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풀이
斷
🍦
끊을
단
,
결단할
단
- 끊다 , 결단하다 , 쪼개다 , 단념하다 , 베다
- 도끼로 실타래를 자르는 의미에서 ‘끊다’는 의미 생성. 후에 ‘결단(決斷)’의 의미 파생
▹ 에 관한 한자 모두 46 개
-
徑先處斷(경선처단)
: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徑: 지름길 경 先: 먼저 선 處: 머무를 처 斷: 끊을 단
-
斷斷相約(단단상약)
: 서로 굳게 약속함.
斷: 끊을 단 斷: 끊을 단 相: 서로 상 約: 묶을 약
-
斷機之戒(단기지계)
: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斷: 끊을 단 機: 베틀 기 之: 갈 지 戒: 경계할 계
-
殘編斷簡(잔편단간)
: 손상된 책과 끊어진 죽간이라는 뜻으로, 이지러지고 흩어져 온전하지 못한 책이나 글발.
殘: 해칠 잔 編: 엮을 편 斷: 끊을 단 簡: 대쪽 간
-
斷簡殘篇(단간잔편)
: 떨어져 나가고 빠지고 하여 조각이 난 문서(文書)나 글월.
斷: 끊을 단 簡: 대쪽 간 殘: 해칠 잔 篇: 책 편
-
斷髮美人(단발미인)
: (1) 단발(斷髮)한 젊은 미인(美人) (2) 이전(以前)에 흔히 신여성(新女性)의 뜻으로 쓰이던 말.
斷: 끊을 단 髮: 터럭 발 美: 아름다울 미 人: 사람 인
-
斷金之交(단금지교)
: 쇠라도 자를 만큼 강한 교분이라는 뜻으로, 매우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斷: 끊을 단 金: 쇠 금 之: 갈 지 交: 사귈 교
-
隴斷(농단)
: 농단(壟斷). (1)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2) (옛날 어떤 사람이 높은 곳에 올라가 시장(市場)을 살펴보고 자기(自己) 물건(物件)을 팔기에 적당(適當)한 곳으로 가서, 시리(市利)를 독점(獨占)했다는 옛일에서)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
斷: 끊을 단
-
斷腸(단장)
: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
斷: 끊을 단 腸: 창자 장
-
斷長補短(단장보단)
: 긴 것은 자르고 짧은 것은 메워서 들쭉날쭉한 것을 곧게 함을 이르는 말.
斷: 끊을 단 長: 길 장 補: 기울 보 短: 짧을 단
-
如斷手足(여단수족)
: 손발이 잘린 것과 같다는 뜻으로, 요긴한 사람이나 물건이 없어져 몹시 아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如: 같을 여 斷: 끊을 단 手: 손 수 足: 발 족
-
消魂斷腸(소혼단장)
: 근심과 슬픔으로 넋이 빠지고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
消: 사라질 소 魂: 넋 혼 斷: 끊을 단 腸: 창자 장
-
言語同斷(언어동단)
: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同: 한가지 동 斷: 끊을 단
-
壟斷(롱단)
: ‘농단’의 북한어.
斷: 끊을 단
-
斷而敢行鬼神避之(단이감행귀신피지)
: 과단성(果斷性) 있게 행(行)하면 귀신(鬼神)도 이를 피(避)하여 어떠한 일도 성취(成就)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斷: 끊을 단 而: 말 이을 이 敢: 감히 감 行: 갈 행 鬼: 귀신 귀 神: 신 신 避: 피할 피 之: 갈 지
-
斷金之契(단금지계)
: 쇠라도 자를 만큼의 굳은 약속이라는 뜻으로, 매우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斷: 끊을 단 金: 쇠 금 之: 갈 지 契: 맺을 계
-
斷不饒貸(단불요대)
: 단연코 용서하지 아니함.
斷: 끊을 단 不: 아니 불 饒: 넉넉할 요 貸: 빌릴 대
-
斷簡零墨(단간영묵)
: 종이가 발명(發明)되기 전까지 종이 대신(代身) 썼던 대쪽과 먹 한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이 조각에 적힌 완전(完全)하지 못한 조각난 글월을 이르는 말.
斷: 끊을 단 簡: 대쪽 간 墨: 먹 묵
-
限死決斷(한사결단)
: 죽음을 무릅쓰고 결단함.
限: 한정 한 死: 죽을 사 決: 틀 결 斷: 끊을 단
-
死生決斷(사생결단)
: 죽고 사는 것을 돌보지 않고 끝장을 내려고 함.
死: 죽을 사 生: 날 생 決: 틀 결 斷: 끊을 단
-
斷無他慮(단무타려)
: 다른 근심이나 걱정이 조금도 없음.
斷: 끊을 단 無: 없을 무 他: 다를 타 慮: 생각할 려
-
鶴脛雖長斷之則悲(학경수장단지즉비)
: 학의 다리가 길다고 끓으면 학은 슬퍼할 것이라는 뜻으로, 천부의 특징(特徵)을 부질없이 가감할 것이 아님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鶴: 학 학 脛: 정강이 경 雖: 비록 수 長: 길 장 斷: 끊을 단 之: 갈 지 則: 곧 즉 悲: 슬플 비
-
獨斷專行(독단전행)
: 남과 상의하지 않고 혼자 판단하거나 결정하여 멋대로 행동함.
獨: 홀로 독 斷: 끊을 단 專: 오로지 전 行: 갈 행
-
斷斷無他(단단무타)
: 오직 한 가지 신념으로 다른 마음이 없음.
斷: 끊을 단 斷: 끊을 단 無: 없을 무 他: 다를 타
-
優柔不斷(우유부단)
: 어물어물 망설이기만 하고 결단성이 없음.
優: 부드러울 우 柔: 부드러울 유 不: 아닌가 부 斷: 끊을 단
-
道斷(도단)
: 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道: 길 도 斷: 끊을 단
-
斷惡修善(단악수선)
: 악업을 끊고 선업을 닦아 선도(善道)에 들어가는 일.
斷: 끊을 단 惡: 악할 악 修: 닦을 수 善: 착할 선
-
鶴脛不可斷(학경불가단)
: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라는 뜻으로, 사물은 각각 타고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으로 함부로 가감손익(加減損益)을 하여서는 안 된다는 의미.
鶴: 학 학 脛: 정강이 경 不: 아니 불 可: 옳을 가 斷: 끊을 단
-
續短斷長(속단단장)
: 짧은 것을 잇고 긴 것을 자른다는 뜻으로, 짧고 긴 것을 잇고 자르는 것처럼 적절하게 맞추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續: 이을 속 短: 짧을 단 斷: 끊을 단 長: 길 장
-
孟母斷機(맹모단기)
: 맹자가 학업을 중단하고 돌아왔을 때에, 그 어머니가 짜던 베를 잘라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둔 것을 훈계한 일을 이르는 말.
孟: 맏 맹 母: 어미 모 斷: 끊을 단 機: 베틀 기
-
隻紙斷絹(척지단견)
: 글을 쓴 얼마 안 되는 종이와 비단(緋緞).
隻: 외짝 척 紙: 종이 지 斷: 끊을 단 絹: 명주 견
-
割恩斷情(할은단정)
: 애틋한 사랑을 끊음.
割: 나눌 할 恩: 은혜 은 斷: 끊을 단 情: 뜻 정
-
斷不容貸(단불용대)
: 단연코 용서하지 아니함.
斷: 끊을 단 不: 아니 불 容: 얼굴 용 貸: 빌릴 대
-
灰斷(회단)
: 무여열반(無餘涅槃)의 경지를 이르는 말.
灰: 재 회 斷: 끊을 단
-
殺生禁斷(살생금단)
: 자비의 정신으로 생물을 죽이지 못하게 금지하는 일.
殺: 죽일 살 生: 날 생 禁: 금할 금 斷: 끊을 단
-
母猿斷腸(모원단장)
: 어미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은 슬픔, 애통(哀痛)함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母: 어미 모 猿: 원숭이 원 斷: 끊을 단 腸: 창자 장
-
武斷鄕曲(무단향곡)
: 시골에서 세도를 잡은 집안의 사람들이 백성들을 억압하고 수탈하는 일.
武: 호반 무 斷: 끊을 단 鄕: 시골 향 曲: 굽을 곡
-
壟斷之術(롱단지술)
: (1)이익을 혼자 차지하는 재주. (2)‘농단지술’의 북한어.
斷: 끊을 단 之: 갈 지 術: 꾀 술
-
千仞斷崖(천인단애)
: 천 길이나 되는 높은 낭떠러지.
千: 일천 천 仞: 길 인 斷: 끊을 단 崖: 벼랑 애
-
一刀兩斷(일도양단)
: (1)칼로 무엇을 대번에 쳐서 두 도막을 냄. (2)어떤 일을 머뭇거리지 아니하고 선뜻 결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一: 한 일 刀: 칼 도 斷: 끊을 단
-
言語道斷(언어도단)
: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언 語: 말씀 어 道: 길 도 斷: 끊을 단
-
斷末魔(단말마)
: '죽음의 구멍'이란 뜻의 사혈(四穴)의 범어 '末魔'를 끊는다는 뜻으로, 죽음이나 죽을 때의 의미에서 현재는 '사람이 죽을 때 마지막으로 지르는 비명'의 의미로 사용됨.
斷: 끊을 단 末: 끝 말 魔: 마귀 마
-
投鞭斷流(투편단류)
: 채찍을 던져서 강의 흐름을 끊는다는 뜻으로, 강을 건너는 기병(騎兵)의 수가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投: 던질 투 鞭: 채찍 편 斷: 끊을 단 流: 흐를 류
-
廓揮乾斷(확휘건단)
: 과단성 있게 다스림.
廓: 클 확 揮: 휘두를 휘 乾: 마를 건 斷: 끊을 단
-
斷機之敎(단기지교)
: 짜던 베의 날을 칼로 끊어 버린다는 뜻으로,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아무 쓸모가 없음을 이르는 말.
斷: 끊을 단 機: 베틀 기 之: 갈 지 敎: 가르칠 교
-
斷章取義(단장취의)
: 남이 쓴 문장이나 시의 한 부분을 그 문장이나 시가 가진 전체적인 뜻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인용하는 일. 또는 그 인용으로 자기의 주장이나 생각을 합리화하는 일.
斷: 끊을 단 章: 문채 장 取: 취할 취 義: 옳을 의
#아침 72
#부부 76
#시대 114
#처음 91
#의미 1817
#하늘 251
#재능 61
#자리 94
#지위 65
#나이 97
#군자 56
#비유 1177
#이치 67
#상대 56
#죽음 73
#유래 280
#의지 69
#생각 236
#사용 312
#고사 108
#근심 65
#나무 166
#동안 70
#목숨 58
#이익 89
#태도 72
#물건 136
#집안 93
#자연 73
#노력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