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성 ㅂ ㅈ 단어: 697개
-
바자
:
1
대, 갈대, 수수깡, 싸리 따위로 발처럼 엮거나 결어서 만든 물건. 울타리를 만드는 데 쓰인다.
2
bazar bazaar
공공 또는 사회사업의 자금을 모으기 위하여 벌이는 시장. - 바작 : 1 ‘바작거리다’의 어근. 2 백합과의 조개. 껍데기의 길이는 4cm, 높이는 3cm 정도이며, 껍데기에 부챗살마루가 있고 회색을 띤 백색에 회색을 띤 청색의 무늬가 있으나 개체에 따른 변이가 심하다. 맛이 좋아 식용하며, 양식하기도 한다. 민물이 섞이는 바다의 모래펄에 사는데 한국,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바지락’이다. 3 ‘대자리’의 옛말. ... (총 6개의 의미)
-
바잔
:
Bhajan
북인도의 힌두교 예배용 작품 가운데 가장 인기 있는 형식. 가사는 힌두 신을 예찬하고 힌두 경전의 성구에서 예화를 전달한다. - 바장 : 1 ‘바장거리다’의 어근. 2 ‘똥장군’의 방언
- 바재 : 1 ‘발채’의 방언 2 ‘울타리’의 방언
-
바쟁
:
1
Bazin, René François Nicolas Marie
르네 프랑수아 니콜라 마리 바쟁, 프랑스의 소설가(1853~1932). 법학 박사 학위까지 받았으나, 1880년부터 문학을 시작하여 소설 <잉크의 오점(汚點)>, <시시루>로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주로 농민의 전원생활을 묘사하여 프랑스의 전통적 향토색을 풍기는 작품을 썼다. 2Bazin, Andre
앙드레 바쟁, 프랑스의 영화 평론가(1918~1958). 일간지, 주간지 따위에 글을 썼으며,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의 창립에 기여했다. 자신의 글을 모은 평론집을 다수 남겼고, 대표적인 저서에 ≪영화란 무엇인가?≫가 있다. - 바제 : ‘바자’의 방언
-
바젤
:
Basel
스위스 북부, 라인강 수운이 끝나는 곳에 있는 항구 도시. 14세기 말에 자치 도시가 되었고, 1501년 스위스 연방에 가맹하였다. 서쪽 연안의 대바젤은 상업과 문화가, 동쪽 연안의 소바젤에는 기계ㆍ섬유 공업이 발달하였다. 종교 개혁의 유적이 많으며 국제 결제 은행이 있다. - 바조 : ‘바자’의 옛말.
- 바주 : ‘바자’의 방언
- 바줄 : ‘밧줄’의 방언
-
바쥬
:
baju
말레이시아 전통 복식의 하나. 작은 칼라와 짧은 소매가 달린 윗옷으로, 가슴에 패치 주머니가 있다. -
바지
:
1
아랫도리에 입는 옷의 하나. 위는 통으로 되고 아래에는 두 다리를 꿰는 가랑이가 있다.
2
barge
운하ㆍ하천ㆍ항내(港內)에서 사용하는, 밑바닥이 편평한 화물 운반선. 3 기술을 가진 사람. ... (총 6개의 의미) - 바직 : 1 ‘바지직’의 준말. 2 ‘바지직’의 준말. 3 ‘바지직’의 준말. ... (총 6개의 의미)
-
바질
:
1
basil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cm 정도이며, 잎은 달걀 모양이다. 전체에 향기와 매운맛이 있어 향신료나 방향제로 쓴다.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고 재배하기도 한다. 2 ‘바느질’의 방언 -
박자
:
1
拍子
토기를 만들 때 바탕흙을 두드려 단단하게 하는 데 쓰던 연장. 손잡이가 달린 펀펀한 나무 판으로, 여러 가지 무늬가 새겨져서 두드릴 때 그릇 겉면에 무늬를 내기도 한다. 2拍子
음악적 시간을 구성하는 기본적 단위. 보통 마디와 일치한다. 3 ‘우박’의 방언 - 박작 : 1 많은 사람이 어수선하게 높은 소리로 떠들거나 움직이는 모양. 2 ‘바가지’의 방언
-
박잔
:
박盞
조그만 박을 반으로 갈라 옻칠을 하고 금 고리를 단 잔. 혼례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술을 주고받을 때에 쓴다. -
박잡
:
駁雜
‘박잡하다’의 어근. -
박장
:
1
拍掌
두 손바닥을 마주 침. 2薄葬
장례를 간단히 지냄. -
박재
:
1
‘우박’의 방언
2
舶載
배에 실음. 3舶載
선박에 실어 운송함. ... (총 6개의 의미) - 박적 : ‘바가지’의 방언
-
박전
:
1
泊戰
‘육박전’의 북한어. 2搏戰
서로 맞붙어 치고받으며 싸움. 3薄田
메마른 밭. -
박절
:
1
拍節
일정한 박자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진행되는 것. 2迫切
‘박절하다’의 어근. -
박접
:
剝椄
껍질이 잘 벗겨지는 초봄에 대목에 한두 줄로 칼자국을 낸 후 껍질을 벗기고, 안쪽 목질부에 부름켜가 밀착되도록 깎은 접수를 끼워 넣어 새로운 개체로 키우는 접목 방법. -
박정
:
1
朴炡
조선 중기의 문신(1596~1632). 자는 대관(大觀). 호는 하석(霞石).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이 되었고, 이괄의 난을 평정하였다. 벼슬은 이조 참판, 홍문관 부제학을 지냈다. 2薄情
‘박정하다’의 어근. -
박제
:
剝製
동물의 가죽을 곱게 벗기고 썩지 아니하도록 한 뒤에 솜이나 대팻밥 따위를 넣어 살아 있을 때와 같은 모양으로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물건. - 박조 : ‘곰보’의 방언
- 박족 : ‘밥주걱’의 방언
-
박종
:
鎛鐘
열두 개의 쇠 종을 틀에 단 악기. -
박죄
:
薄罪
가벼운 죄. -
박주
:
1
박主
노름판에서 물주 노릇을 하는 사람. 2薄酒
맛이 좋지 못한 술. 3薄酒
남에게 대접하는 술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 (총 4개의 의미) -
박죽
:
1
‘밥주걱’의 방언
2
‘밥주걱’의 북한어.
3
박粥
박의 흰 살을 잘게 썰어 멥쌀과 돼지고기 또는 닭고기를 넣고 쑨 죽. - 박쥐 : 1 박쥐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쥐와 비슷하나 귀가 크고 앞다리가 날개처럼 변형되어 날아다닌다. 시각은 좋지 않으나 성대로부터 초음파를 내어 그 반사음을 귀에서 받아들여 거리와 방향을 안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데 동굴이나 나무 속 또는 삼림 등지에 산다. 전 세계에 18과 1000여 종이 분포한다. 2 애기박쥣과의 하나. 등 쪽은 어두운 갈색, 배 쪽은 잿빛을 띤 갈색이다. 인가 부근에 흔한데 낮에는 지붕의 기왓장 속같이 어두운 곳에서 잠을 자고 밤에 나와 나방ㆍ모기 따위를 잡아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등지에 분포한다. 3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슈트라우스의 작품 번호 56. 슈트라우스가 쓴 열여섯 개의 오페라타 가운데 <집시 남작>과 함께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히는 곡이다. 1874년 빈에서 초연된 총 3막의 작품으로, 남작과 박사, 남작 부인과 시녀, 그리고 형무소장 따위의 등장인물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코믹한 내용을 다룬다.
-
박지
:
1
泊地
배가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해안 지역. 2迫至
어떤 일이 매우 가까이 다가와 있음. 3薄地
메마른 땅. ... (총 9개의 의미) -
박직
:
1
剝職
관직을 박탈함. 2樸直
‘박직하다’의 어근. -
박진
:
1
朴珍
연출가ㆍ극작가(1905~1974). 호는 우석(愚石). 극단 토월회(土月會)와 산유화회(山有花會), 화조회에서 연출 활동을 계속하였다. 작품에 <소낙비>, <명기 황진이> 따위가 있다. 2迫眞
표현 따위가 진실에 가까움. 3迫進
바싹 가까이 나아감. ... (총 5개의 의미) -
박질
:
樸質/朴質
‘박질하다’의 어근. -
반자
:
1
‘떨잠’을 속되게 이르는 말.
2
지붕 밑이나 위층 바닥 밑을 편평하게 하여 치장한 각 방의 윗면.
3
半子
아들이나 다름없이 여긴다는 뜻으로, ‘사위’를 이르는 말. ... (총 7개의 의미) -
반작
:
1
작은 빛이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모양. ‘반짝’보다 여린 느낌을 준다.
2
反作
조선 후기에, 환곡 제도의 폐단 가운데 아전들이 환곡을 사사로이 써 버리고 그것을 메우기 위하여 농민에게서 강제로 금품을 거두어 분식(分食)하던 일. ⇒규범 표기는 ‘번작’이다. 3半作
소출이 평년작에 비하여 반쯤 됨. 또는 그 정도의 소출. ... (총 6개의 의미) -
반잔
:
盤盞
받침이 있는 술잔. -
반장
:
1
반裝
등장인물의 성격, 나이, 특징 따위에 맞게 배우의 얼굴과 옷차림 등을 꾸밈. 또는 그런 차림새. ⇒규범 표기는 ‘분장’이다. 2反張
경련이 일어 몸이 뒤로 잦혀지는 증상. 3半裝
활을 만드는 특수한 나무를 활 몸체의 안쪽에만 대어 활을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활. ... (총 14개의 의미) -
반재
:
1
半齋
선종에서, 이른 아침의 죽과 정오의 재식(齋食) 중간에 간단히 먹는 음식. 또는 그 시각. 2 ‘반지’의 방언 -
반적
:
1
반炙
홍당무, 고사리, 쇠고기 따위를 꼬챙이에 번갈아 꿰어서 멥쌀가루 반죽을 묻혀 찐 다음, 다시 달걀 푼 것을 씌워 부친 음식. 2叛賊
자기 나라를 배반한 역적. 3叛跡
국가나 군주를 무너뜨릴 것을 꾀한 흔적. ... (총 4개의 의미) -
반전
:
1
反田
논을 밭으로 만듦. ⇒규범 표기는 ‘번전’이다. 2反戰
전쟁을 반대함. 3反轉
반대 방향으로 구르거나 돎. ... (총 15개의 의미) -
반절
:
1
半절
허리를 굽혀 양손을 바닥에 짚고 앉아 고개를 숙여서 하는 여자의 절. 2半절
아랫사람의 절을 받을 때 완전히 바닥에 엎드리지 않고 앉은 채 윗몸을 반쯤 굽혀서 하는 절. 3反切
한자의 음을 나타낼 때 다른 두 한자의 음을 반씩 따서 합치는 방법. ‘文(문)’의 음은 ‘無(무)’의 초성인 ‘ㅁ’과 ‘分(분)’의 중성 및 종성인 ‘ㅜ, ㄴ’을 합친 ‘문’이 되는 것 따위이다. ... (총 11개의 의미) -
반점
:
1
反點
중심이 O, 반지름이 r인 원에서, O 이외의 임의의 점을 P라고 할 때, OP를 잇는 직선 위에 OPㆍPQ=이 되는 점 Q를 취하는 일. 2
半點
한 점의 절반. 3半點
아주 짧은 시간. ... (총 10개의 의미) -
반접
:
伴接
모시어 접대함. -
반정
:
1
反正
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감. 또는 그 상태로 돌아가게 함. 2反正
난리를 진압하여 태평한 세상을 만듦. 3反正
옳지 못한 임금을 폐위하고 새 임금을 세워 나라를 바로잡음. 또는 그런 일. ... (총 7개의 의미) -
반제
:
1
反帝
우월한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다른 나라나 후진 민족을 정벌하려는 침략주의를 반대하는 경향. 2半製
가공을 마치지 아니함. 3半製
완제품의 재료로 쓰기 위하여 기초 원료를 가공한 중간 제품. 또는 모든 제조 과정을 거치지는 않았으나, 그대로 저장과 판매가 가능한 중간 제품. ... (총 8개의 의미) -
반조
:
1
反照
돌이켜 살펴봄. 2半租
쌀이 반, 뉘가 반이라는 뜻으로, 쌀에 뉘가 아주 많이 섞여 있음을 과장하여 이르는 말. 3返照
빛이 반사되어 되쪼임. 또는 그 빛. ... (총 6개의 의미) -
반족
:
1
半族
둘로 나뉜 각각의 친족 집단. 2班族
양반의 겨레붙이. -
반종
:
1
班種
양반의 자손. 2半種
‘튀기’의 방언 3半種
어떤 개체군이 종인지 아종인지 판정하기 곤란할 때 붙이는 계급명. 지리적 격리로 인해 어떤 종과 아종 사이에 나타나는 중간적인 분류이다. -
반좌
:
1
反佐
약을 쓰는 방법의 하나. 주된 작용을 하는 약의 성질과 상반되는 약을 보조 약물로 약간 넣어 처방한다. 2反坐
거짓으로 고자질하여 남을 벌받게 한 사람에게 고자질을 당한 사람이 받은 벌과 같은 벌을 주던 일. 3半座
스승이 수제자에게 자기의 법좌(法座)를 나누어 주어 앉게 하고, 그 제자가 중생을 제도하게 하는 일. 석가모니가 제자 가섭(迦葉)에게 자리를 나누어 앉게 한 데서 유래한다. ... (총 4개의 의미) -
반주
:
1
半周
한 바퀴의 반. 2半周
둘레의 반을 도는 일. 3半柱
본기둥의 반쪽 크기의 기둥. ... (총 10개의 의미) - 반죽 : 1 가루에 물을 부어 이겨 갬. 또는 그렇게 한 것. 2 뻔뻔스럽거나 비위가 좋아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는 성미. 3 여러 가지가 뒤섞여 있는 것.
-
반줄
:
Banjul
감비아의 감비아강 하구 세인트메리섬에 있는 항구 도시. 이 나라의 대표적 산물인 땅콩을 수출한다. 감비아의 수도이다. -
반중
:
1
泮中
예전에, 성균관을 중심으로 한 근처의 동네를 이르던 말. 2反中
중국에 반대함. 또는 중국에 반대되는 것. - 반쥭 : ‘반죽’의 옛말.
-
반증
:
1
反證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함. 또는 그런 증거. 2反證
어떤 사실과 모순되는 것 같지만, 오히려 그것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는 사실. -
반지
:
1
멸칫과의 하나. 몸은 길고 배 쪽은 희다. 머리 밑 양쪽에 뾰족하고 긴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한국 서남 연해, 중국, 동인도 연해 등지에 분포한다.
2
半指/斑指
장식으로 손가락에 끼는 고리. 위쪽에 보석을 박거나 무늬를 새겨 꾸미기도 한다. 3半紙
얇고 흰 일본 종이. 세로 25cm, 가로 35cm 정도로 종이의 질은 질기고 거칠며, 종류와 쓰임이 다양하다. ... (총 4개의 의미) -
반직
:
伴直
두 사람이 함께 당직이나 숙직을 함. -
반진
:
1
反眞
도교에서, ‘죽음’을 이르는 말. 2斑疹
온몸에 좁쌀 모양의 붉은 점이 돋는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반질
:
1
‘반질거리다’의 어근.
2
反質
물음에 대답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질문자에게 따져 되물음. 3 ‘바느질’의 방언 -
반집
:
半집
바둑에서, 비기는 일을 없애기 위하여 덤을 ‘여섯 집 반’ 또는 ‘일곱 집 반’으로 규정함으로써 생기는 계산상의 집. - 반짓 : ‘절반’의 방언
- 받자 : 1 남이 괴로움을 끼치거나 여러 가지 요구를 하여도 너그럽게 잘 받아 줌. 2 자백을 받음. 또는 그런 일. 3 관아에서 환곡이나 조세 따위를 받아들이던 일.
- 받줄 : 그물의 아랫부분이 가라앉거나 드리우게 하기 위하여 받돌을 다는 줄.
- 발자 : 1 ‘발자하다’의 어근. 2 ‘발찌’의 방언
-
발작
:
1
‘발짝’의 북한어.
2
發作
어떤 병의 증세나 격한 감정, 부정적인 움직임 따위가 갑자기 세차게 일어남. 3 ‘발자국’의 방언 -
발장
:
撥長
발군(撥軍)의 우두머리. -
발재
:
1
拔才
뛰어난 재간. 또는 그런 재간을 가진 사람. 2 ‘발찌’의 방언 3 ‘그리마’의 방언 - 발잭 : ‘발자국’의 방언
-
발적
:
發赤
피부나 점막에 염증이 생겼을 때에 그 부분이 빨갛게 부어오르는 현상. 모세 혈관의 확장이 그 원인이다. -
발전
:
1
發展
더 낫고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감. 2發展
일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됨. 3發電
전기를 일으킴. ... (총 4개의 의미) -
발정
:
1
發情
동물이 성호르몬에 의하여 성적 충동을 일으킴. 또는 그 성적 충동. 주로 동물의 암컷에게 일어나는데 번식기에 나타난다. 2發情
사람이 성적 충동을 일으킴. 또는 그 성적 충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 3發程
길을 떠남. -
발제
:
1
發題
토론회나 연구회 따위에서 어떤 주제를 맡아 조사하고 발표함. 2 재앙을 물리침. ⇒규범 표기는 ‘불제’이다. 3髮際
머리털이 자라는 경계. ... (총 5개의 의미) -
발조
:
1
發條
얇고 긴 강철 띠를 돌돌 말아 그 풀리는 힘으로 시계 따위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 2balzó
15~16세기 이탈리아에서 유행한 터번 모양의 머리 장식. 가죽에 금이나 구리를 입힌 것으로, 여성들이 착용하였다. -
발족
:
1
발足
한자 부수의 하나. ‘路’, ‘蹇’ 따위에 쓰인 ‘足’을 이른다. 2發足
어떤 조직체가 새로 만들어져서 일이 시작됨. 또는 그렇게 일을 시작함. -
발졸
:
撥卒
각 역참에 속하여 중요한 공문서를 교대 교대로 변방에 급히 전하던 군졸. 보발(步撥)과 기발(騎撥)이 있었다. -
발종
:
發蹤
매어 놓았던 사냥개를 풀어놓음. -
발주
:
1
發走
달리기 시작함. 2發走
경마에서, 그 회의 경기가 시작됨. 3發走
경륜에서, 그날의 첫 경기가 시작됨. ... (총 5개의 의미) - 발죽 : ‘박쥐’의 방언
- 발줄 : 그물에서, 그물추를 매다는 줄. 뜸줄의 반대쪽에 있다.
- 발쥐 : ‘박쥐’의 방언
- 발즌 : ‘발전’의 방언
-
발지
:
1
髮指
몹시 성내는 모양. 2髮遲
오지(五遲)의 하나. 어린아이의 머리카락이 태어나서부터 몹시 성글고 잘 자라지 않는 증상이다. 3 ‘박쥐’의 방언 ... (총 4개의 의미) -
발진
:
1
拔進
여러 사람 가운데서 뽑아 승진시킴. 2發振
밖에서 힘을 가하지 않고 진동을 일으킴. 3發振
직류 에너지를 전기 진동 에너지, 즉 교류 에너지로 변환하는 일. ... (총 5개의 의미) - 발질 : 1 발로 걷어차는 짓. 2 ‘발길’의 방언
- 발짓 : 발을 움직이는 일.
- 밤잠 : 밤에 자는 잠.
-
밤장
:
1
밤場
밤에 벌이는 시장. 2밤場
명절 대목 따위에, 밤늦게까지 서는 장. -
밤잼
:
밤jam
껍질을 제거한 밤에 설탕을 넣고 약한 불로 졸여 만든 식품. -
밤죽
:
밤粥
밤을 삶아 거른 물이나 밤 가루를 푼 물에 쌀을 넣고 쑨 죽. -
밤중
:
1
밤中
밤이 깊은 때. 2밤中
어떤 일이나 사실에 대하여 전혀 모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밤쥐 : ‘박쥐’의 방언
-
밤즙
:
밤汁
날밤을 물에 담갔다가 맷돌이나 강판에 갈아서 낸 즙을 익혀서 묵처럼 만든 음식. 입맛을 돋우는 데 쓴다. - 밤질 : ‘밤길’의 방언
- 밥자 : ‘밥주걱’의 방언
-
밥장
:
밥醬
메주를 많이 넣어 되게 담근 간장.
▹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
ㅂ
(총 112 개의 단어) 🍊
- 바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박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밖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반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발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밤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밥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밧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방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자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작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잔 : ‘좀’의 방언
- 잘 : 검은담비의 털가죽.
- 잙 : ‘자루’의 방언
- 잠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잡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잣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장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