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동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90개

두 글자:1개 세 글자:10개 네 글자:16개 다섯 글자:17개 여섯 글자 이상:46개 🕊모든 글자: 90개

  • 통사적 사동 : (1)동사의 어간에 ‘-게 하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사동. 예를 들어 “엄마가 아이에게 밥을 먹게 했다.”에서 ‘먹다’의 동사 어간에 ‘-게 하다’가 결합하여 사동문이 된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 사동심결 매듭 : (1)두 개의 고리를 만들고 맞죄어 네모 모양으로 엮은 동심결의 하나. 생동심결 매듭을 앞뒤로 마디가 생기게 매어 만들고, 장례를 치를 때 죽은 사람의 몸이나 유품을 묶을 때 사용한다.
  • 한미 군사 동맹 : (1)한국과 미국 두 나라가 군사 목적을 위하여 조약을 체결하여 공동으로 행동하기로 한 약속.
  • 외측 복사 동맥망 : (1)가쪽복사 바깥 면에 여러 동맥이 연결되어 형성된 그물. 가쪽 앞 복사 동맥, 종아리 동맥, 가쪽 발목 동맥의 가지가 이를 이룬다.
  • 사동 유적 : (1)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있는, 한강 유역의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 20여 기의 집터와 돌무지 시설이 발견되었으며, 빗살무늬 토기와 돌도끼, 그물추 따위가 출토되었다.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유적 가운데 최대의 마을 단위 유적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서울 암사동 유적’이다.
  • 전사 동형 사상 : (1)두 집합 사이의 함수가 전사이면서 동형 사상인 것.
  • 면역 방사 동정법 : (1)방사능 표지를 한 항원이나 항체에 각각 반응시킬 항체나 항원을 결합하여 남거나 생성되는 항체나 항원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 사동 : (1)함께 죽는다는 뜻으로, 운명을 같이함을 이르는 말.
  • 안동 광흥사 동종 : (1)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불교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동종. 선조16년(1583)에 제작되었다. 크기는 60cm 정도이며 4면에 걸쳐 섬세하게 새긴 보살 입상이 돋보인다. 조선 중기의 동종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보물 제1645호.
  • 의사 동시 사건 : (1)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에 일어나지 않았더라도 선행 관계를 구분할 수 없는 사이트 사이의 사건.
  • 삼각 군사 동맹 : (1)세 국가가 상호 군사 동맹 조약으로 연결된 하나의 군사적 연합.
  • 직접 사동 : (1)사동주가 행동에 참여하는 사동. 보통 사동사에 의한 사동문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힌다.” 따위이다.
  • 사동전객기 : (1)조선 시대의 한문 소설. 김 진사가 회산군(檜山君)의 궁녀 영영과 사랑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유사 동음어 : (1)소리와 철자가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 동음어. 이때 소리는 높이, 길이, 세기 등 운율적 자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눈(眼)’과 ‘눈(雪)’이 각각 [눈], [눈ː]으로 실현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 하동 쌍계사 동종 : (1)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동종. 인조 19년(1641)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제작자는 미상이다. 연판문, 당초문, 연곽과 범자(梵字), 보살 입상 따위로 장식하였으며, 조선 후기 종의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1701호.
  • 안쪽 앞 복사 동맥 : (1)앞 정강 동맥에서 일어나 안쪽복사의 앞쪽으로 달리는 동맥. 뒤 정강 동맥의 가지와 연결되어 안쪽복사 그물을 형성한다.
  • 부안 내소사 동종 : (1)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동종. 고종 9년(1222)에 청림사 종으로 만들어졌으나, 철종 원년(1850)에 내소사로 옮겨졌다. 고려 시대 동종의 양식이 잘 나타나 있으며 표현이 정교하고 사실적이다. 보물 제277호.
  • 안쪽복사 동맥 그물 : (1)안쪽복사 표면에서 안쪽 앞 복사 동맥과 안쪽 발목 동맥의 가지가 형성한 동맥 그물.
  • 장형 사동 : (1)‘-게 하다’에 의해 사동적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 보통 간접 사동을 나타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국어에는 ‘먹이다’처럼 사동사가 있어 단형 사동문이 되는 경우가 있다.
  • 근사 동의 : (1)완전 동의와 전체 동의 가운데 하나만을 충족하는 동의 관계.
  • 사동치마 : (1)전체의 길이를 넷으로 똑같이 나누어 각각을 다른 빛으로 꾸민 연.
  • 한일 군사 동맹 : (1)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군사 목적을 위하여 조약을 체결하고 공동으로 행동하기로 맹세하여 맺는 약속.
  • 담양 용흥사 동종 : (1)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용흥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종. 인조 22년(1644)에 김용암의 주도하에 조성된 것이다. 비교적 큰 규모에 적절한 비례와 뛰어난 조형성이 특징이다. 보물 제1555호.
  •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 석탑 : (1)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의 중심 법당 앞뜰에 동서로 세워져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탑. 두 탑의 규모나 양식이 같다.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은 형태이며, 두 탑 모두 머리 장식이 잘 보존되어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이고, 처마가 부드럽게 들려 있어서 경쾌하다. 두 탑이 통일 신라 후기에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37호.
  • 곡성 태안사 동종 : (1)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범종. 세조 3년(1457)에 처음 주조했으나 파손되어 선조 14년(1581)에 다시 만들었다. 통일 신라에서 고려로 이어진 고유의 조형 양식과 새로운 양식이 접목되어 있어서 조선 전기 동종의 과도기적 형태를 보여 준다. 보물 제1349호.
  • 사동 접미사 : (1)일부 동사 및 형용사의 어간에 결합하여 문장의 주체가 자기 스스로 행하지 않고 남에게 그 행동이나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 따위가 있다.
  • 거창 고견사 동종 : (1)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수월리 고견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동종. 인조 8년(1630)에 치죽(緇竹), 득남(得男), 득일(得一) 등이 참여하여 제작하였다. 포탄을 엎어 놓은 형태이며, 종신에는 범자, 불상, 당초문, 보상화 무늬 따위가 있다. 문양이 세밀하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보물 제1700호.
  • 서울 암사동 유적 : (1)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있는, 한강 유역의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 20여 기의 집터와 돌무지 시설이 발견되었으며, 빗살무늬 토기와 돌도끼, 그물추 따위가 출토되었다.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유적 가운데 최대의 마을 단위 유적이다. 사적 제267호.
  • 간접 사동 : (1)사동주가 피사동주에게 스스로 행동하게 하는 사동. 사동주는 그 행동에 참여하지 않으며, 보통 ‘-게 하다’에 의한 장형 사동에서 나타난다. “어머니가 아이에게 옷을 입게 한다.” 따위이다.
  • 노사 동권 : (1)경제에서 노동과 자본을 동등한 권리를 가진 요소로 보아, 자본의 역할에 일정한 제약을 가하고 경영의 의사 결정에 노동자가 직접 참여하도록 하여 노동의 주체성을 회복시키려는 입장.
  • 통도사 은입사 동제 향로 : (1)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성보 박물관에 소장된, 고려 시대의 향로. 굵고 가는 금실과 은실을 이용하여 연꽃무늬, 덩굴무늬, 봉황 무늬를 새겼다. 몸통의 덩굴무늬 사이를 은판으로 채운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정식 명칭은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이다.
  • 사동 : (1)사동사의 형태.
  • 구례 화엄사 동 오층 석탑 : (1)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 대웅전 단(壇) 아래 동쪽에 있는 석탑. 단층 기단이며, 조각 장식이 없다. 보물 제132호.
  • 통신사 동맹 조약 : (1)1869년에 프랑스의 하바스(Havas) 통신사와 영국의 로이터, 독일의 볼프(Wolff) 통신사가 맺은 동맹 조약. 서로 경쟁을 피하고 자신들의 이익을 확보하기 위하여 맺은 조약이다.
  • 나사 동조기 : (1)빈 공간 내의 전계에 평행으로 나사를 삽입하여 나사의 길이를 변화시켜 미세하게 조정하는 동조기.
  • 순천 선암사 동종 : (1)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종. 1700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가 120cm에 달한다.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종의 형태로 세련된 문양이 특징이다. 보물 제1558호. (2)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 성보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종. 1657년에 김용암(金龍岩)이 만들었으며, 안정감 있는 종신(鍾身)과 섬세한 세부 표현이 특징이다. 보물 제1561호.
  • 접미사적 사동 : (1)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사동사에 의해 표현된 사동. ‘먹이다’와 같은 사동사에 의한 사동을 말한다.
  • 어휘적 사동 : (1)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사동사에 의해 표현된 사동. ‘먹이다’와 같은 사동사에 의한 사동을 말한다.
  • 사동 : (1)사동문에서 사동주에 의하여 어떤 행위를 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도록 시킴을 받는 대상. 주로 목적어나 부사어로 나타난다.
  • 청도 운문사 동호 :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항아리. 전체가 흑색을 띠고 있으며, 원통형에 가까운 몸체와 특이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감로준(甘露樽)이라는 이름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불교 용구로 짐작된다. 고려 문종 21년(1067)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208호.
  • 사동 : (1)사동사가 서술어로 쓰인 문장. ‘철수가 동생에게 책을 읽힌다.’, ‘엄마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 따위이다.
  • 화엄사 동 오층 석탑 : (1)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 대웅전 단(壇) 아래 동쪽에 있는 석탑. 단층 기단이며, 조각 장식이 없다. 보물 정식 명칭은 ‘구례 화엄사 동 오층 석탑’이다.
  • 연곡사 동부도 : (1)전라남도 지리산 연곡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승탑. 높이 3미터의 화강암 승탑으로, 통일 신라 말기에 제작된 승탑 가운데 그 형태가 가장 우아하고 아름다운 정교한 작품이다. 국보 정식 명칭은 ‘구례 연곡사 동승탑’이다.
  • 상원사 동종 : (1)강원도 평창군 상원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종. 성덕왕 24년(725)에 제작된 것으로, 현존하는 우리나라 범종 가운데 최고(最古)의 것이며 그 소리가 웅장하고도 아름답다. 국보 제36호.
  • 근사 동의 관계 : (1)완전 동의와 전체 동의 가운데 하나만을 충족하는 동의 관계.
  • 가사 동선 : (1)집안일을 하기 위하여 사람이 움직이는 자취나 방향을 나타내는 선.
  • 가쪽 앞 복사 동맥 : (1)앞 정강 동맥에서 시작하여 가쪽으로 뻗은, 발목 관절에 분포하는 동맥.
  • 가쪽복사 동맥 그물 : (1)가쪽복사 바깥 면에 여러 동맥이 연결되어 형성된 그물. 가쪽 앞 복사 동맥, 종아리 동맥, 가쪽 발목 동맥의 가지가 이를 이룬다.
  • 단형 사동 : (1)접미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사동사에 의하여 표현된 사동.
  • 사동 : (1)중국 청나라 말의 개혁가(1865~1898). 자는 복생(復生). 평등주의, 박애주의에 의한 신학(新學)을 제창하였으며, 캉유웨이(康有爲)의 변법자강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무술정변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남양주 봉선사 동종 : (1)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종. 예종 원년(1469)에 왕실의 명령으로 만들었다.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지고 종의 고리 구실을 하고 있다. 종의 어깨 부분에는 이중의 가로줄이 돌려져 몸통 부분과 구분되며, 종의 아랫부분에는 강희맹이 짓고 정난종이 글씨를 쓴 장문이 새겨져 있다. 보물 제397호.
  • 고흥 능가사 동종 : (1)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능가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범종. 숙종 24년(1698)에 김애립(金愛立)이 만들었다. 정교한 세부 문양과 뛰어난 조형성으로 17세기를 대표하는 범종으로 평가된다. 보물 제1557호.
  • 군사 동맹 : (1)둘 이상의 나라가 군사 목적을 위하여 조약을 맺어 공동으로 행동하기로 하는 약속.
  • 우설적 사동 : (1)동사의 어간에 ‘-게 하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사동. 예를 들어 ‘엄마가 아이에게 밥을 먹게 했다’에서 ‘먹다’의 동사 어간에 ‘-게 하다’가 결합하여 사동문이 된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한다.
  • 사동 계곡 : (1)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에 있는 계곡. 남조천 상류에 해당하는 곳으로, 물이 맑고 깨끗하다.
  • 구례 연곡사 동승탑 : (1)전라남도 지리산 연곡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승탑. 높이 3미터의 화강암 승탑으로, 통일 신라 말기에 제작된 승탑 가운데 그 형태가 가장 우아하고 아름다운 정교한 작품이다. 국보 제53호.
  • 장형 사동 : (1)‘-게 하다’에 의한 사동. 사동사에 의한 사동보다 형식이 길고, 보통 간접 사동을 나타낸다.
  • 사동심원 근접 형판 : (1)멀티모드 광섬유로부터 근접 복사 형상에 적용되는 네 개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형판.
  • 사동 보조 동사 : (1)어떤 동작을 하도록 시킴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 ‘-게 하다’, ‘-게 만들다’가 이에 속한다. 예를 들어 ‘나는 아들에게 구두를 닦게 하였다.’에서 ‘-게 하다’는 ‘구두를 닦다’라는 동작을 하도록 시켰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 방사 동형화 : (1)모양이 바큇살처럼 뻗어 있는 꽃.
  • 사동심원 굴절률 형판 : (1)멀티모드 광섬유로부터 완전한 굴절률 분포에 적용되는 네 개의 동심원으로 구성된 평판.
  • 사동 : (1)박사처럼 박식한 어린이를 귀엽게 이르는 말.
  • 사동 : (1)사동문에서 피사동주로 하여금 어떤 행위를 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게 하는 사람이나 대상.
  • 단형 사동 : (1)접미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사동사로 표현하는 사동문. 예를 들어 “영희가 동생에게 옷을 입혔다.” 따위이다. “영희가 동생에게 옷을 입게 했다.” 따위의 장형 사동문과 구별된다.
  • 해인사 동종 : (1)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종. 해인사 대적광전 안에 있으며, 유곽 아래에 조선 성종 22년(1491)에 만들었다는 글이 있어 종의 시대적 변천 연구에 자료를 제공하고, 불교 공예품으로서도 가치가 높다. 보물 제1253호.
  • 용주사 동종 : (1)경기도 화성시 용주사에 있는 동종.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몸체에 비천상과 삼존상이 새겨져 있다. 국보 제120호.
  • 유사 동의어 : (1)다른 용어와 형식은 달라도 똑같은 의미를 가지며, 지정된 문서 언어 중에서는 동의어로 취급되는 용어.
  • 영사 동조 : (1)영화에서, 화면의 소리와 영상을 일치시키는 작업. 영상 램프가 위에 있고 음향 램프가 아래에 있는 영사기의 구조 때문에 음대가 영상의 앞쪽에 있어야 한다.
  • 순천 선암사 동승탑 : (1)전라남도 순천시 선암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승탑. 규모가 크고 각 부분이 팔각으로 이루어졌다. 통일 신라 시대의 팔각 승탑 양식을 착실하게 따르고 있는 작품이다. 보물 제1185호.
  • 사동 : (1)조선 시대의 한문 소설. 김 진사가 회산군(檜山君)의 궁녀 영영과 사랑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사동 : (1)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에 있는 항구. 1971년에 국가 어항(漁港)으로 지정되었으며, 인근에 기성 망양 해수욕장이 있다.
  • 파생적 사동 : (1)접미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사동사에 의해 표현된 사동. ‘먹이다’와 같은 사동사에 의한 사동을 말한다.
  •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 석탑 : (1)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대웅전 앞에 좌우로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석탑 2기가 있다. 규모와 수법이 비슷하여 같은 사람이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395호.
  • 포항 오어사 동종 : (1)경상북도 포항시 오어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종. 신라 시대 종의 형태를 하고 있으나 고려 고종 3년(1216)에 주조된 것으로, 종의 변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보물 제1280호.
  • 사동 : (1)중국 청나라 초의 사학자(1638~1702). 황종희(黃宗羲)의 제자로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명사(明史)≫ 편찬에 종사했다. 또 서건학(徐乾學)의 ≪독례통고(讀禮通考)≫ 편찬에 참가하는 하는 한편, <역사사표(歷代史表)>등 많은 표를 지었다.
  • 갑사 동종 : (1)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범종. 조선 선조 17년(1584)에 기복 도량인 갑사에 매달기 위하여 주조하였다. 신라ㆍ고려 종의 양식을 계승한,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보물 제478호.
  • 운문사 동호 : (1)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항아리. 전체가 흑색을 띠고 있으며, 원통형에 가까운 몸체와 특이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도는 정확하지 않으나, 감로준(甘露樽)이라는 이름이 전하는 것으로 보아 불교 용구로 짐작된다. 고려 문종 21년(1067)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정식 명칭은 ‘청도 운문사 동호’이다.
  • 면역 방사 동정 : (1)방사능 표지를 한 항원이나 항체에 각각 반응시킬 항체나 항원을 결합하여 남거나 생성되는 항체나 항원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
  • 군사 동원 : (1)군대를 평시 체제에서 전시 체제로 갖추는 일.
  • 사동 : (1)문장의 주체가 자기 스스로 행하지 않고 남에게 그 행동이나 동작을 하게 함을 나타내는 동사. 대개 대응하는 주동문의 동사에 사동 접미사 ‘-이-, -히-, -리-, -기-’ 따위가 결합되어 나타난다. 하지만 특수한 의미를 가지게 되어 대응하는 주동사를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 여수 흥국사 동종 : (1)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종. 현종 6년(1665)에 김애립(金愛立)이 조성한 대종이다. 포탄형(砲彈型)으로, 몸체의 문양이 세밀하면서도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보물 제1556호.
  • 문경 김룡사 동종 : (1)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 성보 박물관에 보관된 사인비구(思印比丘)가 만든 종. 조선 현종 11년(1670)에 제작되었으며, 조선 후기 종의 형태가 잘 나타나 있다.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는 꽃무늬로 독특하게 표현되어 있다. 보물 제11-2호.
  • 군사 동원령 : (1)전시에 처한 국가가 전쟁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인원, 물자, 시설 따위를 동원할 목적으로 발포하는 명령.
  • 사동 선사 주거지 : (1)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에 있는, 한강 유역의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 20여 기의 집터와 돌무지 시설이 발견되었으며, 빗살무늬 토기와 돌도끼, 그물추 따위가 출토되었다.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유적 가운데 최대의 마을 단위 유적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서울 암사동 유적’이다.
  • 통영 안정사 동종 : (1)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 안정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동종. 선조 13년(1580)에 계당(戒堂), 진옥(眞玉), 문헌(文軒) 등이 제작하였다. 종신에는 당좌와 명문이 양각되어 있으며, 보살상이나 비천상은 장식되어 있지 않다. 보물 제1699호.
  • 유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 : (1)기존의 전기적 신호 다중화 방식으로 음성이나 데이터 전송 장비에 적용되는 기술. 광 통신으로 초고속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더 높은 다중화 계위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기존의 유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와는 상이한 새로운 동기식 디지털 계위가 개발되었다.
  • 사동 : (1)문장의 주체가 자기 스스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방법. 사동사에 의한 방법과 주동사에 어미 ‘-게’를 붙이고 보조 동사 ‘하다’를 쓰는 방법이 있다. 대개 대응하는 주동문이 존재하며, 주동문의 주어는 주격 조사 대신 ‘-에게’, ‘-한테’가 붙어 새로운 문장 성분이 된다.
  • 사동 : (1)조선 시대에, 과거에서 등록관이 옮겨 베낀 답안에 착오가 없나 대조하기 위하여 답안의 원본을 조사하던 벼슬아치. 성균관의 관원 가운데서 임명하였으며, 문과의 제술 시험 답안에만 적용하였다.
  • 사동 : (1)평양시 동부에 있는 전형적인 탄광 취락. 무연탄의 매장 및 채탄량은 우리나라 최대이며, 그 개발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빨랐다. (2)주체가 제3의 대상에게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동사의 성질. (3)관청이나 회사 따위에서 잔심부름을 하는 아이. (4)‘거문고’를 달리 이르는 말.
  • 검사 동일체의 원칙 : (1)전국의 검사들이 검찰권을 행사할 때에, 검찰 총장을 정점으로 하여 상하 복종 관계에서 하나의 유기적 조직체로서 활동한다는 원칙. 검찰 사무의 신속성, 통일성, 공정성을 위한 것이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586개) : 사다, 사단, 사달, 사담, 사답, 사당, 사대, 사댁, 사덕, 사데, 사도, 사독, 사돈, 사돌, 사동, 사두, 사둔, 사둘, 사뒈, 사드, 사득, 사든, 사들, 사등, 사디, 삭다, 삭단, 삭달, 삭대, 삭도, 삭독, 삭둑, 삯돈, 산다, 산단, 산달, 산닭, 산담, 산답, 산당, 산대, 산댁, 산덕, 산뎐, 산도, 산독, 산돈, 산돌, 산돗, 산동, 산돝, 산두, 산둥, 산뒤, 산득, 산들, 산듯, 산등, 산디, 살다, 살대, 살도, 살돈, 삶다, 삷다, 삸대, 삼다, 삼단, 삼달, 삼당, 삼대, 삼덕, 삼덩, 삼뎡, 삼도, 삼독, 삼돌, 삼동, 삼두, 삼등, 삽대, 삽도, 삽됴, 삿대, 샀다, 상다, 상단, 상달, 상닭, 상담, 상답, 상당, 상대, 상덕, 상덤, 상도, 상돌, 상동, 상두, 상뒤 ...

실전 끝말 잇기

사동으로 시작하는 단어 (15개) : 사동, 사동 계곡, 사동관, 사동문, 사동법, 사동 보조 동사, 사동사, 사동심결 매듭, 사동심원 굴절률 형판, 사동심원 근접 형판, 사동 접미사, 사동주, 사동치마, 사동항, 사동형 ...
사동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사동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9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