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472개

한 글자:1개 두 글자:44개 세 글자:91개 네 글자:126개 다섯 글자:74개 여섯 글자 이상:136개 🍌모든 글자: 472개

  • 코등에 파리가 앉아도 바닥으로 쫓는다 : (1)손발을 까딱하기 싫어하는 아주 게으른 사람을 비꼬는 말.
  • 옥은 흙에 묻도 옥이다 : (1)좋은 바탕을 가진 훌륭한 것은 아무리 나쁘고 험한 곳에 놓여도 자기의 바탕을 잃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종창 : (1)혀가 붓는 증상.
  • 인두 신경통 : (1)아홉 번째 뇌신경인 혀 인두 신경이 압력을 받아 발생하는 통증.
  • 적기 : (1)우리말 표기를 할 때, 형태를 살려 적는 일. ‘소리 나는 대로 적기’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발음과 상관없이 어원이나 원형을 살려 적는 방법이다.
  • 끝에 자개바람 들었느냐 : (1)혀끝에 쥐가 나서 혀가 굳었느냐는 뜻으로, 말을 전혀 하지 않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가온홀소리 : (1)혀의 정점이 입 안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 국어에서는 ‘ㅡ’, ‘ㅓ’, ‘ㅏ’ 따위가 있다.
  • 운동 자각 : (1)말할 때, 혀의 움직임을 통해 느끼는 주관적인 인식.
  • 짧은 소리 : (1)혀가 짧아서 받침이 있는 단어나 끝소리가 명확하지 않은 소리.
  • 꼬부랑이 : (1)혀가 꼬부라져서 말을 반벙어리처럼 하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옆소리 : (1)혀끝을 윗잇몸에 아주 붙이고, 혀 양쪽의 트인 데로 날숨을 흘려 내는 소리. ‘쌀’, ‘길’ 따위의 ‘ㄹ’ 음이다.
  • 성형 : (1)혀의 상해 또는 선천적 기형으로 인한 변형을 외과적으로 회복시키는 일.
  • 걸위 : (1)걸어 당기다.
  • : (1)‘목뿔뼈’의 북한어.
  • 붙임 : (1)추녀의 양쪽 옆에 붙이는 반쪽의 서까래.
  • 지도 모양 : (1)혀등에 붉은 중심 부분과 흰색 가장자리가 있는 병터들이 지도와 비슷한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 혀의 염증. 실유두의 위축 때문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터가 용해되고 합쳐져서 병터 분포에 변화가 일어난다. 수일에서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나 특별히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 : (1)어쩌다가 혹시. ⇒규범 표기는 ‘행여’이다.
  • 먹다 : (1)‘떼어먹다’의 옛말.
  • 들다 : (1)남에게 굽히어 복종하거나 따르다.
  • 절제술 : (1)혀의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
  • 이틀 고랑 : (1)배아에서 혀와 아래턱 사이에 형성된 고랑.
  • 작열 : (1)혀에서 타는 듯한 감각이 나타나는 상태.
  • 짧은 발음 : (1)혀가 짧아서 받침이 있는 단어나 끝소리가 명확하지 않은 발음.
  • : (1)‘비집다’의 옛말.
  • 끝샘 : (1)혀끝 부위에 깊게 위치한 작은 장액 점액샘.
  • 바닥소리 : (1)‘혓바닥소리’의 북한어.
  • 아랫소리 : (1)잘 들리지 아니하게 입 안의 소리로 하는 말.
  • 갈바람에 곡식이 를 빼물고 자란다 : (1)가을이 오려고 서풍이 불기 시작하면 곡식들이 놀랄 만큼 빨리 자라고 익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모발형 : (1)볏과 식물의 잎혀가 머리카락 모양으로 된 유형. 들잔디, 버뮤다그래스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 (1)‘추녀’의 옛말.
  • 느리 : (1)끌어당기다. 잡아당기다.
  • 가로근 : (1)혀 안 섬유 중격에서 시작하여 가쪽으로 뻗어 나가 혀 옆 부분의 섬유 조직에 붙는 혀 내부 근육 중의 하나. 혀를 좁히거나 혀를 늘이는 기능을 한다.
  • 가 내둘리다 : (1)몹시 놀라거나 어이없어서 말을 못 하게 되다.
  • : (1)각종 입안병, 위염, 비타민 결핍, 온몸의 감염 따위로 일어나는 혀의 염증. 혀끝이나 혀의 가장자리에 흰빛 또는 회백색의 반점이 생기며 고열, 궤양 따위를 일으킨다.
  • 신경 : (1)삼차 신경의 아래턱 신경 가지로 혀의 앞쪽 2/3에서 일반 감각을 맡아보는 신경.
  • : (1)‘물써다’의 옛말.
  • 짤배기 : (1)혀가 짧아서 ‘ㄹ’ 이나 ‘ㅅ’, ‘ㅈ’ 따위의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
  • 지내다 : (1)남에게 눌려 기를 펴지 못하고 살아가다.
  • 긴모눕쌓기 : (1)‘길이모쌓기’의 북한어.
  • 아래 구역 동맥 : (1)왼 허파 동맥의 혀 구역 동맥에서 갈라져 아래 혀 구역에 분포하는 동맥.
  • 아래 세로근 : (1)혀의 아랫면 점막 깊은 곳의 혀뿌리부터 혀끝까지 달리는 좁은 띠 모양의 근육.
  • 기리 : (1)길게 끌다.
  • 딸기 같은 : (1)혀끝이 빨갛게 부어 딸기처럼 되는 일. 성홍열을 앓을 때 볼 수 있는 증상으로, 고열 때문에 혀에 백태가 끼었다가 딸기 모양으로 빨갛게 되고 표면이 껄쭉껄쭉하게 된 것이다.
  • 가 빠지게 : (1)몹시 힘을 들여.
  • 사람의 는 뼈가 없어도 사람의 뼈를 부순다 : (1)뼈가 없는 혀를 놀려서 하는 말이 굳은 뼈도 부술 수 있다는 뜻으로, 말이란 무서운 힘을 가지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자꾸 말을 하여 날름거리는 혀를 속되게 이르는 말. ⇒남한 규범 표기는 ‘혓줄’이다. (2)‘혓줄기’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혓줄’이다.
  • 고랑 : (1)등 부분이 깊은 고랑으로 파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혀. 정상인에게도 흔히 나타나며,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 쪽매 패널 : (1)은촉을 은촉홈에 끼워서 두 널빤지를 마주 이을 수 있게 만든 판재.
  • 밑샘 : (1)혀 아래 점막의 밑에 있는 침샘.
  • : (1)닻가지의 갈라진 끝부분.
  • 어깨 지지하여 앞으로 눕 흔들기 : (1)맨손 체조에서, 2인이 하는 등운동의 하나. 서로 마주 보고 서서 팔을 앞으로 들어 상대방의 어깨에 손을 놓으면서 동시에 몸을 앞으로 눕혀서 상하로 흔들면서 등골을 편다.
  • 진 사이클 : (1)최초의 화음으로 되돌아가 주기가 완성되는 화성 사이클.
  • 동맥 목뿔 위 가지 : (1)혀 동맥에서 일어나 목뿔뼈를 따라 달리는 가지.
  • 밑샘 오목 : (1)아래턱뼈 몸통의 안쪽 면에 혀밑샘이 접하여 오목하게 된 부분.
  • 레이저를 이용한 의 폐쇄성 생검 : (1)체외에서 0.8mm 내외의 가는 바늘을 삽입하여 조직 표본을 얻는 검사. 레이저를 이용하여 환자의 혀에 어떤 종괴가 만져지거나 방사선 검사상 비정상적인 음영이 관찰될 때 시행한다.
  • 꼭지 : (1)‘혀 유두’의 북한어.
  • : (1)‘유달리’의 옛말.
  • 수직 근육 섬유 : (1)혀 수직근 속에서 수직으로 달리는 근육 섬유.
  • 한 다리 무릎 굽 올리기 : (1)맨손 체조에서, 뜀뛰기 운동의 하나. 한쪽 다리로 2회씩 뛰면서 조금씩 전진한다. 이때 팔은 앞뒤로 균형을 맞추면서 흔든다.
  • 밑 알약 : (1)활성 성분이 직접 빠르게 흡수되도록 혀 아래에 넣어 복용하는 알약.
  • 몸 굽 앞 돌아 뛰기 : (1)기계 체조에서, 뜀틀 동작의 하나. 손으로 뜀틀을 짚고 몸을 돌려 뜀틀을 넘는 과정에서 몸을 굽히고 다리를 곧게 펴 물구나무서기를 한 뒤, 자연스럽게 돌아 뜀틀을 등지고 착지한다.
  • 운동 기록계 : (1)말하는 동안 혀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장치.
  • 턱끝 : (1)아래턱뼈에서 일어나 혀로 들어가는 근육.
  • : (1)혀에 있는 점막의 깊은 곳에 있는 침샘.
  • 장맛은 에 한번 묻 보면 안다 : (1)무엇을 이해하는 데 그 일부만 가지고도 능히 전체를 알 수 있다는 말.
  • 뿌리를 함부로 내두르지 말라 : (1)아무 말이나 막 하지 말라는 말.
  • 인두 부분 : (1)위 인두 수축근에서 혀뿌리의 옆쪽에서 일어나는 부분.
  • 내밈 : (1)영아 때 젖을 빨 경우와 유사하게, 말하거나 삼킬 경우 혀를 앞니 사이로 내미는 습관. 영아 때는 자연스러운 일이나 보통 6세 이후에는 다 없어진다. ⇒규범 표기는 ‘혀 내밂’이다.
  • 가피 : (1)극심하게 설태가 낀 혀.
  • 지다 : (1)뒤로 기울어지다. (2)안쪽이 겉으로 드러나다.
  • 얼굴 신경의 인두 신경과의 교통 가지 : (1)얼굴 신경과 혀 인두 신경의 곁가지.
  • 널 힘줄 : (1)혀의 점막과 근육 사이에 있는 단단한 결합 조직. 이곳에 혀의 근육이 붙는다.
  • : (1)적게.
  • : (1)‘장여’의 옛말.
  • 몸 앞 굽 뛰기 : (1)뜀틀에서, 도움닫기와 발구름을 한 다음에 도마의 바로 옆에 손을 대고 몸을 앞으로 굽히면서 넘는 동작.
  • 장티프스 : (1)장티푸스나 다른 열병으로 인하여 탈수가 일어나 검은색을 띠는 혀. ⇒규범 표기는 ‘장티푸스 혀’이다.
  • 쏘리 : (1)‘혓소리’의 옛말.
  • 도리 : (1)장혀를 받치는 도리. 처마 도리.
  • 농양 : (1)혀에 생기는 고름증. 급성 전염병에 걸린 뒤 바로 나타나거나 충치, 곤충에 물린 독, 입안염, 혀뿌리나 편도의 고름 따위가 있을 때 발생하고, 심하면 삼킴곤란ㆍ언어 장애 및 호흡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 소뇌 : (1)소뇌 벌레에서 앞쪽 끝의 혀처럼 생긴 부분.
  • 잡다 : (1)‘부여잡다’의 옛말.
  • 짜래기 : (1)혀가 짧아서 ‘ㄹ’ 이나 ‘ㅅ’, ‘ㅈ’ 따위의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
  • 들다 : (1)옭히어 빠져들다. (2)일이 점점 더 어렵게 되다.
  • 밑 신경절 교감 뿌리 : (1)위 목신경절에서 일어난 신경절 이후의 교감 신경 섬유가 혀밑 신경절로 연결되는 가지. 혀밑 신경에 연접하지 않고 통과하여 혀밑샘의 혈관에 분포한다.
  • 손잡고 무릎 굽 발 옆으로 내기 : (1)맨손 체조에서 하는 발 운동 중의 하나. 두 사람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양손을 잡고 마주보며 선다. 서로 반대의 다리를 깊이 굽히면서 다른 다리를 옆으로 편다. 탄력을 좀 주면서 박자를 맞춰 가볍게 뛰며 다리를 바꾸어 반대의 다리로 한다.
  • 주리 : (1)‘거두다’의 옛말. (2)‘쭈그리다’의 옛말.
  • 가죽 : (1)발등을 보호하거나 물기를 막기 위하여 신발의 발등 부분에 덧대는, 혀 모양으로 된 바대 가죽.
  • 끝소리 : (1)혀끝을 윗니의 뒷부분이나 윗잇몸에 대어서 내는 소리.
  • 펴기 운동 : (1)몸을 굽혔다 폈다 하는 운동.
  • : (1)‘새하얗다’의 방언
  • 가운데 : (1)곤충의 아랫입술에 있는, 척추동물의 혀 모양을 닮은 돌출부.
  • 화끈 : (1)혀에서 타는 듯한 감각이 나타나는 상태.
  • 묻기 : (1)시체를 등이 바닥에 닿도록 눕힌 자세로 묻는 일.
  • 가는 돼지 눈 : (1)잠이 오거나 술에 취하여 거슴츠레한 눈을 비꼬는 말.
  • 싸움 : (1)말로 옳고 그름을 가리는 싸움.
  • 작은 뿔 : (1)목뿔뼈의 작은 뿔에서 일어나 혀로 들어가는 목뿔 혀근의 작은 부분.
  • 가자미 : (1)넙칫과의 물고기. 납작하며 타원형에 가깝고, 생김새가 소의 혀와 닮았다.
  • : (1)혀에 관한 학문.
  • 사이막 : (1)혀의 정중면에 수직으로 있는 섬유 조직의 막.
  • 등 정맥 : (1)혀의 윗면에서 일어나 혀의 정맥으로 들어가는 여러 개의 정맥. ⇒규범 표기는 ‘혓등 정맥’이다.
1 2 3 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혀로 시작하는 단어 (211개) : 혀, 혀(가) 굳다, 혀(가) 꼬부라지다, 혀가 내둘리다, 혀가 닳다, 혀가 돌다, 혀가 돌아가는 대로, 혀가 돌아가다, 혀가락, 혀가래, 혀가로근, 혀 가로 근육 섬유, 혀가 빠지게, 혀가자미, 혀 가죽, 혀가 짧다, 혀가 짧아도 침은 길게 뱉는다, 혀 갈림증, 혀 갑상샘종, 혀 결손증, 혀 결여증, 혀구, 혀 구역, 혀 구역 동맥, 혀 구역 정맥, 혀 구역 정맥의 아래부분, 혀 구역 정맥의 아랫부분, 혀그물, 혀 근육, 혀기 ...
혀로 시작하는 단어는 21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혀를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472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