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205

  • 蹈海 획순 蹈海(도해) : (1)바다에 을 던져 죽는다는 뜻으로, 고결한 절개와 지조를 지킴을 이르는 말. (2)위험을 무릅쓰고 바다를 항해함.
    蹈: 밟을 海: 바다

  • 皮骨相接 획순 皮骨相接(피골상접) : 살가죽과 뼈가 맞붙을 정도로 몹시 마름.
    皮: 가죽 骨: 相: 서로 接: 사귈

  • 專心專力 획순 專心專力(전심전력) : 온 마음과 온 힘을 한곳에 모아 씀.
    專: 오로지 心: 마음 專: 오로지 力:

  • 輾轉不寐 획순 輾轉不寐(전전불매) : 누워서 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輾: 轉: 구를 不: 아니 寐: 잠잘

  • 盡心竭力 획순 盡心竭力(진심갈력) : 마음과 힘을 있는 대로 다함.
    盡: 다할 心: 마음 竭: 다할 力:

  • 壢馬籠禽(역마농금) : 마구간에 매인 말과 새장에 든 새라는 뜻으로, 속박(束縛)되어 자유롭지 않은 을 이르는 말.
    馬: 禽: 날짐승

  • 臥席終身(와석종신) : 제명을 다하고 편안히 자리에 누워서 죽음.
    臥: 누울 席: 자리 終: 끝날 身:

  • 氷肌雪腸(빙기설장) : 얼음 같이 맑은 피부와 눈 같이 깨끗한 장이라는 뜻으로, 도 마음도 결백함을 의미함.
    氷: 얼음 肌: 雪: 腸: 창자

  • 苦肉之計(고육지계) : 자기 을 상해 가면서까지 꾸며 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르는 말.
    苦: 肉: 고기 之: 計:

  • 飜身上馬(번신상마) : 을 날리듯 빠르게 말에 올라탐.
    飜: 뒤칠 身: 上: 馬:

  • 見蛇首知長短(견사수지장단) : 뱀의 대가리를 보면, 그 의 길고 짧음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한 가지를 보아 전체(全體)를 알 수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見: 蛇: 首: 머리 知: 長: 短: 짧을

  • 社稷之臣(사직지신) : 나라의 편안함과 위태함, 존속과 멸망을 맡은 중신(重臣).
    社: 토지신 稷: 기장 之: 臣: 신하

  • 自棄(자기) : 절망에 빠져 자신을 스스로 포기(抛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自: 스스로 棄: 버릴

  • 殺身立節(살신입절) : 자기의 을 희생하여 절개를 세움.
    殺: 죽일 身: 節: 마디

  • 自身放賣(자신방매) : 자기의 을 스스로 팔아 망침.
    自: 스스로 身: 放: 놓을 賣:

  • 事無閑身(사무한신) : 별로 하는 일이 없는 한가한 사람.
    事: 無: 없을 閑: 한가할 身:

  • 食少事煩(식소사번) : 먹을 것은 적은데 할 일은 많음.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사마의가 제갈량을 두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食: 少: 적을 事: 煩: 번거로울

  • 多才多病(다재다병) : 재주가 많은 사람이 흔히 이 약하고 병이 많음을 이르는 말.
    多: 많을 才: 재주 多: 많을 病:

  • 獨善其身(독선기신) : 남을 돌보지 아니하고 자기 한 의 처신만을 온전하게 함.
    獨: 홀로 善: 착할 其: 身:

  • 漆身爲癩(칠신위라) : 에 옻칠을 하여 문둥이처럼 가장한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를 갚기 위(爲)해 용모(容貌)를 바꿈을 이르는 말.
    漆: 身: 爲: 癩: 문둥병

  • 哀毁骨立(애훼골립) : 부모의 죽음을 슬퍼하여 이 몹시 여윔.
    哀: 슬플 毁: 骨: 立:

  • 粉骨碎身(분골쇄신) : (1)뼈를 가루로 만들고 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으로 노력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이 부서짐. (2)참혹하게 죽음.
    粉: 가루 骨: 碎: 부술 身:

  • 我身能善譽及父母(아신능선예급부모) : 내 이 능히 착하면 명예(名譽)가 부모(父母)님께 미침.
    我: 身: 能: 능할 善: 착할 譽: 기릴 及: 미칠 父: 아비 母: 어미

  • 富潤屋德潤身(부윤옥덕윤신) : 부(富)는 집을 윤택(潤澤)하게 하고, 덕(德)은 을 윤택(潤澤)하게 함.
    富: 가멸 潤: 젖을 屋: 德: 潤: 젖을 身:

  • 同體異名(동체이명) : 은 같으나 이름이 다름.
    同: 한가지 體: 異: 다를 名: 이름

  • 千金之應(천금지구) : 천금같이 소중(所重)한 .
    千: 일천 金: 之:

  • 伏地不動(복지부동) : 땅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伏: 엎드릴 地: 不: 아닌가 動: 움직일

  • 旅體(여체) : (1)‘여체’의 북한어. (2)객지에 있는 . 주로 편지글에서 글 쓰는 이가 안부를 물을 때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體:

  • 良藥苦於口(양약고어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입에 쓴 약이 병을 잘 고치듯이 충고하는 말은 듣기엔 거북하지만, 자기 엔 이로움을 비유한 말.
    藥: 苦: 於: 어조사 口:

  • 縛之打之(박지타지) : 을 묶어 놓고 때림.
    縛: 묶을 之: 打: 之:

  • 若不勝衣(약불승의) : 옷 무게를 이기지 못하는 듯하다는 뜻으로, 이 야위어 초췌(憔悴)하다는 의미나 겸양(謙讓)한 모양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若: 같을 不: 아니 勝: 이길 衣:

  • 形影相弔(형영상조) : 자기의 과 그림자가 서로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어 몹시 외로워함을 이르는 말.
    形: 형상 影: 그림자 相: 서로 弔: 조상할

  • 身體髮膚(신체발부) : 과 머리털과 피부라는 뜻으로, 전체를 이르는 말.
    身: 體: 髮: 터럭 膚: 살갗

  • 沐浴齋戒(목욕재계) : 제사나 기원하는 일에 앞서서 부정을 타지 않도록 을 깨끗이 씻고 가짐을 다듬는 일.
    沐: 머리감을 浴: 목욕할 齋: 재계할 戒: 경계할

  • 形體雖異素受一血(형체수이소수일혈) : 형상(形像)과 은 비록 다르나 본래(本來) 한 핏줄기를 이어받았음.
    形: 형상 體: 雖: 비록 異: 다를 素: 受: 받을 一: 血:

  • 保身之策(보신지책) : 자신의 을 온전히 지키기 위한 꾀.
    保: 보전할 身: 之: 策:

  • 磬折(경절) : 공경하는 태도로 경쇠 모양으로 허리를 굽혀 절함.
    磬: 경쇠 折: 꺾을

  • 鴻鵠將至(홍곡장지) : 큰 기러기나 고니가 장차 이른다는 뜻으로, 글을 배우면서 마음은 새 잡는 일 따위를 생각하는 것처럼, 마음이 엉뚱한 곳에 있어 일이 에 배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鴻: 큰기러기 鵠: 고니 將: 장수 至: 이를

  • 車駕肥輕(거가비경) : 수레의 말은 살찌고 의 의복(衣服)은 가볍게 차려져 있음.
    車: 수레 駕: 멍에 肥: 살찔 輕: 가벼울

  • 孤孑單身(고혈단신) : 피붙이가 전혀 없는 외로운 .
    孤: 외로울 孑: 외로울 單: 身:

  • 蕙心紈質(혜심환질) : 혜초 같은 마음과 흰비단 같은 자질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마음과 이 아울러 아름다움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蕙: 향풀 이름 心: 마음 紈: 흰깁 質: 바탕

  • 雉膏不食(치고불식) : 꿩 기름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에 좋은 꿩 기름도 먹지 않는 것처럼 재덕이 있어도 임금에게 채용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주역(周易)].
    雉: 膏: 기름 不: 아니 食:

  • 我身晩來椅閭侯之(아신만래의려후지) : 내 이 늦게 올 때면 이문에 기대어 기다리심.
    我: 身: 晩: 늦을 來: 椅: 걸상 閭: 이문 侯: 제후 之:

  • 病不離身(병불이신) : (1)‘병불이신’의 북한어. (2)에 병이 떠날 날이 없음.
    病: 不: 아니 離: 떠날 身:

  • 灰斷(회단) : 무여열반(無餘涅槃)의 경지를 이르는 말.
    灰: 斷: 끊을

  • 如蛾赴火(여아부화) : 부나비가 불에 날아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탐욕으로 말미암아 을 망치거나 화를 차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如: 같을 蛾: 나방 赴: 나아갈 火:

  • 亡命逃走(망명도주) : 죽을죄를 지은 사람이 을 숨겨 멀리 도망함.
    亡: 잃을 命: 목숨 逃: 달아날 走: 달릴

  • 老病有孤舟(노병유고주) : 늙고 병든 을 의탁(依託)할 것은 오직 작은 배 한 척 뿐이라는 뜻으로, 노후(老後)의 고적(孤寂)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病: 有: 있을 孤: 외로울 舟:

  • 櫛風沐雨(즐풍목우) : 머리털을 바람으로 빗질하고 은 빗물로 목욕한다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객지에서 방랑하며 온갖 고생을 다 함을 이르는 말.
    櫛: 風: 바람 沐: 머리감을 雨:

  • 下等痛悔(하등통회) : 통회의 동기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있지 아니하고 죄를 지은 결과로 자기에게 해가 미치기 때문에 뉘우치는 태도.
    下: 아래 等: 등급 痛: 아플 悔: 뉘우칠

  • 動容周旋(동용주선) : 을 갖는 태도와 일을 주선하는 솜씨.
    動: 움직일 容: 얼굴 周: 두루 旋:

  • 匹馬單騎(필마단기) : 혼자 한 필의 말을 탐. 또는 그렇게 하는 사람.
    匹: 馬: 單: 騎: 말 탈

  • 絲身穀腹(사신곡복) : 을 가리는 실과 배를 채우는 곡식이라는 뜻으로, 입는 것과 먹는 것을 이르는 말.
    絲: 身: 穀: 곡식 腹:

  • 盲管銃創(맹관총창) : 총알이나 파편이 관통(貫通)하지 못하고 안에 남아 있는 상처(傷處).
    盲: 소경 管: 대롱 銃: 創: 비롯할

  • 人事不省(인사불성) : (1)제 에 벌어지는 일을 모를 만큼 정신을 잃은 상태. (2)사람으로서의 예절을 차릴 줄 모름.
    人: 사람 事: 不: 아니 省: 살필

  • 仙姿玉質(선자옥질) : 신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뜻으로, 과 마음이 매우 아름다운 사람을 이르는 말.
    仙: 신선 姿: 맵시 玉: 구슬 質: 바탕

  • 目食耳視(목식이시) : 눈으로 먹고 귀로 본다는 뜻으로, 맛있는 것보다 보기에 아름다운 음식(飮食)을 좋아하고, 에 맞는 것보다 귀로 들은 유행(流行)하는 의복(衣服)을 입음. 곧 외관(外觀)을 위(爲)해서 의식(衣食) 본래(本來)의 목적(目的)을 버리고 사치(奢侈)로 흐름을 두고 이르는 말.
    目: 食: 耳: 視:

  • 半身不遂(반신불수) : 반신불수(半身不隨). (1) 의 좌우(左右) 어느 한쪽을 마음대로 잘 쓰지 못함 (2) 또는 그런 사람.
    半: 身: 不: 아니 遂: 드디어

  • 毛骨悚然(모골송연) : 아주 끔직한 일을 당(當)하거나 볼 때, 두려워 이나 털이 곤두선다는 말.
    毛: 骨: 悚: 두려워할 然: 그러할

  • 牽攣乖隔(견련괴격) : 마음은 서로 끌리면서도 은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牽: 攣: 걸릴 乖: 어그러질 隔: 사이 뜰

  • 宴安酖毒(연안짐독) : 행실(行實)이 바르지 못하여 놀고 즐기는 것은, 마시면 죽는 독주인 짐주(짐새의 깃을 술에 담근 독주)의 독과 같아서 사람의 을 상하게 한다는 말.
    宴: 잔치 安: 편안할 酖: 독조 이름 毒:

  • 捧腹絶倒(봉복절도) : 배를 잡고 까무러치듯 넘어진다는 뜻으로, 배를 움켜쥐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는다는 의미.
    捧: 받들 腹: 絶: 끊을 倒: 넘어질

  • 形單影隻(형단영척) : 형체가 하나이므로 그림자도 하나라는 뜻으로, 의지할 곳도 도움을 받을 곳도 없이 몹시 외롭고 고독한 처지를 이르는 말.
    形: 형상 單: 影: 그림자 隻: 외짝

  • 可惜身命(가석신명) : 과 목숨을 애틋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과 목숨을 소중하게 여김을 이르는 불가의 말씀.
    可: 옳을 惜: 아낄 身: 命: 목숨

  • 醉如泥(취여니) : 취하여 ‘니(泥)’와 같다는 뜻으로, 남해에서 나는 뼈없는 벌레 ‘니’처럼 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취하여 고주망태가 됨을 이르는 말.
    醉: 취할 如: 같을 泥: 진흙

  • 殘疾之人(잔질지인) : 에 질병이 남아 있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병을 많이 치러 쇠약해진 사람을 이르는 말.
    殘: 해칠 疾: 之: 人: 사람

  • 抱腹絶倒(포복절도) : 배를 움켜쥐고 넘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우스워서 참을 수 없어 배를 안고 웃음을 이르는 말.
    抱: 안을 腹: 絶: 끊을 倒: 넘어질

  • 貧而樂道(빈이낙도) :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긴다는 뜻으로, 은 곤궁하더라도 도를 닦아 즐기는 진정한 삶을 의미함.
    貧: 가난할 而: 말 이을 道:

  • 白衣勇士(백의용사) : 전투나 군사상 공무 중에 을 다친 군인.
    白: 衣: 勇: 날랠 士: 선비

  • 明哲保身(명철보신) : 총명하고 사리에 밝아 일을 잘 처리하여 자기 을 보존함.
    明: 밝을 哲: 밝을 保: 보전할 身:

  • 鷄肋(계륵) : (1)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修傳)>에 나오는 말이다. (2)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肋: 갈빗대

  • 大人(대인) : (1)자라서 어른이 된 사람. 보통 만 19세 이상의 남녀를 이른다. (2)이 아주 큰 사람. (3)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4)신분이나 관직이 높은 사람. (5)문어체에서,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6)문어체에서, ‘남’을 높여 이르는 말. (7)고구려에서 둔, 오부(五部)의 으뜸 벼슬. (8)읍루(挹婁)에서 읍락의 장(長)을 이르던 말.
    大: 人: 사람

  • 換骨(환골) : (1)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3)도가(道家)에서, 인간이 속골(俗骨)을 선골(仙骨)로 바꾸어 에 털이 난다는 뜻으로, 신선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換: 바꿀 骨:

  • 髮短心長(발단심장) : 늙어 머리털은 빠져 짧지만 마음은 길다는 뜻으로, 노인이 지혜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髮: 터럭 短: 짧을 心: 마음 長:

  • 寸絲不掛(촌사불괘) : 실오라기 하나도 에 걸치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조금도 마음에 걸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寸: 마디 絲: 不: 아니 掛:

  • 碎骨粉身(쇄골분신) : 뼈를 부수고 을 가루로 만든다는 뜻으로, 정성으로 노력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부서지고 이 가루가 됨.
    碎: 부술 骨: 粉: 가루 身:

  • 低頭平身(저두평신) : 머리를 숙이고 을 낮춤.
    低: 낮을 頭: 머리 平: 평평할 身:

  • 四百四病(사백사병) : (1)사람의 오장에 있는 405종의 병 중에서 죽는 병을 제외한 404종의 병. (2)사람의 에서 땅, 물, 불, 바람의 네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얻는 병. 한 요소마다 101가지이므로 모두 404가지가 된다.
    四: 百: 일백 四: 病:

  • 立身揚名(입신양명) : (1)‘입신양명’의 북한어. (2)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떨침.
    身: 揚: 오를 名: 이름

  • 赤手單身(적수단신) : 맨손과 홀이라는 뜻으로, 재산도 없고 의지할 데도 없는 외로운 을 이르는 말.
    赤: 붉을 手: 單: 身:

  • 和光(화광) : (1)자기의 지덕(知德)을 감추고 밖으로 드러내지 아니함. (2)빛을 감추고 티끌 속에 섞여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뛰어난 지덕(智德)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오는 말이다. (3)불보살이 중생을 깨우치기 위하여 속인들 사이에 태어나 중생과 인연을 맺어 중생을 불법으로 인도함.
    和: 고를 光:

  • 自身照不亮(자신조불량) : 자신의 을 비추는 일도 밝지 못하다는 뜻으로, 남을 도울 여유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
    自: 스스로 身: 照: 비출 不: 아니 亮: 밝을

  • 我身不善辱及父母(아신불선욕급부모) : 내 이 착하지 못하면 욕됨이 부모(父母)님께 미침.
    我: 身: 不: 아니 善: 착할 辱: 욕될 及: 미칠 父: 아비 母: 어미

  • 被堅執銳(피견집예) : 견고함을 입고 날카로움을 잡았다는 뜻으로, 갑주(甲冑)로 을 싸고 예리한 병기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완전무장(完全武裝)함을 이르는 말.
    被: 이불 堅: 굳을 執: 잡을 銳: 날카로울

  • 千辛萬苦(천신만고) : 천 가지 매운 것과 만 가지 쓴 것이라는 뜻으로, 온갖 어려운 고비를 다 겪으며 심하게 고생함을 이르는 말.
    千: 일천 辛: 매울 萬: 일만 苦:

  • 八尺長身(팔척장신) : 키가 매우 큰 사람이나 그 사람의 을 과장하여 이르는 말.
    八: 여덟 尺: 長: 身:

  • 莊周之夢(장주지몽) :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莊: 엄숙할 周: 두루 之: 夢:

  • 臥薪嘗膽(와신상담) : 불편한 섶에 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월세가(越世家)>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臥: 누울 薪: 섶나무 嘗: 맛볼 膽: 쓸개

  • 殺身成仁(살신성인) : 자기의 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룸. ≪논어≫의 <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말이다.
    殺: 죽일 身: 成: 이룰 仁: 어질

  • 稽顙再拜(계상재배) : 이마가 땅에 닿도록 을 굽혀 두 번 절함. 흔히 한문 투의 편지글에서 상제(喪制)가 상대편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편지 첫머리에 쓴다.
    稽: 생각할 顙: 이마 再: 拜:

  • 自繩自縛(자승자박) : (1)제 마음으로 번뇌를 일으켜 괴로움을 만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자기의 줄로 자기 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自: 스스로 繩: 노끈 自: 스스로 縛: 묶을

  • 白髮三千丈(백발삼천장) : 백발이 매우 길게 자랐다는 뜻으로, 이 늙고 근심 걱정이나 비탄이 날로 쌓여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태백의 <추포가(秋浦歌)>에 나오는 말이다.
    白: 髮: 터럭 三: 千: 일천 丈: 어른

  • 身兼奴僕(신겸노복) : 자기 이 노복을 겸하였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종을 두지 못하고 소 궂은일을 함을 이르는 말.
    身: 兼: 겸할 奴: 僕:

  • 敗家亡身(패가망신) : 집안의 재산을 다 써 없애고 을 망침.
    敗: 패할 家: 亡: 잃을 身:

  • 換骨奪胎(환골탈태) : (1)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2)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惠洪)의 <냉재야화(冷齋夜話)>에 나오는 말이다.
    換: 바꿀 骨: 奪: 빼앗을 胎: 아이밸

  • 禪悅爲食(선열위식) : 선정(禪定)의 기쁨으로 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 음식으로 을 기르고 목숨을 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
    禪: 봉선 悅: 기쁠 爲: 食:

  • 怒蹴巖(노축암) : 성이 나서 바위를 찬다는 뜻으로, 애꿎은 분풀이로 도리어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怒: 성낼 蹴: 巖: 바위

  • 蒲柳之質(포류지질) : 갯버들 같은 체질이라는 뜻으로, 갯버들의 나뭇잎이 가을이 되자마자 떨어지는 데서, 사람의 체질이 허약하거나 나이보다 일찍 노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설신어≫의 <언어편(言語篇)>에 나오는 말이다.
    蒲: 부들 柳: 버들 之: 質: 바탕

  • 乞骸骨(걸해골) :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사기(史記)≫의 <평진후전(平津侯傳)>에서 유래한다.
    乞: 骸: 해골 骨:

  • 無作三身(무작삼신) : 사람이 태어나면서 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의 삼신(三身)을 갖추는 일. 또는 그 삼신.
    無: 없을 作: 지을 三: 身:

1 3
#사이 200 #이익 89 #나이 97 #근본 66 #편안 62 #물건 136 #죽음 73 #상태 110 #자식 104 #자연 73 #얼굴 99 #자신 208 #속담 63 #문장 59 #시대 114 #군자 56 #천하 94 #머리 141 #사용 312 #어려움 105 #임금 189 #재주 82 #아내 81 #나무 166 #가난 90 #집안 93 #지위 65 #때문 58 #의미 1817 #경우 6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