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에 관한 한자 모두 166

  • 採薪之憂 획순 採薪之憂(채신지우) :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편>에 나오는 말이다.
    採: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松竹之節 획순 松竹之節(송죽지절) : 소나무같이 꿋꿋하고 대나무같이 곧은 절개.
    松: 竹: 之: 節: 마디

  • 不毛之地 획순 不毛之地(불모지지) :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거칠고 메마른 땅.
    不: 아니 毛: 之: 地:

  • 落木寒天 획순 落木寒天(낙목한천) : 나뭇잎이 다 떨어진 겨울의 춥고 쓸쓸한 풍경. 또는 그런 계절.
    木: 나무 寒: 天: 하늘

  • 梅林止渴 획순 梅林止渴(매림지갈) : 매실나무 숲이 있다고 하여 목마름을 해소하게 했다는 뜻으로, 거짓 희망이나 일시적인 대용품으로 문제를 해결함을 이르는 말.
    梅: 매화나무 林: 수풀 止: 그칠 渴: 목마를

  • 木皮三寸(목피삼촌) : 나무 껍질이 세 치라는 뜻으로, 몹시 두꺼움을 이르는 말.
    木: 나무 皮: 가죽 三: 寸: 마디

  • 方長不折(방장부절) : 한창 자라는 풀이나 나무를 꺾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앞길이 유망한 사람이나 사업에 대하여 헤살을 놓지 않음을 이르는 말.
    方: 長: 不: 아닌가 折: 꺾을

  • 等神(등신) : (1)나무, 돌, 흙, 쇠 따위로 만든 사람의 형상이라는 뜻으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2)떠돌아다니는 못된 귀신.
    等: 등급 神:

  • 植松望亭(식송망정) : 소나무를 심어 정자를 바란다는 뜻으로, 앞날의 성공이 까마득함을 이르는 말.
    植: 심을 松: 望: 바랄 亭: 정자

  • 十長生(십장생) :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열 가지.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이다.
    十: 長: 生:

  • 木石心腸(목석심장) : 나무와 돌 같은 마음과 속내라는 뜻으로, 감정이 없거나 인정이 없는 사람의 의미.
    木: 나무 石: 心: 마음 腸: 창자

  • 天高日月明地厚草木生(천고일월명지후초목생) :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은 밝으며,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남.
    天: 하늘 高: 높을 日: 月: 明: 밝을 地: 厚: 두터울 草: 木: 나무 生:

  • 摧枯拉朽(최고납후) : 마른 나무와 썩은 나무를 꺾는다는 뜻으로, 쉽사리 상대를 굴복하게 함을 이르는 말.
    摧: 꺾을 枯: 마를 朽: 썩을

  • 野廣天低樹江淸月近人(야광천저수강청월근인) : 들이 넓으니 하늘이 나무보다 낮은 듯하고, 강이 맑으니 달이 사람에게 가까이 있는 듯함.
    野: 廣: 넓을 天: 하늘 低: 낮을 樹: 나무 江: 淸: 맑을 月: 近: 가까울 人: 사람

  • 彫朽(조후) : 조후(雕朽). 썩은 나무에 조각한다는 뜻으로, 일이 값어치가 없음의 비유(比喩).
    彫: 새길 朽: 썩을

  • 木婚式(목혼식) : 서양 풍속에서, 결혼 5주년을 기념하는 의식. 부부가 서로 나무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다.
    木: 나무 婚: 혼인할 式:

  • 負薪之憂(부신지우) :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負: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賣子(매자) : (1)아이를 파는 행위. (2)자손이 귀하거나 자식이 있어도 허약하여 키우기 힘든 집에서, 아이의 장수(長壽)를 비는 뜻으로 불상, 큰 바위, 나무 따위에 장수에 관한 글자를 새기는 일.
    賣: 子: 아들

  • 雕朽(조후) : 썩은 나무에 조각한다는 뜻으로, 별 쓸모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雕: 독수리 朽: 썩을

  • 積薪之嘆(적신지탄) : 섶나무를 쌓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땔감을 쌓을 때 새로 해온 것을 늘 위에 있고, 먼저 해 온 것은 늘 아래에 눌려있듯이, 상급자로 승진하지 못하고 항상 남의 아랫자리에 머물러 있음을 한탄하는 말.
    積: 쌓을 薪: 섶나무 之: 嘆: 탄식할

  • 草木皆兵(초목개병) : (1)적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목이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서 두려워하며 의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군사의 수효가 너무 많아 산야에 가득 찬 상태.
    草: 木: 나무 皆: 兵: 군사

  • 滄桑(창상) : 푸른 바다가 변하여 뽕나무밭이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滄: 桑: 뽕나무

  • 惡木盜泉(악목도천) : 더워도 나쁜 나무 그늘에서는 쉬지 않으며, 목이 말라도 도(盜)란 나쁜 이름이 붙은 샘물은 마시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란(困難)해도 부끄러운 일은 하지 않음의 비유(比喩).
    惡: 악할 木: 나무 盜: 도둑 泉:

  • 依草附木(의초부목) :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는다는 뜻으로, 초목에 의지하는 것처럼 남에게 의뢰함을 이르거나, 불가(佛家)에서 사후(死後)에 다음 생(生)을 받지 못한 중간에 영혼이 초목의 그늘에 머물고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依: 의지할 草: 附: 붙을 木: 나무

  • 四君子(사군자) :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四: 君: 임금 子: 아들

  • 桂玉之地(계옥지지) : 장작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고 쌀이 옥보다 귀한 곳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地:

  • 輔車相依(보거상의) :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輔: 도울 車: 수레 相: 서로 依: 의지할

  • 山川草木(산천초목) : 산과 내와 풀과 나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山: 川: 草: 木: 나무

  • 木從繩則正(목종승즉정) : 나무도 먹줄을 따르면 바로 된다는 뜻으로, 굽은 나무도 먹줄을 놓아서 깎으면 바르게 되는 거처럼 학문을 하거나 충고를 따르면 훌륭한 사람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木: 나무 從: 좇을 繩: 노끈 則: 正: 바를

  • 盲龜浮木(맹귀부목) :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盲: 소경 龜: 거북 浮: 木: 나무

  • 桂林一枝(계림일지) :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林: 수풀 一: 枝: 가지

  • 盲龜遇木(맹귀우목) : 눈먼 거북이 우연히 뜬 나무를 붙잡았다는 뜻으로, 어려운 형편에 우연히 행운을 얻게 됨을 이르는 말.
    盲: 소경 龜: 거북 遇: 만날 木: 나무

  • 竹頭木屑(죽두목설) :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가 적은 물건을 이르는 말.
    竹: 頭: 머리 木: 나무 屑: 가루

  •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 갖옷의 털이 상할까하여 뒤집어 입고, 나무를 등(等)에 졌더니 도리어 갖옷이 못쓰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나 생각이 좁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反: 돌이킬 裘: 갖옷 而: 말 이을 負: 薪: 섶나무

  • 南柯夢(남가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夢:

  • 比翼連理(비익연리) : 비익조와 연리지라는 뜻으로, 부부가 아주 화목함을 이르는 말.
    比: 견줄 翼: 날개 理: 다스릴

  • 堯鼓舜木(요고순목) : 요임금의 북과 순임금의 나무라는 뜻으로, 요임금이 성문에 북을 매달아 간할 사람은 북을 처서 알리게 하고, 순임금은 잠목(箴木)을 세워놓고 경계할 말을 쓰게 한 고사에서 성군(聖君)의 바른 정치의 전형으로 표현됨.
    堯: 요임금 鼓: 舜: 순임금 木: 나무

  • 千枝萬葉(천지만엽) : (1)무성한 식물의 가지와 잎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어수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千: 일천 枝: 가지 萬: 일만 葉:

  • 歲寒三友(세한삼우) : 추운 겨울철의 세 벗이라는 뜻으로,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대나무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흔히 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송죽매’라고 한다.
    歲: 寒: 三: 友:

  • 毫毛斧柯(호모부가) : (1)어린싹을 뽑아 버리지 않으면 마침내 큰 나무가 된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은 크기 전에 없애야 함을 이르는 말. (2)나쁜 버릇은 어릴 때 고쳐야 함을 이르는 말.
    毫: 가는 털 毛: 斧: 도끼 柯: 가지

  • 櫨木櫃(로목궤) : (1)융통성이 전혀 없는 미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딸을 둔 노인이 거먕옻나무 궤를 짜서 남몰래 쌀 쉰닷 말을 넣어 두고 이것을 알아맞히는 사람을 사위로 삼기로 했는데, 그 사실을 알게 된 장사꾼이 사위가 된 후로 장인이 부르기만 하면, ‘노목궤, 쌀 쉰닷 말’ 하는 말만 되풀이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2)‘노목궤’의 북한어.
    木: 나무 櫃:

  • 乾木水生(건목수생) : (1)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2)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乾: 마를 木: 나무 水: 生:

  • 劍林地獄(검림지옥) : 불경, 불효, 무자비한 죄를 지은 사람이 떨어지는 지옥. 시뻘겋게 단 뜨거운 쇠 알의 열매가 달리고 잎이 칼로 된 나무 숲속에서 온몸이 찔리는 고통을 받는다.
    劍: 林: 수풀 地: 獄:

  • 等像(등상) : 나무, 돌, 흙, 쇠 따위로 만든 사람의 형상이라는 뜻으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等: 등급 像: 형상

  • 朽木糞墻(후목분장) : 썩은 나무와 썩은 담장이라는 뜻으로, 조각하거나 칠할 수 없는 나무나 조각처럼 정신이 썩어 있는 사람은 가르치기가 어렵거나, 처치 곤란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기도 함. [= 朽木糞土(후목분토)].
    朽: 썩을 木: 나무 糞: 墻:

  • 臥薪嘗膽(와신상담) :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월세가(越世家)>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臥: 누울 薪: 섶나무 嘗: 맛볼 膽: 쓸개

  • 南橘北枳(남귤북지) : 강남의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은 사는 곳의 환경에 따라 착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橘: 귤나무 北: 북녘 枳: 가지

  • 吐佳言如屑(토가언여설) : 유창한 말을 쏟아내는 것이 마치 가루 같다는 뜻으로, 말이 술술 나오는 것이 마치 톱으로 나무를 켤 때 톱밥이 나오는 것 같이 말을 막힘없이 잘함을 이르는 말.
    吐: 토할 佳: 아름다울 言: 말씀 如: 같을 屑: 가루

  • 炊玉焚桂(취옥분계) : 옥을 불때고 계수나무를 불사른다는 뜻으로, 물가(物價)가 매우 비쌈을 비유하거나, 물건이 매우 귀중함의 비유로 사용하는 말.
    炊: 불땔 玉: 구슬 焚: 불사를 桂: 계수나무

  • 鳥宿池邊樹僧敲月下門(조숙지변수승고월하문) : 새는 못가의 나무에서 잠자고, 스님은 달 아래의 문을 두드림.
    鳥: 宿: 묵을 池: 邊: 樹: 나무 僧: 敲: 두드릴 月: 下: 아래 門:

  • 千無一失(천무일실) : 한결같은 마음으로 전수(專修)하는 사람은 천이면 천 사람, 한 사람도 빠짐없이 극락왕생을 함.
    千: 일천 無: 없을 一: 失: 잃을

  • 江南一枝春(강남일지춘) :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江: 南: 남녘 一: 枝: 가지 春:

  • 連理(연리) : (1)여러 가지 이치를 논함. (2)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3)화목한 부부나 남녀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理: 다스릴

  • 剛木水生(강목수생) :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剛: 굳셀 木: 나무 水: 生:

  • 花發千山紅葉生萬樹靑(화발천산홍엽생만수청) : 꽃이 피니 온산이 붉고, 잎이 나니 모든 나무가 푸름.
    花: 發: 千: 일천 山: 紅: 붉을 葉: 生: 萬: 일만 樹: 나무 靑: 푸를

  • 鶯遷(앵천) : 꾀꼬리가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나무에 앉는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이르는 말. 승진이나 이사 따위를 축하할 때 쓰는 말이기도 하다.
    鶯: 꾀꼬리 遷: 옮길

  • 誹謗之木(비방지목) : 고대 중국에서 요임금이 자신의 정치에 대해 잘못된 점이나 불만을 가지게 된 점을 써 붙이도록 궁궐 다리에 세웠던 기둥을 이르는 말.
    誹: 헐뜯을 謗: 헐뜯을 之: 木: 나무

  • 南柯一夢(남가일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一: 夢:

  • 枯木死灰(고목사회) : 겉모습은 마른나무와 같고 마음은 재와 같다는 뜻으로, 생기와 의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枯: 마를 木: 나무 死: 죽을 灰:

  • 緣木求魚(연목구어)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緣: 가선 木: 나무 求: 구할 魚: 고기

  • 盤根錯節(반근착절) : (1)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라는 뜻으로,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사건을 이르는 말. ≪후한서≫ <우후전(虞詡傳)>에 나오는 말이다. (2)세력이 깊이 뿌리박고 있어 흔들리지 아니함.
    盤: 소반 根: 뿌리 錯: 섞일 節: 마디

  • 桂玉之嘆(계옥지탄) : 식량(食糧) 구(求)하기가 계수나무(桂樹--) 구(求)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求)하기가 옥을 구(求)하기 만큼이나 어려움.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嘆: 탄식할

  • 緣高木望四方(연고목망사방) : 높은 나무 위에 올라가 사방(四方)을 바라보면 그 때는 유쾌(愉快)하지만, 큰바람이 일면 떨어질 염려(念慮)가 있다는 뜻으로, 아무런 공도 없이 큰 이득(利得)을 보는 사람을 경계(警戒)해 이르는 말.
    緣: 가선 高: 높을 木: 나무 望: 바랄 四: 方:

  • 荊妻(형처) :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荊: 모형나무 妻: 아내

  • 木石難得(목석난득) :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難: 어려울 得: 얻을

  • 木强則折(목강즉절) : 나무가 강하면 꺾어진다는 뜻으로, 강한 나무가 풍설(風雪)에 꺾이기 쉽듯이 너무 강하면 도리어 멸망하기 쉬움을 비유하는 말.
    木: 나무 强: 굳셀 則: 折: 꺾을

1
#구름 67 #벼슬 88 #시대 114 #소리 96 #나이 97 #경계 56 #경우 64 #예전 60 #때문 58 #군자 56 #상황 119 #머리 141 #중국 253 #재앙 64 #임금 189 #인간 65 #실패 56 #죽음 73 #지위 65 #얼굴 99 #집안 93 #상태 110 #처음 91 #정도 153 #유래 280 #속담 63 #학문 107 #이치 67 #사랑 91 #비유 117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47개) : 나마, 나만, 나말, 나망, 나매, 나맥, 나머, 나멀, 나멘, 나멩, 나면, 나명, 나모, 나목, 나묘, 나무, 나문, 나물, 나므, 나믈, 나미, 나민, 낙마, 낙막, 낙망, 낙매, 낙맥, 낙면, 낙명, 낙모, 낙목, 난마, 난막, 난만, 난망, 난매, 난맥, 난면, 난명, 난모, 난목, 난무, 난문, 난물, 난민, 날망, 날매, 날메, 날멜, 날명, 날목, 날문, 날물, 날믈, 날밑, 남만, 남매, 남면, 남명, 남모, 남목, 남묘, 남무, 남문, 남물, 남미, 납막, 납매, 납명, 납물, 납미, 납밀, 낫멘, 낫면, 낫몸, 낫물, 낭만, 낭말, 낭못, 낭묘, 낭무, 낮말, 낮물, 낯면, 낱말, 낱뭇, 내마, 내막, 내만, 내말, 내맥, 내면, 내명, 내모, 내목, 내무, 내문, 내물, 내미, 내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