藉口之端
자구지단
핑계로 내세울 만한 거리.
藉
(깔개 자): 깔개, 돕다, 깔다, 빌다, 의지하다.
口
(입 구): 입, 어귀, 구멍 난 곳, 아가리, 식구 또는 사람을 세는 단위.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端
(바를 단): 바르다, 바르게 하다, 끝, 실마리, 처음.
출처: 우리말샘
藉
: 총 7 개의 藉(깔개 자)에 관한 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모두 보기
›
洛花狼藉
(낙화낭자)
: 떨어진 꽃잎이 흩어져 어지럽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이 뒤섞여 흩어져 있는 모양(模樣).
›
浪說藉藉
(낭설자자)
: 터무니없는 말이 퍼지다는 뜻으로, 헛된 소문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
藉其勢力
(자기세력)
: 남의 세력을 빌려 그에 의지함.
口
: 총 75 개의 口(입 구)에 관한 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모두 보기
›
杜口呑聲
(두구탄성)
: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
糊口之策
(호구지책)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
黃口乳兒
(황구유아)
: 새 새끼의 주둥이가 노랗다는 뜻에서, '어린아이'를 일컬음.
之
: 총 1,221 개의 之(갈 지)에 관한 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모두 보기
›
殺活之權
(살활지권)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刎頸之友
(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風木之悲
(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七步之才
(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端
: 총 28 개의 端(바를 단)에 관한 한자/한자성어/사자성어 모두 보기
›
多事多端
(다사다단)
: 여러 가지 일이나 까닭이 서로 뒤얽혀 복잡함.
›
形端表正
(형단표정)
: 몸 형상(形像)이 단정(端正)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또 겉으로도 나타남.
›
萬端改諭
(만단개유)
: 여러 가지로 타이름.
›
指呼之間
(지호지간)
: 손짓하여 부를 만큼 가까운 거리.
#
의미
#
거리
#
사이
›
不夜城
(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
밤
#
형용
#
등불
#
말
#
대낮
#
성
#
번화
#
거리
#
중국
#
경치
#
유래
#
따위
›
兩輪
(양륜)
: 수레의 두 바퀴라는 뜻으로, 서로 떨어져서는 제구실을 못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구실
#
수레
#
비유
#
바퀴
›
干城之材
(간성지재)
: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인재.
#
구실
#
성
#
방
#
국가
#
나라
#
방패
#
의미
#
인재
#
호위
#
성의
›
逐條發明
(축조발명)
: 조목조목 따져 가면서 죄가 없음을 변명함.
#
변명
#
죄
#
무죄
›
辨明無路
(변명무로)
: 변명할 길이 없음.
#
길
#
변명
›
擧棋不定
(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사물
#
바둑
#
집
#
방침
#
의미
#
계획
#
결정
#
자리
#
대함
›
束手無策
(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의미
#
어찌
#
상황
#
대책
›
空前絶後
(공전절후)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앞
#
이전
#
독특
#
의미
#
비교
#
이후
›
蝙蝠之役
(편복지역)
: 자기 이익만을 위하여 이리 붙고 저리 붙고 하는 줏대 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이익
#
비유
#
핑계
#
줏대
#
여하
#
역할
#
주의
#
행동
#
회피
#
기회
›
自國之端
(자국지단)
: 핑계거리. 핑계할 만한 거리.
#
거리
#
핑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