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832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41개 세 글자:739개 네 글자:385개 다섯 글자:219개 여섯 글자 이상:347개 🎗모든 글자: 1,832개

  • 원상 : (1)고려 말기의 문신(?~1339). 충렬왕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지신사, 좌승지를 지냈다. 왕위 찬탈 음모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판삼사사에 이르렀다. 가요 <태평곡>을 지었다고 하나,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 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 (1)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도봉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문서. 태조 4년(1395)에 김회련을 개국 공신으로 임명한 증서이다. ≪태조실록≫에도 기록되지 않은 내용들이 담겨 있어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보물 제437호.
  • 백봉 : (1)무용가(1927~?). 평안남도 출신으로 월남하여 김백봉 무용 연구소와 한국 예술 무용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 제 금산사 오층 석탑 : (1)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오층 석탑.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형태로, 아래층 기단의 규모가 작으며 상륜부에 지붕돌이 얹혀 있다. 전체적으로는 신라 때의 양식이지만, 지붕돌 처마의 완만한 곡선은 고려 시대의 특징이다. 보물 제25호.
  • 경징 : (1)조선 중기의 문신(1589~1637). 자는 선응(善應).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고 도승지, 한성부 판윤을 지냈다. 병자호란 때 강화가 함락되자, 강도 검찰사(江都檢察使)로서 수비에 소홀했다는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아 처형되었다.
  • 지저 : (1)고려 후기의 무신(?∼?). 1270년 당시 무신 집권자 임유무(林惟茂)를 제거하여 왕정복고를 가능하게 하였다. 충렬왕 때에 대장군에 올랐다.
  • 소금 피부 벗 : (1)소금물을 피부에 접촉시켜 피부를 벗기는 시술. 문신의 제거 따위에 사용하는 고전적인 방법으로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 시준 : (1)조선 후기의 학자(?~?). 자는 평중(平仲). 호는 의인재(依仁齋). 양역법(良役法)을 고치고자 하는 조정의 물음에 정전법(井田法)의 시행을 건의하여 영조의 총애를 받기도 하였다. 저서에 ≪강역연의(講易衍義)≫, ≪효학통의(孝學通義)≫ 따위가 있다.
  • 피떡 뒤당 : (1)혈소판이 수축함으로써 혈관 벽으로부터 응고된 피떡이 떨어지는 현상. 이는 혈관 손상 후 수일 간에 걸쳐 일어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손상된 혈관들이 재생된다.
  • 정희 : (1)조선 후기의 문신ㆍ서화가(1786~1856). 자는 원춘(元春). 호는 완당(阮堂)ㆍ추사(秋史)ㆍ시암(詩庵)ㆍ예당(禮堂)ㆍ노과(老果)ㆍ농장인(農丈人)ㆍ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순조 19년(1819)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 참판에 이르렀다. 학문 연구에 대해서는 실사구시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추사체를 완성하였다. 고증학, 금석학에도 밝아 북한산에 있던 진흥왕 순수비를 고증하였다. 작품에 <묵죽도(墨竹圖)>, <묵란도(墨蘭圖)>, <세한도(歲寒圖)> 따위가 있으며, 저서에 ≪완당집≫, ≪금석과안록≫ 따위가 있다.
  • 종한 : (1)시인ㆍ문학 평론가(1916~1944). 함경북도 경성 출신. 193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낡은 우물이 있는 풍경(風景)>이 당선되었고, 1939년 잡지 ≪문장≫에 시인 정지용의 추천을 받아 시를 발표하며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의 시들은 속도감과 공간적 이미지를 잘 활용하며 표현주의적인 경향을 띤다는 특징이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해협(海峽)의 달>, <연봉제설(連峯霽雪)>, <살구꽃처럼> 따위가 있다.
  • 셈매 : (1)순서를 나타내는 수사. 첫째, 둘째, 셋째 따위의 고유어 계통과 제일, 제이, 제삼 따위의 한자어 계통이 있다.
  • 유근 : (1)조선 후기의 문신(1785~1840). 자는 경선(景先). 호는 황산(黃山). 예조 판서, 병조 판서, 판돈령부사를 지냈다. 글씨ㆍ그림ㆍ시에 뛰어났으며, 특히 바위를 잘 그렸다. 저서에 ≪황산집≫이 있다.
  • 시유 : (1)조선 후기의 역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유(子柔). 중국어를 잘 하여 여러 차례 청나라에 파견되었고, 영조를 세제(世弟)로 책봉하는 문제나 조선에 대해 ≪명사(明史)≫에 잘못 기록된 것을 수정하는 등의 외교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였다.
  • 더덕물 : (1)더덕으로 담근 물김치. 물에 우려 쓴맛을 뺀 더덕을 잘게 찢어 소금, 파, 마늘, 설탕, 식초, 고추 따위로 양념한 다음, 소금 간을 해 차게 식혀 둔 국물을 붓는다. 이때 채 썬 오이를 함께 넣는다. 완전히 숙성되면 맛이 덜하기 때문에 즉석 김치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 고들빼기 : (1)고들빼기로 담근 김치.
  • 소월 : (1)시인(1902~1934). 본명은 정식(廷湜). 김억의 영향으로 문단에 등단하였고, 1922년에 ≪개벽≫에 대표작 <진달래꽃>을 발표하였다. 민요적인 서정시를 썼으며 작품에 <산유화(山有花)>, <접동새> 따위가 있고 시집 ≪진달래꽃≫, ≪소월 시집≫ 따위가 있다.
  • 영철전 : (1)조선 후기에 홍세태가 지은 전계 소설(傳系小說). 전란으로 인하여 고난과 애환을 겪는 김영철이라는 한 인물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으로, ≪유하집≫에 실려 있다.
  • : (1)고려 시대의 무신(?~1268). 초명은 인준(仁俊). 고종 45년(1258)에 최의(崔竩)를 살해함으로써 최씨의 무단 정치를 타도하고 왕권을 회복하였다. (2)조선 중기의 무신(1582~1627). 자는 징언(澄彦). 광해군의 난정(亂政)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가 인조반정 뒤에 여러 벼슬을 지냈다. 정묘호란 때에 안주 목사 겸 방어사를 지냈고, 안주성이 함락되자 처자와 함께 분신 자결을 하였다. (3)구한말의 의병장(?~1907). 호는 죽봉(竹峯). 1906년에 나주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고창(高敞), 광주(光州), 동복(同福) 등지에서 활약하다가 나주에서 전사하였다.
  • 형광 후 자 염색 : (1)세포 분열 시에 디엔에이가 복제되어 쌍으로 붙어 있는 자매 염색 분체 간의 교환을 쉽게 분별하기 위하여 쓰이는 염색법. 디엔에이의 염기 유사체인 브로모데옥시유리딘(BrdU)을 이용하여 형광 염색을 한 후에 다시 김자 염색을 한다.
  • 지이지 : (1)성명이 분명하지 않은 여러 사람을 두루 이르는 말.
  • 녕항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항구. 1991년에 국가 어항(漁港)으로 지정되었으며, 인근에 만장굴, 비자림, 해녀 박물관 따위가 있다.
  • : (1)케이블을 끌어당기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를 부착하기 위해 맨홀, 지하실의 벽, 천장 또는 바닥에 고정한 앵커.
  • 신국 : (1)조선 중기의 문신(1572~1657). 자는 경진(景進). 호는 후추(後瘳).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적에게 큰 타격을 주고 참봉이 되었으며, 이후에 평안도 관찰사ㆍ우참찬ㆍ호조 판서를 지냈다. 병자호란 후 볼모로 가는 소현 세자의 이사(貳師)로서 심양까지 배종(陪從)한 뒤 귀국하여, 기로소에 들었다.
  • 포 대교 : (1)한강에 건설된 다리 가운데 하나. 경기도 김포시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평을 연결하는 것으로, 1997년에 준공되었다. 길이는 2,280미터.
  • 득신 : (1)조선 중기의 시인(1604~1684).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柏谷). 저서에 ≪백곡집≫, ≪종남총지(終南叢志)≫ 따위가 있다. (2)조선 후기의 화가(1754~1822). 자는 현보(賢輔). 호는 긍재(兢齋)ㆍ홍월헌(弘月軒). 인물화를 잘 그렸다. 작품에 <영모도(翎毛圖)>, <노안도(蘆雁圖)>, <설경산수도> 따위가 있다.
  • 원봉 : (1)고려 말기의 무신(?~1359). 공민왕 5년(1356)에 동북면 병마부사로 병마사 유인우와 함께 쌍성(雙城) 등지를 수복하고 기철 일파를 숙청한 공으로 이등 공신에 올랐다. 공민왕 8년(1359)에 서북면 병마도지휘사로 있을 때에 홍건적의 급습을 받아 전사하였다. (2)독립운동가ㆍ정치가(1898~1958). 본관은 김해(金海). 호는 약산(若山). 의열단을 조직하여 일제에 항거하였고, 광복군 부사령관이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 위원 등을 지냈다. 1948년에 월북하여 최고 인민 회의 상임 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 : (1)금관가야의 제6대 왕 ‘좌지왕’의 본명. (2)조선 시대의 학자(1496~1561). 자는 문소(文素). 호는 영모당(永慕堂). 효심이 지극하여 그가 죽은 뒤에 고향에 효자 정문(孝子旌門)을 세웠다. 기대승, 양응정 등과 교유(交遊)하였다. 저서에 ≪영모록≫, ≪육사자책설(六事自責說)≫ 따위가 있다. (3)조선 전기의 문신(1422~1478). 자는 가안(可安). 호는 쌍곡(雙谷). 성삼문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였으나, 동지를 배반하고 그 사실을 임금께 고함으로써 사육신 사건을 일으켰다. 그 뒤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다.
  • 승호 : (1)배우(1918~1968). 본명은 김해수(金海壽). 1946년 영화 <자유 만세>로 데뷔하였고 35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연극에도 참여하였다. 영화인 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 치보시기 : (1)김치를 담아 먹는, 주발보다 작은 모양의 그릇.
  • 베크만 자리옮 : (1)산촉매에서 옥심이 아마이드로 자리를 옮기는 현상. 1887년에 베크만이 발견한 유기 화학 반응으로, 유기 화합물의 이온 해리를 촉진하는 물질을 가하여 반응을 일으킨다. 피나콜린 전위, 호프만 전위, 로센 전위와 마찬가지로 중간에 양이온이 형성되는 반응이다.
  • 제 금산사 미륵전 : (1)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전. 미륵불을 모신 법당으로,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인조 13년(1635)에 다시 지었다. 외관은 3층이나 내부는 단층으로 되어 있으며, 지붕의 형태는 팔작지붕이다. 국보 제62호.
16 17 1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김으로 시작하는 단어 (845개) : 김, 김가기, 김 가루, 김가진, 김간, 김감, 김 강사와 티 교수, 김개, 김개남, 김개시, 김거복, 김겸광, 김겸왕, 김경남, 김경서, 김경손, 김경신, 김경징, 김경탁, 김경태, 김계선, 김계철, 김계휘, 김공량, 김공정, 김관보, 김관성, 김관식, 김관의, 김관호 ...
김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84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김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832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