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 ,
  • 크다 , 거대함 , 많다 , 고귀하다 , 훌륭하다
  • 본래 사람을 정면에서 본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후에 동양 철학의 천지인(天地人)의 개념에서 ‘크다’는 의미 생성

# 에 관한 한자 모두 200

  • 拍案大叫 획순 拍案叫(박안대규) : 책상을 치며 큰 소리를 지름.
    拍: 案: 책상 大: 叫: 부르짖을

  • 强大無比 획순 無比(강대무비) : 비할 데 없이 강대(强)함.
    强: 굳셀 大: 無: 없을 比: 견줄

  • 漠漠大海 획순 漠漠海(막막대해) : 끝없이 넓게 펼쳐진 바다.
    漠: 사막 漠: 사막 大: 海: 바다

  • 大上立德 획순 上立德(대상입덕) : 최고의 으뜸은 덕을 세움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가장 훌륭함은 덕(德)을 닦아 세인(世人)을 교화(敎化)함에 있다는 의미.
    大: 上: 德:

  • 八包大商 획순 八包商(팔포대상) : (1)조선 후기에,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가는 사신을 따라가서 홍삼을 팔도록 허가를 받은 의주 상인. (2)생활에 걱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包: 大: 商: 헤아릴

  • 無量福(무량대복) :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큰 복.
    無: 없을 量: 헤아릴 大: 福:

  • 安(대안) : (1)신라 진평왕 때의 승려(571~644). 원효의 스승이었다고 한다. (2)‘대안하다’의 어근. (3)중국 금나라 위소왕 때의 연호(1209~1211). (4)중국 서하 혜종 때의 연호(1076~1085).
    大: 安: 편안할

  • 椿之壽(대춘지수) : 오래도록 삶.
    大: 椿: 참죽나무 之: 壽: 목숨

  • 無上福(무상대복) : 더할 수 없이 큰 복.
    無: 없을 上: 大: 福:

  • 馬相戰(대마상전) : 바둑에서, 대마끼리 서로 싸우는 일.
    大: 馬: 相: 서로 戰: 싸움

  • 辯如訥(대변여눌) : 말을 잘하는 사람은 함부로 지껄이지 아니하여 도리어 말이 서투른 것처럼 보임.
    大: 辯: 말 잘할 如: 같을 訥: 말더듬을

  • 莫重事(막중대사) : 더할 수 없이 중대한 일.
    莫: 없을 重: 무거울 大: 事:

  • 慶術慶(경술대경) : 궁중에서, 큰 잔치를 이르던 말.
    慶: 경사 術: 大: 慶: 경사

  • 樹將軍(대수장군) : ‘장군’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광무제의 장군 풍이(風異)가 겸손하여 공을 논하지 않고 늘 큰 나무 밑에 물러가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大: 樹: 나무 將: 장수 軍: 군사

  • 悲(대자대비) : 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大: 慈: 사랑 大: 悲: 슬플

  • 拍案聲(박안대성) : 책상을 치며 큰 소리를 지름.
    拍: 案: 책상 大: 聲: 소리

  • 針賊牛賊(침적대우적) : 바늘 도둑이 큰 소도둑이 된다는 뜻으로, 나쁜 일일수록 늘어가기가 쉽다는 말.
    針: 바늘 賊: 도둑 大: 牛: 賊: 도둑

  • 貪小失(탐소실대) : 작은 이익(利益)을 탐하여 큰 이익(利益)을 잃어버림.
    貪: 탐할 小: 작을 失: 잃을 大:

  • 相不同(대상부동) : 조금도 비슷하지 않고 아주 다름.
    大: 相: 서로 不: 아닌가 同: 한가지

  • 長驅進(장구대진) : 멀리 몰아서 단번에 거침없이 나아감.
    長: 驅: 大: 進: 나아갈

  • 同之論(대동지론) : 모든 사람의 공론(公論).
    大: 同: 한가지 之: 論: 의논할

  • 東(대동) : 동방의 큰 나라라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이르는 말.
    大: 東: 동녘

  • 聲痛哭(대성통곡) : 큰 소리를 내며 매우 슬프게 욺.
    大: 聲: 소리 痛: 아플 哭:

  • 旱得甘雨他鄕逢故人(대한득감우타향봉고인) : 큰 가뭄에 단비를 얻음이요, 타향(他鄕)에서 오랜 친구(親舊)를 만남.
    大: 旱: 가물 得: 얻을 甘: 雨: 他: 다를 鄕: 시골 逢: 만날 故: 人: 사람

  • 法(대경대법) : 공명정대한 큰 원리와 법칙.
    大: 經: 지날 大: 法:

  • 覺世尊(대각세존) : 도를 크게 깨달아 세상에서 높이 숭배를 받는 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높여 이르는 말.
    大: 覺: 깨달을 世: 인간 尊: 높을

  • 氣骨壯(기골장대) : 기골이 건장하고 큼.
    氣: 기운 骨: 壯: 씩씩할 大:

  • 豊亨豫(풍형예대) : 세상(世上)이 태평성대(太平聖代)라 백성(百姓)이 행복(幸福)을 누림.
    豊: 풍년 亨: 형통할 豫: 미리 大:

  • 白額虎(백액대호) : 이마와 눈썹의 털이 허옇게 센 늙은 호랑이.
    白: 額: 이마 大: 虎:

  • 驚小怪(대경소괴) : 몹시 놀라서 좀 괴이쩍게 생각함.
    大: 驚: 놀랄 小: 작을 怪: 기이할

  • 何關事(하관대사) : 커다란 관계가 없음을 이르는 말.
    何: 어찌 關: 빗장 大: 事:

  • 於臂(지대어비) : 손가락이 팔보다 크다는 뜻으로, 본말(本末)이 전도(顚倒)되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指: 손가락 大: 於: 어조사 臂:

  • 呵呵笑(가가대소) : 소리를 내어 크게 웃음.
    呵: 꾸짖을 呵: 꾸짖을 大: 笑: 웃을

  • 貪小利失利(탐소리실대리) : 작은 이익(利益)을 탐내다가 오히려 큰 이익(利益)을 잃음.
    貪: 탐할 小: 작을 利: 날카로울 失: 잃을 大: 利: 날카로울

  • 衆發落(대중발락) : 여러 사람의 의견에 따라 결정하여 발표하는 일.
    大: 衆: 무리 發: 落: 떨어질

  • 同之役(대동지역) : 모든 사람이 다 같이 하는 부역(賦役).
    大: 同: 한가지 之: 役: 부릴

  • 知小謀(지소모대) : 지력(知力)은 적으면서 도모함은 크다는 뜻으로, 자신의 능력에 넘치는 일을 계획함을 이르는 말.
    知: 小: 작을 謀: 꾀할 大:

  • 達人觀(달인대관) : 사물의 이치에 널리 통달한 사람은 사물을 옳고 정당하게 관찰함.
    達: 통할 人: 사람 大: 觀:

  • 人(가대인) :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家: 大: 人: 사람

  • 春府人(춘부대인) : 남의 아버지에 대(對)한 존칭(尊稱).
    春: 府: 곳집 大: 人: 사람

  • 無邊洋(무변대양) : 끝없이 넓은 바다.
    無: 없을 邊: 大: 洋: 바다

  • 破顔笑(파안대소) : 매우 즐거운 표정으로 활짝 웃음.
    破: 깨뜨릴 顔: 얼굴 大: 笑: 웃을

  • 違所料(대위소료) : 생각하는 바와 크게 다름.
    大: 違: 어길 所: 料: 헤아릴

  • 同小異(대동소이) :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
    大: 同: 한가지 小: 작을 異: 다를

  • 能小能(능소능대) : 모든 일에 두루 능함.
    能: 능할 小: 작을 能: 능할 大:

  • 人倫事(인륜대사) : 사람이 살아가면서 치르게 되는 큰 행사. 혼인이나 장례 따위를 이른다.
    人: 사람 倫: 인륜 大: 事:

  • 張風樂(대장풍악) : 풍류놀이를 크게 벌여 차림.
    大: 張: 베풀 風: 바람 樂: 풍류

  • 海一粟(대해일속) : 큰 바닷속의 좁쌀 한 알이라는 뜻으로, ‘창해일속’을 달리 이르는 말.
    大: 海: 바다 一: 粟:

  • 名山川(명산대천) : 이름난 산과 큰 내.
    名: 이름 山: 大: 川:

  • 特筆書(특필대서) :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特: 유다를 筆: 大: 書:

  • 無前變(무전대변) : 전에 없던 크고 괴이한 일.
    無: 없을 前: 大: 變: 변할

  • 耿光烈(경광대열) : 성덕대업(盛德業)을 이르는 말.
    耿: 빛날 光: 大:

  • 無邊海(무변대해) : 끝없이 넓은 바다.
    無: 없을 邊: 大: 海: 바다

  • 捨小取(사소취대) :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가짐.
    捨: 버릴 小: 작을 取: 취할 大:

  • 成(집대성) : 여러 가지를 모아 하나의 체계를 이루어 완성함.
    集: 모일 大: 成: 이룰

  • 椿府人(춘부대인) :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椿: 참죽나무 府: 곳집 大: 人: 사람

  • 千世界(대천세계) : 중천세계를 천 배 합한 세계.
    大: 千: 일천 世: 인간 界: 지경

  • 壯言語(장언대어) : 씩씩하고 큰 말소리라는 뜻으로, 의기양양(意氣揚揚)해서 장담하고 큰소리친다는 의미. [= 言壯談 ].
    壯: 씩씩할 言: 말씀 大: 語: 말씀

  • 放聲哭(방성대곡) : 큰 소리로 몹시 슬프게 곡을 함.
    放: 놓을 聲: 소리 大: 哭:

  • 濃眉眼(농미대안) : 눈썹이 짙고 눈이 큼.
    濃: 짙을 眉: 눈썹 大: 眼:

  • 無邊廣(무변광대) : 끝없이 넓고 큼.
    無: 없을 邊: 廣: 넓을 大:

  • 思想(사대사상) : 주체성 없이 세력이 강한 나라나 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사상.
    事: 大: 思: 생각할 想: 생각

  • 顧命臣(고명대신) : 임금의 유언으로 나라의 뒷일을 부탁받은 대신.
    顧: 돌아볼 命: 목숨 大: 臣: 신하

  • 豁達度(활달대도) : 너그럽고 커서 작은 일에 거리낌이 없는 활달한 도량.
    豁: 뚫린 골 達: 통할 大: 度: 법도

  • 高文冊(고문대책) : (1)문장이 뛰어나고 내용이 웅대한 글. (2)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高: 높을 文: 글월 大: 冊:

  • 不掉(미대부도) : 꼬리가 커서 흔들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일의 끝이 크게 벌어져서 처리하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尾: 꼬리 大: 不: 아닌가 掉: 흔들

  • 失所望(대실소망) : 바라던 것이 아주 허사가 되어 크게 실망함.
    大: 失: 잃을 所: 望: 바랄

  • 經國才(경국대재) : 나라의 일을 맡아 다스릴 만한 큰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인물.
    經: 지날 國: 나라 大: 才: 재주

  • 器晩成(대기만성) :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大: 器: 그릇 晩: 늦을 成: 이룰

  • 國若烹小鮮(치대국약팽소선) : 약팽소선(若烹小鮮).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治: 다스릴 大: 國: 나라 若: 같을 烹: 삶을 小: 작을 鮮: 고울

  • 巨家族(거가대족) : 대대로 번창하고 문벌이 좋은 집안.
    巨: 家: 大: 族: 겨레

  • 喝一聲(대갈일성) : 크게 외쳐 꾸짖는 한마디의 소리.
    大: 喝: 꾸짖을 一: 聲: 소리

  • 材小用(대재소용) : 큰 재목(材木)이 작게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1) 사람을 부리는 데 있어서 제 능력(能力)을 다 발휘(發揮)할 수 있는 조건(條件)이 안됨 (2) 역설적(逆說的)으로 큰 재목(材木)은 큰 일에 쓰여야 한다는 말(3) 정부나 조직(組織)에서 사람을 쓰는 법이 잘못되었음을 가리킴.
    大: 材: 재목 小: 작을 用:

  • 明天地(대명천지) : 아주 환하게 밝은 세상.
    大: 明: 밝을 天: 하늘 地:

  • 人(선대인) :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先: 먼저 大: 人: 사람

  • 姑母夫(대고모부) : 아버지의 고모부를 이르는 말.
    大: 姑: 시어미 母: 어미 夫: 지아비

  • 人(대인) : (1)자라서 어른이 된 사람. 보통 만 19세 이상의 남녀를 이른다. (2)몸이 아주 큰 사람. (3)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4)신분이나 관직이 높은 사람. (5)문어체에서,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6)문어체에서, ‘남’을 높여 이르는 말. (7)고구려에서 둔, 오부(五部)의 으뜸 벼슬. (8)읍루(挹婁)에서 읍락의 장(長)을 이르던 말.
    大: 人: 사람

  • 積小成(적소성대)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積: 쌓을 小: 작을 成: 이룰 大:

  • 巧若拙(대교약졸) : 매우 공교한 솜씨는 서투른 것같이 보인다는 뜻으로, 진정으로 총명한 사람은 뽐내거나 과장하지 아니하므로 도리어 어리석은 것처럼 보인다는 말이다.
    大: 巧: 공교할 若: 같을 拙: 못날

  • 無本商(무본대상) : 밑천 없이 장사하는 큰 장수라는 뜻으로, 도둑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無: 없을 本: 大: 商: 헤아릴

  • 刑不上夫(형불상대부) : 사대부(士夫)에게는 형벌(刑罰)을 내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옛날 대부(夫)는 예를 지켜 범죄(犯罪)함이 없으므로 면목(面目)을 존중(尊重)해 주고, 또한 절의(節義)를 장려(奬勵)하기 위(爲)해서임.
    刑: 형벌 不: 아니 上: 大: 夫: 지아비

  • 獨脚王(독각대왕) : (1)귀신의 하나. (2)말썽이 많고 괴팍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동물이나 사람의 형상을 한 잡된 귀신의 하나. 비상한 힘과 재주를 가지고 있어 사람을 홀리기도 하고 짓궂은 장난이나 심술궂은 짓을 많이 한다고 한다.
    獨: 홀로 脚: 다리 大: 王: 임금

  • 鷽鳩笑鵬(학구소대붕) : 작은 비둘기가 대붕을 비웃는다는 뜻으로, 소인이 군자의 행위(行爲)를 비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鷽: 메까치 鳩: 비둘기 笑: 웃을 大: 鵬: 붕새

  • 長枕衾(장침대금) : 긴 베개와 큰 이불이라는 뜻으로, 함께 잠자는 데 편리한 것에서 형제간의 우애나 친구간의 우정이 돈독함을 이르는 말.
    長: 枕: 베개 大: 衾: 이불

  • 字特書(대자특서) : 특별히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글자를 크게 쓴다는 뜻으로, 신문 따위의 출판물에서 어떤 기사에 큰 비중을 두어 다룸을 이르는 말.
    大: 字: 글자 特: 유다를 書:

  • 道無門(대도무문) : 큰 깨달음이나 진리에 이르는 데에는 정해진 길이나 방식이 없음.
    大: 道: 無: 없을 門:

  • 書特筆(대서특필) : 신문에서 어떤 사건을 특별히 중요한 기사로 알림.
    大: 書: 特: 유다를 筆:

  • 門入納(남대문입납) : (1)주소를 알 수 없는 편지 또는 주소나 이름을 모르고 집을 찾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줄거리나 골자를 알 수 없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大: 門: 入: 納: 들일

  • 百年計(백년대계) : 먼 앞날까지 미리 내다보고 세우는 크고 중요한 계획.
    百: 일백 年: 大: 計:

  • 雪(대설) : (1)아주 많이 오는 눈. (2)이십사절기의 하나. 소설과 동지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255도에 이른 때이다. 12월 8일경이다.
    大: 雪:

  • 雷聲名(뇌성대명) : (1)세상에 널리 드러나 알려진 이름. (2)‘뇌성대명’의 북한어. (3)남의 이름을 높여 이르는 말.
    聲: 소리 大: 名: 이름

  • 器小用(대기소용) : 유능한 사람을 능력에 걸맞지 않은 낮은 자리에 앉히고 부림.
    大: 器: 그릇 小: 작을 用:

  • 心小(담대심소) : 문장을 지을 때, 담력은 크게 가지되 주의는 세심해야 함을 이르는 말. ≪당서(唐書)≫ <은일전(隱逸傳)>에 나오는 손사막의 말에서 유래한다.
    膽: 쓸개 大: 心: 마음 小: 작을

  • 夫人(대부인) : (1)천자(天子)를 낳은 부인. (2)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大: 夫: 지아비 人: 사람

  • 妄想(과대망상) : 사실보다 지나치게 부풀려서 생각하고 그것을 사실로 믿어버리는 일.
    誇: 자랑할 大: 妄: 망령될 想: 생각

  • 寒(대한) : (1)이십사절기의 하나.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00도에 이른 때로 한 해의 가장 추운 때이다. 1월 20일경이다. (2)매우 심한 추위.
    大: 寒:

  • 無之年(대무지년) : 대단히 심한 흉년.
    大: 無: 없을 之: 年:

  • 之筆(연대지필) : (1)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文章)이나 대논문(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 남조 시대의 감엄(江淹)이 꿈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을 남겼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훌륭한 문장을 짓는 재능. (3)다른 사람의 문장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椽: 서까래 大: 之: 筆:

  • 暑(대서) : (1)몹시 심한 더위. (2)이십사절기의 하나.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120도에 이른 때로서, 일 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이다. 7월 24일경이다.
    大: 暑: 더울

  • 姦似忠(대간사충) :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쁜 마음을 먹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는 수단을 약삭빠르게 부려서 마치 충성하는 사람과 같아 보임.
    大: 姦: 간사할 似: 같을 忠: 충성

1
#임금 189 #나무 166 #실패 56 #경우 64 #유래 280 #행동 137 #형제 68 #의지 69 #모양 142 #소리 96 #재주 82 #고사 108 #비유 1177 #가운데 104 #자리 94 #벼슬 88 #부모 136 #상태 110 #어머니 72 #구름 67 #나이 97 #세상 339 #속담 63 #자신 208 #훌륭 85 #어버이 60 #조금 96 #때문 58 #상황 119 #따위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