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가다 , 변하여 가다 , 이용하다 , 끼치다 , 걸어가다
  •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문장 속에서 어조사로 사용되거나 대명사 역할을 하기도 함

# 에 관한 한자 모두 1,221

  • 尺寸之功 획순 尺寸功(척촌지공)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공로.
    尺: 寸: 마디 之: 功:

  • 父母臥命俯首聽之 획순 父母臥命俯首聽(부모와명부수청지) : 부모(父母)님께서 누워서 명하시더라도 고개를 숙이고 들음.
    父: 아비 母: 어미 臥: 누울 命: 목숨 俯: 구부릴 首: 머리 聽: 들을 之:

  • 餘桃之罪 획순 餘桃罪(여도지죄) :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餘: 남을 桃: 복숭아나무 之: 罪: 허물

  • 學而知之 획순 學而知(학이지지) :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배워서 깨달음을 이른다.
    學: 배울 而: 말 이을 知: 之:

  • 些少之事 획순 些少事(사소지사) : 사소한 일. 또는 자질구레한 일.
    些: 적을 少: 적을 之: 事:

  • 醉翁意(취옹지의) : 취한 노인의 뜻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도나 속셈이 있거나 안팎의 모습이 다른 상황을 이르는 말.
    醉: 취할 翁: 늙은이 之: 意:

  • 已往事(이왕지사) : 이미 지나간 일.
    已: 그칠 往: 之: 事:

  • 將幕分(장막지분) : 장수와 막하(幕下) 사이의 신분상의 차이.
    將: 장수 幕: 之: 分: 나눌

  • 潘楊好(반양지호) : 반(潘)과 양(楊)의 다정(多情)한 사이라는 뜻으로, 혼인(婚姻)으로 인척(姻戚) 관계(關係)까지 겹친 오래된 좋은 사이.
    潘: 뜨물 楊: 버들 之: 好: 좋을

  • 脫兎勢(탈토지세) : 달아나는 토끼의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빠른 기세를 이르는 말.
    脫: 벗을 兎: 토끼 之: 勢: 기세

  • 吮疽仁(연저지인) :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吮: 疽: 등창 之: 仁: 어질

  • 結者解(결자해지)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結: 맺을 者: 解: 之:

  • 他人有心予忖度(타인유심여촌탁지) : 다른 사람의 심정(心情)을 나는 잘 짐작(斟酌)해 앎을 이르는 말.
    他: 다를 人: 사람 有: 있을 心: 마음 予: 忖: 헤아릴 度: 헤아릴 之:

  • 三釜養(삼부지양) : 박한 봉록(俸祿)으로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경의(敬意)를 표함.
    三: 釜: 가마 之: 養: 기를

  • 天生民而樹君(천생민이수지군) : 하늘이 백성(百姓)을 낳고 그리고 임금을 세운다는 뜻으로, 임금을 내세움은 백성(百姓)을 위(爲)한 것임을 이르는 말.
    天: 하늘 生: 民: 백성 而: 말 이을 樹: 나무 之: 君: 임금

  • 樞路鄕(추로지향) : 공맹(孔孟)의 고향(故鄕)이란 뜻으로, 예절(禮節)을 알고 학문(學文)이 왕성(旺盛)한 곳을 이르는 말.
    樞: 지도리 路: 之: 鄕: 시골

  • 凌雲志(능운지지) :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말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雲: 구름 之: 志:

  • 置錐地(치추지지) : 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置: 錐: 송곳 之: 地:

  • 折枝易(절지지이) : 나뭇가지를 꺾는 것과 같이 쉽다는 뜻으로, 대단히 용이(容易)한 일을 이르는 말.
    折: 꺾을 枝: 가지 之: 易: 쉬울

  • 活人方(활인지방) : (1)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법. (2)사람의 목숨을 구하여 주는 방위나 지방.
    活: 人: 사람 之: 方:

  • 累卵勢(루란지세) : (1)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누란지세’의 북한어.
    卵: 之: 勢: 기세

  • 欽恤典(흠휼지전) : 죄수를 신중하게 심의하라는 뜻으로 나라에서 내리는 은전(恩典).
    欽: 공경할 恤: 구휼할 之: 典:

  • 古來風(고래지풍) :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풍속.
    古: 來: 之: 風: 바람

  • 英雄材(영웅지재) : 영웅이 될 자질을 갖춘 사람.
    英: 꽃부리 雄: 수컷 之: 材: 재목

  • 如松盛(여송지성) :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盛)함은 군자(君子)의 절개(節槪)를 말한 것임.
    如: 같을 松: 之: 盛: 담을

  • 漆室憂(칠실지우) :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漆: 室: 之: 憂: 근심

  • 見善從(견선종지) : 착한 일이나 착한 사람을 보면 그것을 따르라는 뜻.
    見: 善: 착할 從: 좇을 之:

  • 桑蓬志(상봉지지) : 남자가 세상을 위하여 공을 세우고자 하는 큰 뜻.
    桑: 뽕나무 蓬: 之: 志:

  • 化外氓(화외지맹) : 교화가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백성.
    化: 화할 外: 바깥 之: 氓: 백성

  • 恕而行(서이행지) :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 남의 처지를 깊이 동정하는 마음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의미.
    恕: 용서할 而: 말 이을 行: 之:

  • 取食計(취식지계) : 겨우 밥이나 얻어먹고 살아갈 만한 꾀.
    取: 취할 食: 之: 計:

  • 而立年(이립지년) : 홀로 선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가 말한 30세에 홀로 섰다는 말에서 나이 30세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보통 ‘而立’으로 표현함].
    而: 말 이을 立: 之: 年:

  • 度外(치지도외) : 마음에 두지 아니함.
    置: 之: 度: 법도 外: 바깥

  • 日冬夜(하지일동지야) : 여름의 낮이나 겨울의 밤이라는 뜻으로, 추울 때나 더울 때나 한결같이라는 말.
    夏: 여름 之: 日: 冬: 겨울 之: 夜:

  • 十伐木(십벌지목)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十: 伐: 之: 木: 나무

  • 熊虎士(웅호지사) : 곰과 호랑이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용맹한 무사나 장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熊: 虎: 之: 士: 선비

  • 又玄(현지우현) : 오묘(奧妙)하고 또 오묘(奧妙)하다는 뜻으로, 도(道)의 광대(廣大) 무변함을 찬탄(讚歎)한 말.
    玄: 검을 之: 又: 玄: 검을

  • 盡日力(진일지력) : 종일토록 맡은 일에 부지런히 쓰는 힘.
    盡: 다할 日: 之: 力:

  • 鴇羽嗟(보우지차) :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鴇: 능에 羽: 之: 嗟: 탄식할

  • 叩盆痛(고분지통) : 고분지통(鼓盆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叩: 두드릴 盆: 동이 之: 痛: 아플

  • 燕雀徒(연작지도) : 소인(小人)의 무리를 이름.
    燕: 제비 雀: 참새 之: 徒: 무리

  • 濟世才(제세지재) : 세상을 구제할 만한 재주. 또는 그 재주를 가진 사람.
    濟: 건널 世: 인간 之: 才: 재주

  • 徹天怨讐(철천지원수) : 하늘에 사무치도록 한이 맺히게 한 원수.
    徹: 통할 天: 하늘 之: 怨: 원망할 讐: 원수

  • 別而聽(별이청지) :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別: 나눌 而: 말 이을 聽: 들을 之:

  • 率土濱(솔토지빈) : 온 나라의 영토 안.
    率: 거느릴 土: 之: 濱: 물가

  • 川上歎(천상지탄) : 만물(萬物)의 변화(變化)가 덧없음을 이르는 말.
    川: 上: 之: 歎: 탄식할

  • 犬馬役(견마지역) :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
    犬: 馬: 之: 役: 부릴

  • 專對材(전대지재) : 묻는 즉시(卽時) 지혜(智慧)롭게 대답(對答)할 수 있어, 외국(外國) 사신(使臣)으로 능히 응대할 만한 지혜(智慧)를 가진 사람.
    專: 오로지 對: 대답할 之: 材: 재목

  • 嘗試計(상시지계) : 남의 뜻을 시험하여 보는 꾀.
    嘗: 맛볼 試: 시험할 之: 計:

  • 騎虎勢(기호지세) :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형세라는 뜻으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騎: 말 탈 虎: 之: 勢: 기세

  • 斗筲人(두소지인) :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두(斗)는 한 말들이 말, 소(筲)는 한 말 두되들이 대그릇.
    斗: 筲: 대그릇 之: 人: 사람

  • 兄飢弟飽禽獸遂(형기제포금수지수) : 형은 굼주리는 데 아우만 배부르다면 새나 짐승의 할 짓임.
    兄: 飢: 주릴 弟: 아우 飽: 배부를 禽: 날짐승 獸: 짐승 之: 遂: 드디어

  • 寂滅道(적멸지도) : 열반에 이르는 도리라는 뜻으로, ‘불교’를 달리 이르는 말.
    寂: 고요할 滅: 멸망할 之: 道:

  • 每人悅(매인열지) : 모든 사람의 마음을 기쁘게 함.
    每: 매양 人: 사람 悅: 기쁠 之:

  • 當路人(당로지인) : 중요(重要)한 지위(地位)에 있는 사람.
    當: 마땅할 路: 之: 人: 사람

  • 猜惡心(시오지심) : 시기하고 미워하는 마음.
    猜: 시기할 惡: 미워할 之: 心: 마음

  • 積功塔不隳(적공지탑불휴) : 공든 탑이 무너지랴의 속담(俗談)의 한역.
    積: 쌓을 功: 之: 塔: 不: 아니 隳: 무너뜨릴

  • 團欒樂(단란지락) : 단란하게 지내는 즐거움.
    團: 둥글 欒: 나무 이름 之: 樂: 즐거울

  • 逆耳言(역이지언) : 귀에 거슬리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랄한 충고를 이르는 말.
    逆: 거스를 耳: 之: 言: 말씀

  • 三秋思(삼추지사) : 하루가 삼년 같은 생각이라는 뜻으로, 몹시 사모(思慕)하여 기다리는 마음을 이르는 말.
    三: 秋: 가을 之: 思: 생각할

  • 懸河辯(현하지변) : 물이 거침없이 흐르듯 잘하는 말.
    懸: 매달 河: 강 이름 之: 辯: 말 잘할

  • 斷機戒(단기지계) :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斷: 끊을 機: 베틀 之: 戒: 경계할

  • 側目視(측목시지) : 곁눈질하여 봄.
    側: 目: 視: 之:

  • 下賤輩(하천지배) : 신분이 낮고 천한 사람의 무리.
    下: 아래 賤: 천할 之: 輩: 무리

  • 松柏茂(송백지무) : 소나무와 잣나무가 항상 푸른 것처럼 영원토록 번영함을 이르는 말.
    松: 柏: 측백나무 之: 茂: 우거질

  • 座右銘(좌우지명) : 자리 오른쪽의 새김이라는 뜻으로, 늘 자리 옆에 갖추어 놓고 반성의 재료로 삼는 격언 [ = 座右銘].
    座: 자리 右: 오른쪽 之: 銘: 새길

  • 亡我(천지망아) : 하늘이 나를 망쳤다는 뜻으로, 자기는 잘못이 없는데 저절로 망함을 탄식하여 이르는 말.
    天: 하늘 之: 亡: 잃을 我:

  • 孩提童(해제지동) : 나이가 적은 아이.
    孩: 어린아이 提: 之: 童: 아이

  • 燃眉厄(연미지액) : 눈썹에 불이 붙은 것처럼 매우 급하게 닥친 액화.
    燃: 사를 眉: 눈썹 之: 厄: 재앙

  • 忘形友(망형지우) : 외형을 잊고 사귄 친구라는 뜻으로. 외형적인 것을 상관하지 않고 마음으로서 사귄 친밀한 친구의 의미.
    忘: 잊을 形: 형상 之: 友:

  • 擔負役(담부지역) : (1)막벌이 일. (2)짐을 지는 일.
    擔: 負: 之: 役: 부릴

  • 萬乘尊(만승지존) : ‘천자’를 높여 이르는 말.
    萬: 일만 乘: 之: 尊: 높을

  • 炮烙刑(포락지형) : (1)뜨겁게 달군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 (2)중국 은나라 주왕(紂王) 때,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던 형벌.
    炮: 구울 烙: 지질 之: 刑: 형벌

  • 萬全計(만전지계) : 실패의 위험이 없는 아주 안전하고 완전한 계책.
    萬: 일만 全: 온전할 之: 計:

  • 自愧心(자괴지심) : 스스로 부끄럽게 여기는 마음.
    自: 스스로 愧: 부끄러워할 之: 心: 마음

  • 目不書(목불지서) : 눈으로 책을 알지 못함.
    目: 不: 아니 之: 書:

  • 邯鄲步(한단지보) :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말.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의 ≪추수(秋水)≫에서 나온 말이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步: 걸을

  • 不繫舟(불계지주) : (1)매어 놓지 않는 배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不: 아니 繫: 之: 舟:

  • 多事秋(다사지추) : 일이 많이 벌어진 때. 주로 국가적ㆍ사회적 일이 벌어진 때를 이른다.
    多: 많을 事: 之: 秋: 가을

  • 驚弓鳥(경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驚: 놀랄 弓: 之: 鳥:

  • 芝蘭交(지란지교) :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芝: 지초 蘭: 난초 之: 交: 사귈

  • 口耳學(구이지학) :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口: 耳: 之: 學: 배울

  • 弄璋喜(농장지희) : 아들을 낳은 즐거움. 예전에, 중국에서 아들을 낳으면 규옥(圭玉)으로 된 구슬의 덕을 본받으라는 뜻으로 구슬을 장난감으로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璋: 반쪽 홀 之: 喜: 기쁠

  • 貪者怨本(탐자원지본) : 무엇을 탐한다는 것은 남의 원한(怨恨)을 사는 근본(根本)임.
    貪: 탐할 者: 怨: 원망할 之: 本:

  • 自勝癖(자승지벽) : 자기 스스로 남보다 낫다고 여기는 버릇.
    自: 스스로 勝: 이길 之: 癖: 버릇

  • 蒲柳姿(포류지자) : 갯버들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갯버들 잎이 일찍 시들어 떨어지는 데서, 쇠약한 몸이라는 것을 스스로 표현할 때 사용하거나, 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蒲: 부들 柳: 버들 之: 姿: 맵시

  • 魚豕惑(어시지혹) : ‘노(魯)’를 ‘어(魚)’로, ‘해(亥)’를 ‘시(豕)’로 쓰는 의혹이라는 뜻으로, 여러 번 옮겨 쓰다 보면 반드시 잘못 쓴 글자가 생김을 이르는 말.
    魚: 고기 豕: 돼지 之: 惑: 미혹할

  • 弟無衣服兄必與(제무의복형필여지) : 아우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형은 반드시 이를 주어야 함.
    弟: 아우 無: 없을 衣: 服: 兄: 必: 반드시 與: 之:

  • 毋望人(무망지인) : 급한 어려움에 처했을 때 뜻밖의 도움을 주는 사람.
    毋: 望: 바랄 之: 人: 사람

  • 巫山雨(무산지우)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雨:

  • 間世材(간세지재) :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인재.
    間: 世: 인간 之: 材: 재목

  • 聚斂臣(취렴지신) : 거두어드리는 신하라는 뜻으로, 지위를 이용하고 윗사람의 권력을 빌어, 백성을 가혹하게 다루고, 세금이나 뇌물을 긁어드리는 신하를 이르는 말.
    聚: 모일 斂: 거둘 之: 臣: 신하

  • 反掖寇(반액지구) : 겨드랑이 밑에서 모반(謀叛)하는 적이라는 뜻으로, 내란(內亂)을 이름.
    反: 돌이킬 掖: 겨드랑이 之: 寇: 도둑

  • 黃粱一炊夢(황량일취지몽) :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밥이 꿈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之: 夢:

  • 特立士(특립지사) : 세속에 따르지 아니하고 스스로 믿는 바를 행하는 훌륭한 사람.
    特: 유다를 立: 之: 士: 선비

  • 大有年(대유지년) : 큰 소득이 있는 해라는 뜻으로, 크게 풍년(豊年)이 든 해를 의미함.
    大: 有: 있을 之: 年:

  • 肺腑言(폐부지언) :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참된 말.
    肺: 허파 腑: 장부 之: 言: 말씀

  • 中天(거지중천) : 텅 빈 공중.
    居: 있을 之: 中: 가운데 天: 하늘

  • 率性謂道(솔성지위도) :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말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따르는 것을 도리라고 말한다는 <중용(中庸)>의 가치.
    率: 거느릴 性: 성품 之: 謂: 이를 道:

  • 自中亂(자중지란) : 같은 편끼리 하는 싸움.
    自: 스스로 中: 가운데 之: 亂: 어지러울

1 3 4 5
#군자 56 #음식 79 #상황 119 #생활 82 #상대 56 #세월 71 #시대 114 #가난 90 #생각 236 #은혜 70 #사물 172 #근심 65 #재능 61 #집안 93 #싸움 61 #백성 105 #인간 65 #훌륭 85 #아침 72 #나무 166 #무리 64 #의지 69 #가운데 104 #사용 312 #경계 56 #부모 136 #근본 66 #형용 67 #구름 67 #벼슬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