대에서 기르는 돼지 품종의 하나. 몸빛은 검은색이고 흰 반점이 있으며, 털이 빽빽하고 살이 많다. 주로 혜산 지방을 중심으로 사육한다.
  • 산선 : (1)함경북도 길주에서 출발하여 백암을 거쳐 혜산에 이르는 철도. 길주에서 함경선, 백암에서 백무선과 만난다. 길이 141.7km의 철도로, 1937년 11월 1일에 개통되었다.
  • 상공국 : (1)조선 시대에, 통리군국사무아문에 속하여 전국의 보부상을 단속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고종 20년(1883)에 설치한 것으로 뒤에 상리국, 황국 중앙 총상회, 황국 협회, 상무사로 고쳤다.
  • : (1)상대편의 편지를 높여 이르는 말. (2)쥣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6~10cm, 꼬리의 길이는 5~10cm이다. 야생종은 몸 윗면이 잿빛을 띤 갈색이다. 인가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검은 회색, 다색, 검은색 따위이고 몸 아랫면도 희지 않다. 귀가 크고 위턱의 앞니 뒷면에 점각이 있는데 위턱 제1어금니에 두 개의 돌기가 있다. 한 배에 3~8마리의 새끼를 한 해에 네 번 정도 낳는다. 유전학, 의학, 생리학 따위 여러 가지 실험용이나 애완용으로 기르며 야생종은 극지방을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
  • : (1)가스 상태의 빛나는 긴 꼬리를 끌고 태양을 초점으로 긴 타원이나 포물선에 가까운 궤도를 그리며 운행하는 천체. 핵, 코마, 꼬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2)어떤 분야에서 갑자기 뛰어나게 드러나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민첩하고 총명한 성질. (4)뛰어나게 슬기로움. 또는 그런 사람.
  • 성가 : (1)신라 진평왕 때 융천사가 지은 10구체 향가. 혜성이 나타나 심대성(心大星)을 범하는 괴이한 현상이 일어났는데, 작가가 이 노래를 지어 불렀더니 괴변이 없어지고 마침 신라를 침범하였던 왜병도 물러갔다는 내용으로, ≪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 성가무 : (1)신라 진평왕 때 융천사가 지은 무악. 혜성이 나타나 심대성(心大星)을 범하는 괴이한 현상이 일어났는데, 이 무악으로 괴변이 사라졌다고 전한다. 현재, 그 춤의 형태는 알 수 없다.
  • 성군 : (1)앞뒤에서 거의 같은 궤도 위를 운행하고 있는 혜성의 무리. 원래 한 개의 혜성이던 것이 분열되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 성 꼬리 징후 : (1)가슴 방사선 사진에서 나타나는 폐동맥과 정맥의 곡선 모양. 둥근 무기폐, 가슴막염이 있는 섬유증과 관계가 있다.
  • 성 꼬리 현상 : (1)카메라 렌즈의 중심축을 벗어나는 빛이 혜성 꼬리 같은 흔적을 필름에 남기는 현상.
  • 성 수색경 : (1)혜성을 찾는 데에 쓰는 망원경. 구경비가 작아서 밝고 시야가 넓은 렌즈를 쓴다.
  • 성적 : (1)혜성처럼 갑자기 나타나 뚜렷한 자취를 남기는. 또는 그런 것.
  • 성족 : (1)주기가 짧고 비슷한 궤도의 원일점을 가지는 혜성의 무리. 원일점 부근의 행성 이름을 붙여서 분류하는데, 목성족ㆍ토성족ㆍ해왕성족 따위가 있다.
  • 성 충돌 계획 : (1)미국 항공 우주국이 우주의 생성과 생명 기원의 비밀을 탐구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우주선에서 충돌 물체를 발사하여 혜성과 부딪치게 한 후 충돌로 생기는 물질을 분석하려는 계획.
  • : (1)비로 깨끗이 청소함. (2)고려 숙종 때의 승려(?~?). 내외의 모든 경전에 통달하고 시문에 능하여, 의천의 행록 10권을 지었으며 화엄경을 강의하였다. 김부식과 더불어 화창(和唱)하였다는 한시 천여 편이 전한다.
  • 소하다 : (1)비로 깨끗이 청소하다.
  • : (1)남이 보냄을 높여 이르는 말.
  • 송하다 : (1)(높이는 뜻으로) 남이 보내다.
  • : (1)신라 때의 승려(?~?).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처음에는 화랑도가 되었다가 안강현 적선촌에 숨어 살았다고 하며, 국선 구담공이 사냥한 고기를 먹는 것을 보고 자기의 다리 살을 베어 주었다고 한다.
  • 숙 옹주 : (1)조선 성종의 딸(1478~?). 숙의(淑儀) 홍씨(洪氏)의 소생이며, 참판 신종호(申從濩)의 아들이자 신숙주의 증손인 고원위(高原尉) 신항(申沆)에게 하가하였다. 슬하에 1남1녀를 두었다.
  • 순 옹주 : (1)조선 중종의 딸(1512~1583). 경빈(敬嬪) 박씨(朴氏)의 소생이며, 김헌윤(金憲允)의 아들 광천위(光川尉) 김인경(金仁慶)에게 하가하였다. 1527년에 작서의 변이 일어나 1533년 상주로 유배되었다.
  • : (1)은혜를 베푸는 방법.
  • : (1)은혜롭게 알리거나 보인다는 뜻으로, 남이 무엇을 알려 줌을 높여 이르는 말. 주로 편지에 쓴다. (2)은혜로 베풂. (3)중국 전국 시대 송나라의 학자(B.C.370?~B.C.309?). 혜자(惠子)라고도 한다. 명가(名家)에 속하는 학자로서 언변이 뛰어났으며, 장주(莊周)와 교유하였고, 위나라의 혜왕과 양왕을 섬기었다. 저서에 ≪혜자(惠子)≫가 있다.
  • 시하다 : (1)(높이는 뜻으로) 남이 무엇을 알려 주다. 은혜롭게 알리거나 보인다는 뜻에서 나온 말로, 주로 편지에 쓴다. (2)은혜로 베풀다.
  • : (1)오분법신(五分法身)의 하나. 소승 불교에서, 부처의 몸의 한 부분을 이르는 것으로,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의 오법 중에 ‘혜’를 부처의 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원만하고 밝은 지혜로 법성을 달관한 상태를 뜻한다.
  • : (1)총명하고 슬기로운 마음. (2)불도의 지혜로운 마음. 거리끼는 것이 없고 그 자체가 맑고 밝아서 이것으로 모든 사리를 달관한다고 한다. (3)고려 후기의 승려(1178~1234). 속성은 최(崔). 자는 영을(永乙). 호는 무의자(無衣子). 신종 4년(1201)에 태학에 들어갔으며 보조 국사 밑에서 출가하였다. 저서에 ≪선문강요(禪門綱要)≫, ≪선문염송집≫ 따위가 있다. (4)미인의 고운 마음씨.
  • 아리다 : (1)‘헤아리다’의 옛말.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혜로 끝나는 단어 (133개) : 금리지혜, 민혜, 전정 투혜, 실혜, 백승혜, 홍목당혜, 말혜, 대정혜, 목저혜, 무루혜, 하후혜, 초성 은혜, 명태식혜, 여태혜, 수혜, 좌포우혜, 특혜, 유혜, 사팔혜, 운혜, 태사혜, 김정혜, 마혜, 협금혜, 피온혜, 대상 시혜, 피혜, 불비지혜, 백운혜, 복혜 ...
혜로 끝나는 단어는 13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혜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8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