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68 개
-
不踏覆轍(부답복철)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
桑濮之音(상복지음)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禍福無門惟人自招(화복무문유인자초) : 화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
積善餘慶(적선여경) :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
生民之始萬福之原(생민지시만복지원)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일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 輻輳竝臻(복주병진) : ‘폭주병진’의 원말.
- 福不重至(복부중지) : 복은 거듭 이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복은 한꺼번에 둘씩 오지 않는다는 의미.
- 百壽百福(백수백복) : (1)긴 수명과 온갖 복. (2)여러 가지의 전자(篆字)로 써 놓은 ‘壽福’ 글자. 수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게문이나 두껍닫이 따위에 써 붙였다.
- 禳禍求福(양화구복) :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 禍兮福之所倚(화혜복지소의) : 화와 복은 서로 의지(依支)하고 있음.
- 福善禍淫(복선화음) :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 有服之親(유복지친) : 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 百福之源(백복지원) : 온갖 복의 근원.
- 遠禍召福(원화소복) : 화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임.
- 福緣善慶(복연선경) : 복(福)은 착한 일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경사(慶事)가 옴.
- 福生於微(복생어미) :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 多幸多福(다행다복) : 운이 좋고 복이 많음.
- 福至心靈(복지심령) :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 福德圓滿(복덕원만) :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 踏覆轍(답복철) : 복거지계(覆車之戒).
- 塞翁爲福(새옹위복) :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화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 碩果不食(석과불식) : 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
- 禍轉爲福(화전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 宗社(종사) : 종묘와 사직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이르는 말.
- 謹賀新年(근하신년) :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 釋服從吉(석복종길) : 상복을 입는 기간이 끝나기 전에 상복을 벗고 일상복으로 갈아입는 일. 조선 시대에는 이러한 경우, ≪당률소의≫에 따라 도형(徒刑) 3년에 처하였다.
- 發福之地(발복지지) : 자손이 복을 받게 되는 좋은 집터나 묏자리.
- 立春大吉(입춘대길) :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 太守爲脫頷頤(태수위탈함이) :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 風燈(풍등) : (1)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 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열기구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띄우는 등. 대나무로 된 뼈대 위에 한지로 만든 등갓을 붙인 다음 뼈대 가운데에 기름을 먹인 심지를 고정하여 만든다. 과거에는 밤에 하늘로 띄워 군사용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보통 복을 기원하거나 놀이를 위하여 띄운다.
- 反禍爲福(반화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 福過災生(복과재생) :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김.
-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뜻으로, 길흉화복이 뒤바뀌어 예측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 禍與福隣(화여복린) : 화와 복이 서로 이웃한다는 뜻으로, 복이 있으면 화가 있고, 화가 있으면 복이 있다는 의미.
- 福無雙至(복무쌍지) : 복은 거듭 오지 않으며 한꺼번에 둘씩 오지도 않음.
- 桑間之音(상간지음)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 壽福康寧(수복강녕) : 오래 살고 복을 누리며 건강하고 평안함.
- 無量大福(무량대복) :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큰 복.
- 無上大福(무상대복) : 더할 수 없이 큰 복.
- 天佑神助(천우신조) : 하늘이 돕고 신령이 도움. 또는 그런 일.
- 角者無齒(각자무치) : 뿔이 있는 짐승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재주나 복을 다 가질 수 없다는 말.
- 禍福倚伏(화복의복) : 화나 복이 서로 인연했다 엎드린다는 뜻으로, 화 가운데 복이 있고 복 가운데 화가 있어 화와 복은 항상 돌고 도는 것이라는 의미.
- 踏覆車之轍(답복차지철) : 복거지계(覆車之戒).
- 禍福同門(화복동문) : 화나 복은 모두 자신(自身)이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 百福莊嚴(백복장엄) : 많은 복을 쌓은 공덕으로 갖추어진 부처의 장엄한 상(相).
- 福因福果(복인복과) : 복덕의 인(因)으로 말미암아 복덕의 과보(果報)를 얻음.
- 轉禍爲福(전화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 毋望之福(무망지복) : 뜻하지 않게 얻는 복.
- 天道不謟(천도부도) : 하늘이 선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惡)한 사람에게는 화(禍)를 주는 것은 조금도 의심할 바 없음.
- 無望之福(무망지복) : 바램이 없었던 복이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복이나 생각지 않았던 행운의 의미.
- 塞翁得失(새옹득실) :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 塞翁之馬(새옹지마)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 絲身穀腹(사신곡복) : 몸을 가리는 실과 배를 채우는 곡식이라는 뜻으로, 입는 것과 먹는 것을 이르는 말.
- 多福多男(다복다남) : 복이 많고 아들이 많다는 뜻으로, 팔자가 좋음을 이르는 말.
- 恭賀新年(공하신년) :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
- 禍福由己(화복유기) : 화나 복은 자기에게서 말미암는다는 뜻으로, 화나 복은 자기 스스로 부르는 것이라는 의미.
- 禍福糾纆(화복규묵) : 화복(禍福)이 꼰 노와 같이 서로 얽혀 있다는 뜻으로, 재앙(災殃)이 있으면 복이 있고, 복이 있으면 재앙(災殃)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兩足仙(양족선) : 두 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라는 뜻으로, ‘부처01’를 높여 이르는 말. 양족(兩足)은 복덕과 지혜, 계(戒)와 정(定), 대원(大願)과 수행을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 禍福相生(화복상생) : 화와 복이 서로 생긴다는 뜻으로, 화와 복이 서로 번갈아 일어남을 이르는 말.
- 積善之家必有餘慶(적선지가필유여경) : 적선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복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착한 일을 계속(繼續)해서 하면 복이 자신(自身) 뿐만 아니라 자손(子孫)에까지도 미친다는 말.
- 齊紫敗素(제자패소) :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 烹頭耳熟(팽두이숙) :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익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이 잘되면 다른 일도 저절로 이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鷄卵有骨(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 兩目兩足(양목양족) : 두 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라는 뜻으로, ‘부처01’를 높여 이르는 말. 양족(兩足)은 복덕과 지혜, 계(戒)와 정(定), 대원(大願)과 수행을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 自受用身(자수용신) : 수행이 끝나 복덕과 지혜가 원만하고 밝아 늘 진리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法樂)을 받는 불신(佛身).
- 禍福無門(화복무문) : 화복은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사람이 선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말.
- 塞翁禍福(새옹화복) :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 覆車之戒(복거지계) :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경우 64
#소리 96
#이름 211
#얼굴 99
#경계 56
#따위 228
#편안 62
#형제 68
#벼슬 88
#훌륭 85
#군자 56
#집안 93
#정도 153
#동안 70
#지위 65
#머리 141
#상황 119
#구름 67
#시대 114
#하늘 251
#모양 142
#나이 97
#세월 71
#부모 136
#상대 56
#사랑 91
#재주 82
#행동 137
#사용 312
#자연 73
▹초성이 같은 단어들
•
ㅂ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