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24

  • 恒沙 획순 恒沙(항사) : 항하(갠지스)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히 많은 수량(數量)'을 일컬음.
    恒: 항상 沙: 모래

  • 强將下無弱兵 획순 强將下無弱兵(강장하무약병) : (强)한 장수(將帥) 밑에는 약한 병졸(兵卒)이 없음.
    强: 굳셀 將: 장수 下: 아래 無: 없을 弱: 약할 兵: 군사

  • 綿裏針 획순 綿裏針(면리침) :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綿: 裏: 針: 바늘

  • 河梁別 획순 河梁別(하량별) :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梁: 들보 別: 나눌

  • 長江大海 획순 長江大海(장강대해) : 길고 큰 과 너른 바다를 아울러 이르는 말.
    長: 江: 大: 海: 바다

  • 父爲子綱(부위자강) : 삼(三綱)의 하나.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父: 아비 爲: 子: 아들 綱: 벼리

  • 石田耕牛(석전경우) : 자갈밭을 가는 소라는 뜻으로, 황해도 사람의 인내심 하고 부지런한 성격을 이르는 말.
    石: 田: 耕: 牛:

  • 山呼萬歲(산호만세) : 나라의 중요 의식에서 신하들이 임금의 만수무을 축원하여 두 손을 치켜들고 만세를 부르던 일. 중국 한나라 무제가 쑹산산(嵩山山)에서 제사 지낼 때 신민(臣民)들이 만세를 삼창한 데서 유래한다.
    山: 呼: 부를 萬: 일만 歲:

  • 弱而能强(약이능강) : 약하면서도 한 것을 능가한다는 뜻으로, 겉보기는 약한 듯하나 내실은 매우 함을 이르는 말.
    弱: 약할 而: 말 이을 能: 능할 强: 굳셀

  • 河淸(하청) : (1)중국 황허(黃河江)의 물이 맑아지는 일. 흐린 황허의 물이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고 한다. (2)중국 북제 무성제(武成帝) 때의 연호(562~565). 무성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河: 강 이름 淸: 맑을

  • 自大妄想(자대망상) : 스스로 자기가 크고 하다는 망령된 생각.
    自: 스스로 大: 妄: 망령될 想: 생각

  • 江湖煙波(강호연파) : (1)대자연의 풍경. (2)이나 호수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의 잔물결.
    江: 湖: 호수 煙: 연기 波: 물결

  • 鐵甕山城(철옹산성) :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하게 둘러쌓은 산성이라는 뜻으로, 방비나 단결 따위가 견고한 사물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
    鐵: 甕: 山: 城:

  • 綱紀肅正(강기숙정) : 나라의 법과 풍속, 풍습에 대한 기율(紀律)을 엄히 바르게 함.
    綱: 벼리 紀: 벼리 肅: 엄숙할 正: 바를

  • 斷金之交(단금지교) : 쇠라도 자를 만큼 한 교분이라는 뜻으로, 매우 두터운 우정을 이르는 말.
    斷: 끊을 金: 之: 交: 사귈

  • 江山風月(강산풍월) :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江: 山: 風: 바람 月:

  • 達八十(달팔십) :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왕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達: 통할 八: 여덟 十:

  • 夜郞自大(야랑자대) : 용렬하거나 우매한 무리 가운데서 세력이 있어 잘난 체하고 뽐냄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 때에 서남쪽의 오랑캐 가운데서 야랑국이 가장 세력이 하여 오만한 데서 유래한다.
    夜: 郞: 사내 自: 스스로 大:

  • 江郞才盡(강랑재진) : 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江: 郞: 사내 才: 재주 盡: 다할

  • 三綱五倫(삼강오륜) :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 부위자, 부위부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三: 綱: 벼리 五: 다섯 倫: 인륜

  • 莫强之國(막강지국) : 더할 수 없이 (强)한 나라.
    莫: 없을 强: 굳셀 之: 國: 나라

  • 蚊蝄走牛羊(문망주우양) : 모기와 등에가 소와 양을 쫓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약한 사람도 때로는 (强)한 사람을 물리.
    蚊: 모기 蝄: 도깨비 走: 달릴 牛: 羊:

  • 南方之强(남방지강) : 중국(中國) 남쪽 지방(地方) 사람들의 (强)함이라는 뜻으로, (1) 관용(寬容)과 인내(忍耐)로 남에게 이기는 것 (2) 전(傳)하여 '군자(君子)의 용기(勇氣)'를 이름.
    南: 남녘 方: 之: 强: 굳셀

  • 濫觴(남상) : (1)‘남상’의 북한어. (2)양쯔(揚子江) 같은 큰 하천의 근원도 잔을 띄울 만큼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처음이나 기원을 이르는 말.
    觴:

  • 河海之澤(하해지택) : 큰 이나 바다와 같은 덕택.
    河: 강 이름 海: 바다 之: 澤:

  • 表裏山河(표리산하) : 밖에는 이 있고 안에는 산이 있다는 뜻으로 견고한 요새(要塞)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表: 裏: 山: 河: 강 이름

  • 河山之陽(하산지양) : 과 산의 양기라는 뜻으로, 의 북쪽과 산의 남쪽의 인 양지(陽地)바른 농경(農耕)에 적당한 땅을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山: 之: 陽:

  • 嵇琴阮嘯(혜금완소) : 위국 혜(嵇康)은 거문고를 잘 타고, 완적(玩籍)은 휘파람을 잘 불었음.
    嵇: 산 이름 琴: 거문고 阮: 관문 이름 嘯: 휘파람불

  • 康衢煙月(강구연월)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康: 편안할 衢: 네거리 煙: 연기 月:

  • 剽疾輕悍(표질경한) : 재빠르고 (强)함.
    剽: 빠를 疾: 輕: 가벼울 悍: 사나울

  • 破竹之勢(파죽지세) : 대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두예전(杜預傳)>에서 나온 말이다.
    破: 깨뜨릴 竹: 之: 勢: 기세

  • 蓬頭歷齒(봉두역치) : 쑥대이같이 헙수룩하게 흐트러진 머리털에 성긴 이라는 뜻으로, 노인의 용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蓬: 頭: 머리 齒:

  • 一瀉千里(일사천리) : 물이 빨리 흘러 천 리를 간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거침없이 빨리 진행됨을 이르는 말.
    一: 瀉: 쏟을 千: 일천 里: 마을

  • 敝帚(폐추) : 닳아 빠진 비라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넘게 자만심이 (强)한 사람을 이르는 말.
    敝: 해질 帚:

  • 血流漂杵(혈류표저) : 피가 흘러 공이를 띄운다는 뜻으로, 전쟁의 전사자가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血: 流: 흐를 漂: 떠돌 杵: 공이

  • 河海之恩(하해지은) : 큰 이나 바다와 같이 넓고 큰 은혜.
    河: 강 이름 海: 바다 之: 恩: 은혜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은 땅을 가르고 감.
    高: 높을 峯: 봉우리 撐: 버틸 天: 하늘 立: 長: 江: 割: 나눌 地: 去:

  • 背水之陣(배수지진) : (1)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趙)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背: 水: 之: 陣: 진칠

  • 北馬南船(북마남선) : 중국의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하고 남쪽은 이 많아서 배를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北: 북녘 馬: 南: 남녘 船:

  • 筆力扛鼎(필력강정) : 문장의 힘이 건함.
    筆: 力: 扛: 鼎:

  • 張脈憤興(장맥분흥) : 사람이 격분(激憤)하거나 흥분(興奮)하면 혈맥의 펼쳐 움직임은 (强)한 모습을 띄게 되지만, 그 속은 마르게 됨을 말함.
    張: 베풀 脈: 憤: 결낼 興:

  • 大江長流(대강장류) : 크고 긴 .
    大: 江: 長: 流: 흐를

  • 齒墮舌存(치타설존) : 이는 빠져도 혀는 남아있다는 뜻으로, 한 것보다는 오히려 약한 것이 더 오래감을 비유하는 말.
    齒: 墮: 떨어질 舌: 存: 있을

  • 政如魯衛(정여노위) :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政: 정사 如: 같을 衛: 지킬

  • 乾沒作錢(건몰작전) : (1)제로 빼앗아 팖. (2)제로 빼앗은 물건을 팔아 돈을 벎.
    乾: 마를 沒: 빠질 作: 지을 錢:

  • 內柔外剛(내유외강) : 속은 부드러우나 겉으로 보기에는 함.
    內: 柔: 부드러울 外: 바깥 剛: 굳셀

  • 外柔內剛(외유내강) : 겉으로는 부드럽고 순하게 보이나 속은 곧고 굳셈.
    外: 바깥 柔: 부드러울 內: 剛: 굳셀

  • 孫康映雪(손강영설) :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孫: 손자 康: 편안할 映: 비칠 雪:

  • 三獸渡河(삼수도하) :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三: 獸: 짐승 渡: 건널 河: 강 이름

  • 江山之助(강산지조) : 산수의 아름다운 풍경이 사람의 시정(詩情)을 도움.
    江: 山: 之: 助: 도울

  • 强弱不同(강약부동) : 약은 같지 않다는 뜻으로, 약자가 자를 대적할 수 없다는 의미.
    强: 굳셀 弱: 약할 不: 아닌가 同: 한가지

  • 北方之强(북방지강) : 기질(氣質)이 거세어 强勇(용)만으로 밀어붙이는 사람을 이름.
    北: 북녘 方: 之: 强: 굳셀

  • 如渡得船(여도득선) : 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나루터에서 배를 얻었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한 것이나 상황(狀況)이 바라는 대로 됨이나 부처의 자비(慈悲)를 입음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渡: 건널 得: 얻을 船:

  • 百年河淸(백년하청) : 중국의 황허이 늘 흐려 맑을 때가 없다는 뜻으로, 아무리 오랜 시일이 지나도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百: 일백 年: 河: 강 이름 淸: 맑을

  • 剛柔兼全(강유겸전) : 굳세고 부드러운 성품을 아울러 가짐.
    剛: 굳셀 柔: 부드러울 兼: 겸할 全: 온전할

  • 自勝者强(자승자강) : 자신을 이기는 것을 이라 한다는 뜻으로,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한 사람임을 이르는 말.
    自: 스스로 勝: 이길 者: 强: 굳셀

  • 車螢孫雪(차형손설) : 차윤취형(車胤聚螢)과 손영설(孫康映雪)을 아울러 이르는 말.
    車: 수레 螢: 개똥벌레 孫: 손자 雪:

  • 水落石出(수락석출) : (1)물이 말라 밑바닥의 돌이 드러난다는 뜻으로, 겨울 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어떤 일이 나중에 명백히 드러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水: 落: 떨어질 石: 出:

  • 恒河沙(항하사) : 항하(긴지스)의 모래라는 뜻으로, '무한(無限)히 많은 수량(數量)'을 일컬음.
    恒: 항상 河: 강 이름 沙: 모래

  • 江南橘化爲枳(강남귤화위지) : 남의 귤을 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도 장소(場所)나 환경(環境)에 따라 완전(完全)히 달라짐을 이르는 말.
    江: 南: 남녘 橘: 귤나무 化: 화할 爲: 枳: 가지

  • 萬古常靑(만고상청) :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함없이 언제나 푸름.
    萬: 일만 古: 常: 항상 靑: 푸를

  • 暴虎馮河(포호빙하) : 맨손으로 범을 때려잡고 걸어서 황허(黃河江)을 건넌다는 뜻으로, 용기는 있으나 무모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술이편(述而篇)>에 나온 말이다.
    暴: 사나울 虎: 馮: 업신여길 河: 강 이름

  • 富國强兵(부국강병) :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병력을 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富强)한 나라를 만든다는 의미.
    富: 가멸 國: 나라 强: 굳셀 兵: 군사

  • 螳螂之斧(당랑지부) :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螳: 버마재비 螂: 버마재비 之: 斧: 도끼

  • 秋月寒江(추월한강) : 가을 달과 차가운 이라는 뜻으로, 유덕(遺德)한 사람은 그 마음이 맑기가 가을 달과 찬 물 같다는 의미.
    秋: 가을 月: 寒: 江:

  • 山高水長(산고수장) : 산은 높이 솟고 은 길게 흐른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나 군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山: 高: 높을 水: 長:

  • 優勝劣敗(우승열패) : 나은 자는 이기고 못한 자는 패함. 또는 한 자는 번성하고 약한 자는 쇠멸함.
    優: 부드러울 勝: 이길 敗: 패할

  • 抑弱扶强(억약부강) : 약한 자를 억누르고 (强)한 자를 도와 줌.
    抑: 누를 弱: 약할 扶: 도울 强: 굳셀

  • 三獸渡水(삼수도수) :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三: 獸: 짐승 渡: 건널 水:

  • 螢雪(형설) : 차윤취형(車胤聚螢)과 손영설(孫康映雪)을 아울러 이르는 말.
    螢: 개똥벌레 雪:

  • 南船北馬(남선북마) : 중국의 남쪽은 이 많아서 배를 이용하고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南: 남녘 船: 北: 북녘 馬:

  • 轉禍爲福(전화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轉: 구를 禍: 재난 爲: 福:

  • 桃梨千機錦江山一畵屛(도리천기금강산일화병) : 복숭아와 배는 일 천 개 베틀의 비단(緋緞)이요, 과 산은 한 폭의 병풍(屛風)임.
    桃: 복숭아나무 梨: 배나무 千: 일천 機: 베틀 錦: 비단 江: 山: 一: 畵: 그림 屛: 병풍

  • 柔能制剛(유능제강) : 부드러운 것이 오히려 능히 굳센 것을 이김.
    柔: 부드러울 能: 능할 制: 마를 剛: 굳셀

  • 强弩之末(강노지말) : 힘찬 활에서 튕겨나온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緋緞)조차 구멍을 뚫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强)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衰退)하고 만다는 의미(意味).
    强: 굳셀 弩: 쇠뇌 之: 末:

  • 堅甲利兵(견갑이병) : (1)‘견갑이병’의 북한어. (2)튼튼한 갑옷과 날카로운 무기를 갖춘 군사.
    堅: 굳을 甲: 갑옷 兵: 군사

  • 莫强之兵(막강지병) : 더할 수 없이 (强)한 군사(軍士).
    莫: 없을 强: 굳셀 之: 兵: 군사

  • 强暴之辱(강포지욕) : 포한 행위(行爲)로 하는 모욕(侮辱).
    强: 굳셀 暴: 사나울 之: 辱: 욕될

  • 天地藏萬物江河束千山(천지장만물강하속천산) : 하늘과 땅은 온갖 물건(物件)을 감추고, 과 바다는 모든 산을 묶음.
    天: 하늘 地: 藏: 감출 萬: 일만 物: 만물 江: 河: 강 이름 束: 묶을 千: 일천 山:

  • 河海不擇細流(하해불택세류) : 과 바다는 작은 물줄기도 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큰사람은 보잘것없는 사람이나 사소한 말도 다 받아들임을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海: 바다 不: 아니 擇: 가릴 細: 가늘 流: 흐를

  • 鯨呑(경탄) : 고래가 작은 물고기를 삼킨다는 뜻으로, 한 자가 약한 자를 제 손아귀에 넣고 자기 마음대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鯨: 고래 呑: 삼킬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 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江: 山: 萬: 일만 古: 主: 주인 人: 사람 物: 만물 百: 일백 年: 賓:

  • 白頭(백두) : (1)허옇게 센 머리. (2)탕건(宕巾)을 쓰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 (3)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 두만, 송화(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白: 頭: 머리

  • 事大思想(사대사상) : 주체성 없이 세력이 한 나라나 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사상.
    事: 大: 思: 생각할 想: 생각

  • 野廣天低樹江淸月近人(야광천저수강청월근인) : 들이 넓으니 하늘이 나무보다 낮은 듯하고, 이 맑으니 달이 사람에게 가까이 있는 듯함.
    野: 廣: 넓을 天: 하늘 低: 낮을 樹: 나무 江: 淸: 맑을 月: 近: 가까울 人: 사람

  • 磻溪伊尹(반계이윤) : 주문왕(周文王)은 반계(磻溪)에서 태공(姜太公)을 맞고, 은왕(殷王)은 신야(莘野)에서 이윤(利潤)을 맞이함.
    磻: 강 이름 溪: 시내 伊: 尹: 다스릴

  • 間於齊楚(간어제초) : 약자가 자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주나라 말엽 등나라가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間: 於: 어조사 齊: 가지런할 楚: 모형

  • 莫莫强兵(막막강병) : 더할 수 없이 (强)한 군사(軍士).
    莫: 없을 莫: 없을 强: 굳셀 兵: 군사

  • 背水陣(배수진) : (1)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을 등지고 진을 쳐서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우도록 하여 조(趙)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 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背: 水: 陣: 진칠

  • 栢舟之操(백주지조) :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栢: 측백나무 舟: 之: 操: 잡을

  • 飮河滿腹(음하만복) : 물처럼 많이 있는 물을 마신다 하여도 실제로 마시는 분량은 배를 채울 정도에 지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에 넘지 아니하게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飮: 마실 河: 강 이름 滿: 腹:

  • 短小精悍(단소정한) : 작은 것이 정밀(精密)하고 세차다는 뜻으로, 보이는 모습과 달리 다부지고 (强)한 면모(面貌)가 있음.
    短: 짧을 小: 작을 精: 정미할 悍: 사나울

  • 三省(삼성) :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과 쑹화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三: 省: 살필

  • 鯨戰蝦死(경전하사)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는 뜻으로, 한 자끼리 서로 싸우는 통에 아무 상관도 없는 약한 자가 해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鯨: 고래 戰: 싸움 蝦: 두꺼비 死: 죽을

  • 知雄守雌(지웅수자) : 함을 알면서 유연함을 지킨다는 뜻으로, 굳센 사나이다운 적극적인 태도를 이해하면서 연약한 여자 같은 소극적인 태도를 지키는 것인데, 유약(柔弱)한 도를 지켜 이기기를 원하지 않는 노자(老子)의 사상을 이르는 말.
    知: 雄: 수컷 守: 지킬 雌: 암컷

  • 對岸之火(대안지화) : 건너 불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자기에게는 아무 관계도 없다는 듯이 무관심함을 이르는 말.
    對: 대답할 岸: 언덕 之: 火:

  • 隔江千里(격강천리) : 을 사이에 둔 것같이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서도 서로 왕래가 드물어 천 리나 떨어져 있는 것과 같이 멀리 느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隔: 사이 뜰 江: 千: 일천 里: 마을

  • 弱肉强食(약육강식) : 약자의 살은 자의 먹이가 된다는 뜻으로, 한 자가 약한 자를 침해하거나, 폭력이 난무하고 무질서한 상황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됨.
    弱: 약할 肉: 고기 强: 굳셀 食:

  • 浩然之氣(호연지기) : (1)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맹자≫ <공손추(公孫丑)>의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浩: 넓을 然: 그러할 之: 氣: 기운

  • 狐假虎威(호가호위) :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전국책≫의 <초책(楚策)>에 나오는 말로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狐: 여우 假: 거짓 虎: 威: 위엄

2
#문장 59 #근심 65 #훌륭 85 #유래 280 #재능 61 #이익 89 #이름 211 #어려움 105 #바람 136 #죽음 73 #은혜 70 #음식 79 #마음 496 #학문 107 #경계 56 #사용 312 #가운데 104 #속담 63 #편안 62 #형용 67 #생활 82 #천하 94 #자리 94 #이치 67 #하늘 251 #나라 392 #잘못 93 #물건 136 #사물 172 #재앙 6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