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515

  • 千里行龍 획순 千里行龍(천리행룡) : (1)어떤 일을 바로 하지 아니하고 그 유래를 하여 차차 그 일에 미치도록 하는 것. (2)풍수지리에서, 산맥이 높았다 낮았다 하며 힘차게 멀리 뻗음.
    千: 일천 里: 마을 行: 龍:

  • 吮疽之仁 획순 吮疽之仁(연저지인) :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이다.
    吮: 疽: 등창 之: 仁: 어질

  • 輕裝肥馬 획순 輕裝肥馬(경장비마) : 가벼운 차림새로 살진 을 탐.
    輕: 가벼울 裝: 꾸밀 肥: 살찔 馬:

  • 結者解之 획순 結者解之(결자해지)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
    結: 맺을 者: 解: 之:

  • 拔舌地獄 획순 拔舌地獄(발설지옥) : 로써 죄를 지은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지옥. 보습으로 혀를 가는 고통을 준다.
    拔: 舌: 地: 獄:

  • 多岐亡羊(다기망양)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多: 많을 岐: 갈림길 亡: 잃을 羊:

  • 能言鸚鵡(능언앵무) : 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
    能: 능할 言: 말씀 鸚: 앵무새 鵡: 앵무새

  • 伏龍鳳雛(복룡봉추) :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 ≪촉지≫의 <제갈량전(諸葛亮傳)> 주(注)에 나오는 이다.
    伏: 엎드릴 龍: 鳳: 봉새 雛: 병아리

  • 凌雲之志(능운지지) :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雲: 구름 之: 志:

  • 仰望終身(앙망종신) : 일생을 존경하고 사모하여 내 몸을 의탁함. 예전에, 아내가 남편에 대하여 가져야 할 태도로써 이르던 이다.
    仰: 우러를 望: 바랄 終: 끝날 身:

  • 先大夫人(선대부인) :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
    先: 먼저 大: 夫: 지아비 人: 사람

  • 大言壯談(대언장담) : 제 분수에 맞지 않는 을 희떱게 지껄임. 또는 그 .
    大: 言: 말씀 壯: 씩씩할 談: 말씀

  • 無言不答(무언부답) : 대답 못할 이 없음.
    無: 없을 言: 말씀 不: 아닌가 答: 대답할

  • 晩食當肉(만식당육) : 배가 고플 때는 무엇을 먹든지 고기 맛과 같음.
    晩: 늦을 食: 當: 마땅할 肉: 고기

  • 言行一致(언행일치) : 과 행동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한 대로 실행함.
    言: 말씀 行: 一: 致: 이룰

  • 如松之盛(여송지성) :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盛)함은 군자(君子)의 절개(節槪)를 한 것임.
    如: 같을 松: 之: 盛: 담을

  • 華而不實(화이부실)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이다.
    華: 빛날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實: 열매

  • 凱旋將軍(개선장군) : (1)적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장군. (2)어떤 일에 성공하여 의기양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凱: 개선할 旋: 將: 장수 軍: 군사

  • 萬古絶談(만고절담) : 만고에 비길 데 없이 훌륭한 .
    萬: 일만 古: 絶: 끊을 談: 말씀

  • 連枝(연지) : (1)‘연지’의 북한어. (2)한 뿌리에서 난 이어진 가지라는 뜻으로, 형제자매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枝: 가지

  • 以心傳心(이심전심) :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 ≪전등록≫에 나오는 로 원래는 불교의 법통을 계승할 때에 쓰였다.
    以: 心: 마음 傳: 전할 心: 마음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七: 일곱 步: 걸을 才: 재주

  • 敬啓(경계) : 삼가 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
    敬: 공경 啓:

  • 而立之年(이립지년) : 홀로 선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가 한 30세에 홀로 섰다는 에서 나이 30세를 이르는 로 사용됨. [보통 ‘而立’으로 표현함].
    而: 말 이을 立: 之: 年:

  • 韓亡子房奮(한망자방분) : 한(韓)나라가 망(亡)하자 장자방(張子房)이 성을 낸다는 뜻으로, 사영운이 스스로 자기(自己)를 장자방에 비유(比喩)한 .
    韓: 나라 이름 亡: 잃을 子: 아들 房: 奮: 떨칠

  • 鳳鳥不至(봉조부지) : 봉황새가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성인이 나면 봉황이 온다는 데서, 세상에 성인(聖人)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한탄하여 이르는 의 의미.
    鳳: 봉새 鳥: 不: 아닌가 至: 이를

  • 夏之日冬之夜(하지일동지야) : 여름의 낮이나 겨울의 밤이라는 뜻으로, 추울 때나 더울 때나 한결같이라는 .
    夏: 여름 之: 日: 冬: 겨울 之: 夜:

  • 十伐之木(십벌지목)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
    十: 伐: 之: 木: 나무

  • 浪說藉藉(낭설자자) : 터무니없는 이 퍼지다는 뜻으로, 헛된 소문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
    說: 말씀 藉: 깔개 藉: 깔개

  • 善騎者墮(선기자타) : 을 잘 타는 사람이 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 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
    善: 착할 騎: 말 탈 者: 墮: 떨어질

  • 石田耕牛(석전경우) : 자갈밭을 가는 소라는 뜻으로, 황해도 사람의 인내심 강하고 부지런한 성격을 이르는 .
    石: 田: 耕: 牛:

  • 鳴鳳在樹(명봉재수) : 명군(名君), 성현(聖賢)이 나타나면 봉(鳳)이 운다는 과 같이 덕망(德望)이 미치는 곳마다 봉(鳳)이 나무 위에서 울 것임.
    鳴: 鳳: 봉새 在: 있을 樹: 나무

  • 驚天動地(경천동지) : 하늘을 놀라게 하고 땅을 뒤흔든다는 뜻으로,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驚: 놀랄 天: 하늘 動: 움직일 地:

  • 仕非爲貧(사비위빈) : 관리(官吏)는 빈한해도 녹을 먹기 위(爲)해 일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관리(官吏)된 사람은 德(덕)을 천하(天下)에 펴야 한다는 .
    仕: 벼슬 非: 아닐 爲: 貧: 가난할

  • 艾年(애년) :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쉰 살을 이르는 .
    艾: 年:

  • 馬頭出令(마두출령) : 을 세워 놓고 명령을 내린다는 뜻으로, 갑자기 명령을 내림을 이르는 . 또는 그 명령.
    馬: 頭: 머리 出: 令: 하여금

  • 賊出關門(적출관문) : 도둑이 나간 뒤에 문을 닫는다는 뜻으로,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의미.
    賊: 도둑 出: 關: 빗장 門:

  • 玄之又玄(현지우현) : 오묘(奧妙)하고 또 오묘(奧妙)하다는 뜻으로, 도(道)의 광대(廣大) 무변함을 찬탄(讚歎)한 .
    玄: 검을 之: 又: 玄: 검을

  • 河淸(하청) : (1)중국 황허강(黃河江)의 물이 맑아지는 일. 흐린 황허강의 물이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고 한다. (2)중국 북제 무성제(武成帝) 때의 연호(562~565). 무성제의 두 번째 연호이다.
    河: 강 이름 淸: 맑을

  • 破性宗(파성종) : ‘가명종’을 달리 이르는 .
    破: 깨뜨릴 性: 성품 宗: 마루

  • 北行至楚(북행지초) : 북쪽으로 가면서 초(楚)나라에 이른다는 뜻으로, 남쪽의 초나라로 간다면서 북쪽을 향해 가는 것처럼 행동이 뜻한 바와 모순됨을 비유하는 로 사용됨.
    北: 북녘 行: 至: 이를 楚: 모형

  • 洛陽紙貴(낙양지귀) : 낙양의 종이가 귀해졌다는 뜻으로, (1)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받아 잘 팔림을 이르는 (2) 쓴 글의 평판(評判)이 널리 알려짐(3) 혹은 저서(著書)가 많이 팔리는 것을 할 때 쓰임.
    陽: 紙: 종이 貴: 귀할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이다.
    苛: 매울 政: 정사 猛: 사나울 於: 어조사 虎:

  • 若網在綱有條不紊(약망재강유조불문) : 망(網)은 여러 가닥의 실을 떠서 만들어 풀어지기 쉬우나 한 가닥의 벼리로 위쪽 코를 꿰매면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다는 .
    若: 같을 網: 그물 在: 있을 綱: 벼리 有: 있을 條: 가지 不: 아니 紊: 어지러울

  • 善惡不二(선악불이) :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
    善: 착할 惡: 악할 不: 아니 二:

  • 府部院廳(부부원청) : 서울의 각 관아를 통틀어 이르던 .
    府: 곳집 部: 나눌 院: 원집 廳: 관청

  • 犬馬之役(견마지역) : 개나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
    犬: 馬: 之: 役: 부릴

  • 斗筲之人(두소지인) : 도량(度量)이 좁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두(斗)는 한 들이 , 소(筲)는 한 두되들이 대그릇.
    斗: 筲: 대그릇 之: 人: 사람

  • 兎死狐悲(토사호비) :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서로 동정(同情)함을 이르는 .
    兎: 토끼 死: 죽을 狐: 여우 悲: 슬플

  • 望五(망오) :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 (2)궁중에서, 임금과 왕후, 왕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望: 바랄 五: 다섯

  • 會者定離(회자정리) : 만난 자는 반드시 헤어짐. 모든 것이 무상함을 나타내는 이다.
    會: 모일 者: 定: 정할 離: 떠날

  • 知者不言(지자불언) :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이다.
    知: 者: 不: 아니 言: 말씀

  • 寂滅之道(적멸지도) : 열반에 이르는 도리라는 뜻으로, ‘불교’를 달리 이르는 .
    寂: 고요할 滅: 멸망할 之: 道:

  • 家徒壁立(가도벽립)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이다.
    家: 徒: 무리 壁: 立:

  • 敬復者(경복자) : 공경하여 답장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 투의 편지글 답장 첫머리에 쓰는 .
    敬: 공경 復: 회복할 者:

  • 殘杯冷肴(잔배냉효) : 마시다 남은 술과 다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殘: 해칠 杯: 肴: 안주

  • 點鐵成金(점철성금) : (1)쇠를 달구어 황금을 만든다는 뜻으로, 나쁜 것을 고쳐서 좋은 것을 만듦을 이르는 . (2)옛사람의 을 따다가 글을 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點: 鐵: 成: 이룰 金:

  • 逆耳之言(역이지언) : 귀에 거슬리는 이라는 뜻으로, 신랄한 충고를 이르는 .
    逆: 거스를 耳: 之: 言: 말씀

  • 懸河之辯(현하지변) : 물이 거침없이 흐르듯 잘하는 .
    懸: 매달 河: 강 이름 之: 辯: 말 잘할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 36가지 계책(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책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
    三: 十: 計: 走: 달릴 爲: 上: 計:

  • 死生同苦(사생동고) : 죽고 사는 고생을 함께한다는 뜻으로, 어떤 어려움도 같이함을 이르는 .
    死: 죽을 生: 同: 한가지 苦:

  • 嘉言善行(가언선행) : 좋은 과 착한 행실을 아울러 이르는 .
    嘉: 아름다울 言: 말씀 善: 착할 行:

  • 復啓(복계) : 답장으로 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
    復: 회복할 啓:

  • 坦坦大路(탄탄대로) : (1)험하거나 가파른 곳이 없이 평평하고 넓은 큰길. (2)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순탄한 장래를 이르는 .
    坦: 평평할 坦: 평평할 大: 路:

  • 道不同不相爲謀(도부동불상위모) :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理)를 달리 하는 사람과는 서로 의논(議論)하지도 라는 .
    道: 不: 아닌가 同: 한가지 不: 아니 相: 서로 爲: 謀: 꾀할

  • 言思必忠事思必敬(언사필충사사필경) : 은 반드시 충직(忠直)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일은 반드시 공경(恭敬)의 자세(姿勢)로 할 것을 생각함.
    言: 말씀 思: 생각할 必: 반드시 忠: 충성 事: 思: 생각할 必: 반드시 敬: 공경

  • 無識君子(무식군자) : 배우지 못하여 지식이나 식견이 없어도 과 품행이 올바른 사람.
    無: 없을 識: 君: 임금 子: 아들

  • 從諫如流(종간여류) :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순순히 간언을 따름을 일르는 .
    從: 좇을 諫: 간할 如: 같을 流: 흐를

  • 愛及屋烏(애급옥오) :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된 사람이나 물건까지도 사랑함을 이르는 .
    愛: 사랑 及: 미칠 屋: 烏: 까마귀

  • 同黨伐異(동당벌이) : 일의 옳고 그름은 따지지 않고 뜻이 같은 무리끼리는 서로 돕고 그렇지 않은 무리는 배척함.
    同: 한가지 黨: 무리 伐: 異: 다를

  • 刀山劍水(도산검수) : (1)칼을 심어 놓은 것 같은 산수라는 뜻으로, 몹시 험하고 위험한 지경을 이르는 . (2)가혹한 형벌.
    刀: 山: 劍: 水:

  • 無據不測(무거불측) : (1)성질이 할 수 없이 흉측함. (2)근거가 없어 헤아리기 어려움.
    無: 없을 據: 의거할 不: 아니 測:

  •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 호(胡)나라의 은 호나라 쪽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
    胡: 오랑캐 馬: 依: 의지할 北: 북녘 風: 바람

  • 峯岠(봉거) : (1)산봉우리가 험하여 가까이 갈 수 없음. (2)이나 행동 또는 뜻이 맞지 아니하여 친근해질 수 없음.
    峯: 봉우리 岠: 큰 산

  • 羽化登仙(우화등선) : 사람의 몸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됨. ≪진서(晉書)≫의 <허매전(許邁傳)>에 나오는 이다.
    羽: 化: 화할 登: 오를 仙: 신선

  • 正松五竹(정송오죽) : 소나무는 정월에 옮겨 심고, 대나무는 오월에 옮겨 심어야 잘 산다는 .
    正: 바를 松: 五: 다섯 竹:

  • 邯鄲之步(한단지보) : 함부로 자기 본분을 버리고 남의 행위를 따라 하면 두 가지 모두 잃는다는 것을 이르는 . 어떤 사람이 한단이란 도시에 가서 그곳의 걸음걸이를 배우려다 미처 배우지 못하고, 본래의 걸음걸이도 잊어버려 기어서 돌아왔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의 ≪추수(秋水)≫에서 나온 이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步: 걸을

  • 蛾眉(아미) : 누에나방의 눈썹이라는 뜻으로, 가늘고 길게 굽어진 아름다운 눈썹을 이르는 . 미인의 눈썹을 이른다.
    蛾: 나방 眉: 눈썹

  • 愚公移山(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다.
    愚: 어리석을 公: 공변될 移: 옮을 山:

  • 朝聞夕死(조문석사) : 아침에 참된 이치를 들어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될 것이 없다는 . ≪논어≫의 <이인편(里仁篇)>에 나오는 이다.
    朝: 아침 聞: 들을 夕: 저녁 死: 죽을

  • 復命復唱(복명복창) :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復: 회복할 命: 목숨 復: 회복할 唱: 부를

  • 桃源(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 타국(他國)이나 타향(他鄕)에 살 때는 고향(故鄕) 가족(家族)의 편지(便紙)가 더없이 반갑고, 그 소식(消息)의 값이 황금(黃金) 만 냥보다 더 소중(所重)하다는 .
    家: 書: 抵: 거스를 萬: 일만 金:

  • 元亨利貞(원형이정) : (1)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리. (2)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세상의 모든 것이 생겨나서 자라고 이루어지고 거두어짐을 뜻한다.
    元: 으뜸 亨: 형통할 貞: 곧을

  • 三槐(삼괴) : ‘삼공’을 달리 이르는 . 중국 주나라 때에 조정의 뜰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고 삼공이 이를 향하여 앉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三: 槐: 회화나무

  • 驚弓之鳥(경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
    驚: 놀랄 弓: 之: 鳥:

  • 曖昧模糊(애매모호) : 이나 태도 따위가 희미하고 흐려 분명하지 아니함.
    曖: 가릴 昧: 어두울 模: 본뜰 糊:

  • 知足者富(지족자부) :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넉넉함. ≪노자≫ 제33장에 나오는 이다.
    知: 足: 者: 富: 가멸

  • 大王大妃(대왕대비) : 살아 있는, 전전 임금의 비(妃). 주로 왕의 할머니를 이르는 이다.
    大: 王: 임금 大: 妃: 왕비

  • 緘口勿說(함구물설) : 입을 다물고 을 하지 아니하게 함.
    緘: 봉할 口: 勿: 說: 말씀

  • 虎口讒言(호구참언) : 매우 위험(危險)한 참언이라는 뜻으로, 남을 궁지(窮地)에 몰아넣는 고자질이나 헐뜯는 을 이르는 .
    虎: 口: 讒: 참소할 言: 말씀

  • 於異阿異(어이아이) :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우리 속담의 한역(漢譯)으로, 같은 이라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상대가 받아들이는 기분이 다를 수 있다는 의미나, 항상 을 조심해서 해야한다는 의미.
    於: 어조사 異: 다를 阿: 언덕 異: 다를

  • 詞海(사해) : 문장이나 시가(詩歌)의 풍부함을 바다의 깊이와 넓이에 비유하여 이르는 .
    詞: 海: 바다

  • 魚豕之惑(어시지혹) : ‘노(魯)’를 ‘어(魚)’로, ‘해(亥)’를 ‘시(豕)’로 쓰는 의혹이라는 뜻으로, 여러 번 옮겨 쓰다 보면 반드시 잘못 쓴 글자가 생김을 이르는 .
    魚: 고기 豕: 돼지 之: 惑: 미혹할

  • 罔有擇言(망유택언) : 이 모두 법에 맞아 골라 낼 것이 없음.
    罔: 그물 有: 있을 擇: 가릴 言: 말씀

  • 易簀(역책) :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이르는 . 증자가 죽을 때를 당하여 삿자리를 바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이다.
    易: 바꿀 簀: 살평상

  • 桑間濮上(상간복상)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桑: 뽕나무 間: 濮: 강 이름 上:

  • 老馬厭太乎(노마염태호) : 늙은 이 콩 마다 하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본능적(本能的)인 욕망(慾望)은 늙는다고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
    馬: 厭: 싫어할 太: 乎:

  • 馬革裹屍(마혁과시) : 가죽으로 자기 시체를 싼다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는 결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
    馬: 革: 가죽 裹: 屍: 주검

  • 過猶不及(과유불급)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이다.
    過: 지날 猶: 오히려 不: 아니 及: 미칠

1 3 4 5
#고사 108 #관계 90 #의미 1817 #사용 312 #은혜 70 #어머니 72 #나라 392 #부부 76 #얼굴 99 #세상 339 #표현 88 #벼슬 88 #바람 136 #아래 86 #문장 59 #싸움 61 #군자 56 #방법 59 #시대 114 #비유 1177 #신하 62 #모습 66 #가운데 104 #근본 66 #형제 68 #하늘 251 #사이 200 #지위 65 #가난 90 #나무 16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