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 에 관한 한자 모두 1,177

  • 學如穿井 획순 學如穿井(학여천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學: 배울 如: 같을 穿: 뚫을 井: 우물

  • 挐雲 획순 挐雲(나운) : 구름을 손으로 붙잡는다는 뜻으로, 포부가 원대(遠大)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挐: 붙잡을 雲: 구름

  • 投杼疑 획순 投杼疑(투저의) : 베틀의 북을 내던지는 의심(疑心)(疑心)이라는 뜻으로, (1) 여러 번 말을 들으면 곧이듣게 된다는 말 (2) 임금이 참언을 믿는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投: 던질 杼: 疑: 의심할

  • 狐不二雄 획순 狐不二雄(호불이웅) : 여우는 수놈이 짝을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수놈 두 마리가 동거하지 못하는 여우처럼 양웅(兩雄)은 병립(竝立)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狐: 여우 不: 아니 二: 雄: 수컷

  • 巖下之電 획순 巖下之電(암하지전) : 바위 아래의 번갯불이라는 뜻으로, 눈빛이 번쩍번쩍 빛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巖: 바위 下: 아래 之: 電: 번개

  • 揚州之鶴(양주지학) : 모든 세속적인 욕망을 한 몸에 다 모으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揚: 오를 州: 고을 之: 鶴:

  • 探湯(탐탕) : 끓는 물에 손을 넣어 본다는 뜻으로, 더위에 괴로워하는 모양이나, 고생하거나 두려워하여 경계하는 모양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探: 찾을 湯: 끓일

  • 炊臼之夢(취구지몽) : 절구에 밥을 짓는 꿈이라는 뜻으로, 솥이 없어 절구에 밥을 짓는 것인데, 釜(부)와 婦(부)의 음이 상통한 것에서 풀이한 것으로, 아내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임.
    炊: 불땔 臼: 절구 之: 夢:

  • 剛腸(강장) : 굳센 창자라는 뜻으로, 굳세고 굽히지 않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剛: 굳셀 腸: 창자

  • 葛藤(갈등) :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일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葛: 藤: 등나무

  • 紅一點(홍일점) :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紅: 붉을 一: 點:

  • 猛虎爲鼠(맹호위서) : 사나운 호랑이가 쥐가 된다는 뜻으로, 범도 위엄을 잃으면 쥐 신세가 되듯이 제왕도 권력을 잃으면 권신의 제어를 받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猛: 사나울 虎: 爲: 鼠:

  • 鳥鵲之智(조작지지) : 까치의 지혜(智慧)라는 뜻으로, 하찮은 지혜(智慧)를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鳥: 鵲: 까치 之: 智: 슬기

  • 蝙蝠之役(편복지역) : 자기 이익만을 위하여 이리 붙고 저리 붙고 하는 줏대 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蝙: 박쥐 蝠: 박쥐 之: 役: 부릴

  • 勢如破竹(세여파죽) : 기세가 매우 대단하여 감히 대항할 만한 적이 없음.
    勢: 기세 如: 같을 破: 깨뜨릴 竹:

  • 西山落日(서산낙일) : (1)서산에 지는 해. (2)세력이나 힘 따위가 기울어져 멸망하게 된 판국을 이르는 말.
    西: 서녘 山: 日:

  • 沙鉢農事(사발농사) : 사발로 짓는 농사라는 뜻으로, 일을 하지 아니하고 밥을 빌어먹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沙: 모래 鉢: 바리때 農: 농사 事:

  • 南箕北斗(남기북두) : 남쪽 하늘의 키와 북쪽 하늘의 말이라는 뜻으로, 기성(箕星)은 그 이름에 쌀을 까부는 ‘키’를 뜻하는 ‘箕’ 자가 있지만 쌀을 까불지 못하고, 북두성은 그 이름에 쌀을 되는 ‘말’을 뜻하는 ‘斗’ 자가 있지만 쌀을 되지 못하는 것처럼 이름뿐이고 아무 쓸모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箕: 北: 북녘 斗:

  • 狐死首丘(호사수구) : (1)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제가 살던 굴이 있는 언덕으로 돌린다는 뜻으로, 죽을 때라도 자기의 근본을 잊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고향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狐: 여우 死: 죽을 首: 머리 丘: 언덕

  • 虎死留皮(호사유피)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虎: 死: 죽을 皮: 가죽

  • 求田問舍(구전문사) :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求: 구할 田: 問: 물을 舍:

  • 燈臺不自照(등대부자조) : 등대는 자신을 비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남의 일은 잘 보이나 자신의 일은 도리어 잘 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燈: 등불 臺: 不: 아닌가 自: 스스로 照: 비출

  • 龍蛇飛騰(용사비등) : (1)‘용사비등’의 북한어. (2)용이 살아 움직이는 것같이 아주 활기 있는 필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蛇: 飛: 騰: 오를

  • 當局者迷(당국자미) : 일을 담당한 사람이 미혹된다는 뜻으로, 방관자(傍觀者)보다 직접 담당자가 사리의 판단에 더 어둡다는 의미. ‘燈下不明(등하불명)’의 비유적 표현.
    當: 마땅할 局: 者: 迷: 미혹할

  • 閉門造車(폐문조거) :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閉: 닫을 門: 造: 지을 車: 수레

  • 刁蹬(조등) : 간사한 꾀를 써서 물건의 시세를 오르게 함을 이르는 말. 독수리가 토끼를 쫓아서 그의 힘이 지치기를 기다려 잡는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刁: 바라 蹬: 비틀거릴

  • 得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림을 이르는 말. ≪장자≫의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말이다.
    得: 얻을 魚: 고기 忘: 잊을 筌: 통발

  • 萬里前程(만리전정) : 만 리까지 펼쳐진 앞길이라는 뜻으로, 젊은이의 희망이 가득 찬 앞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萬: 일만 里: 마을 前: 程:

  • 蘭芷漸滫(난지점수) : 난초(蘭草)와 구릿대, 즉 향초(香草)를 오줌에 담근다는 뜻으로, 착한 사람이 나쁜 것에 물듦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芷: 구리때 漸: 점점 滫: 뜨물

  • 天覆地載(천부지재) : 하늘이 덮고 땅은 싣는다는 뜻으로, 천지(天地)의 큰 사랑을 이르는 말.
    天: 하늘 覆: 덮을 地: 載: 실을

  • 臨陣易將(임진역장) : 전쟁터에서 장수를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에 알맞은 자격을 지닌 사람을 쓰지 아니하고 자격을 지니지 못한 사람을 씀을 이르는 말.
    陣: 진칠 易: 바꿀 將: 장수

  • 絶弦(절현) : 절현(絶絃). (1) (현악기(絃樂器)의)줄을 끊음, 또는 그 끊어진 줄 (2) (중국(中國)에서 금(琴)의 명수 백아(伯牙)가 자기(自己) 금의 소리를 알아 준 종자기(鍾子期)가 죽은 후(後)에는 줄을 끊고 그 후(後) 다시는 타지 않았다는 옛일에서 나온 말)자기(自己)의 속마음을 알뜰하게 알아 주던 친구(親舊)가 죽음의 비유(比喩).
    絶: 끊을 弦: 활시위

  •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 : 닭을 가르는 데에 소잡는 큰 칼을 쓸 필요(必要)까지는 없다는 뜻으로, 조그만 일을 처리(處理)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手段)을 쓸 필요(必要)는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割: 나눌 鷄: 焉: 어찌 用: 牛: 刀:

  • 麤枝大葉(추지대엽) : 거친 가지와 큰 잎이라는 뜻으로, 굵고 거친 나뭇가지와 큰 잎사귀처럼 문장(文章) 옹졸하거나 자잘하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쓰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麤: 거칠 枝: 가지 大: 葉:

  • 旭日昇天(욱일승천) : 아침 해가 하늘에 떠오름. 또는 그런 기세.
    旭: 아침 해 日: 昇: 오를 天: 하늘

  • 失馬治廐(실마치구) : 말을 잃고 외양간을 고친다는 뜻으로, 실패한 뒤에 늦게 손을 대는 것을 비유들어 이르는 말.
    失: 잃을 馬: 治: 다스릴 廐: 마굿간

  • 三頭六臂(삼두육비) : 머리가 셋, 팔이 여섯이라는 뜻으로, 힘이 엄청나게 센 사람을 이르는 말.
    三: 頭: 머리 臂:

  • 落穽下石(낙정하석) : 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을 도와주기는커녕 도리어 괴롭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穽: 허방다리 下: 아래 石:

  • 傷弓之鳥(상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傷: 다칠 弓: 之: 鳥:

  • 四時長春(사시장춘) : (1)어느 때나 늘 봄과 같음. (2)늘 잘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四: 時: 長: 春:

  • 鷄鶩爭食(계목쟁식) :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鶩: 집오리 爭: 다툴 食:

  • 黃河千年一淸(황하천년일청) : 황하(黃河)가 천년에 한번쯤 맑아질는지도 모르겠다는 뜻으로, (1) 성인(聖人)의 탄생(誕生)이 이처럼 어려움 (2) 이루어지기 힘든 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黃: 누를 河: 강 이름 千: 일천 年: 一: 淸: 맑을

  • 小隙沈舟(소극침주) : 조그만 틈으로 물이 새어 들어 배가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게을리하면 큰 재앙이 닥치게 됨을 이르는 말.
    小: 작을 隙: 沈: 잠길 舟:

  • 積土成山(적토성산)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積: 쌓을 土: 成: 이룰 山:

  • 靑雲之志(청운지지) : 높은 지위에 오르고자 하는 욕망.
    靑: 푸를 雲: 구름 之: 志:

  • 山底貴杵(산저귀저)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山: 底: 貴: 귀할 杵: 공이

  • 陸地行船(육지행선) : 육지에서 배를 저으려 한다는 뜻으로, 안되는 일을 억지로 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地: 行: 船:

  • 梟愛其子(효애기자) : 올빼미는 그 새끼를 사랑한다는 뜻인데, 올빼미 새끼는 자란 후에 그 어미를 잡아먹는 데서, 은혜를 원수로 갚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梟: 올빼미 愛: 사랑 其: 子: 아들

  • 主聖臣直(주성신직) : 임금이 성군이면 신하도 곧다는 뜻으로, 임금이 어질고 바르면 신하도 바르게 되는 것처럼, 위에서 행하는 바를 아래에서 이를 본보기 삼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主: 주인 聖: 성스러울 臣: 신하 直: 곧을

  • 射幸數跌(사행삭질)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射: 幸: 다행할 數: 자주 跌: 넘어질

  • 狐濡尾(호유미) :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狐: 여우 濡: 젖을 尾: 꼬리

  • 消魂斷腸(소혼단장) : 근심과 슬픔으로 넋이 빠지고 창자가 끊어지는 듯함.
    消: 사라질 魂: 斷: 끊을 腸: 창자

  • 傲霜孤節(오상고절) : 서릿발이 심한 속에서도 굴하지 아니하고 외로이 지키는 절개라는 뜻으로, ‘국화’를 이르는 말.
    傲: 거만할 霜: 서리 孤: 외로울 節: 마디

  • 快刀亂麻(쾌도난마) : 잘 드는 칼로 마구 헝클어진 삼 가닥을 자른다는 뜻으로, 어지럽게 뒤얽힌 사물을 강력한 힘으로 명쾌하게 처리함을 이르는 말.
    快: 쾌할 刀: 麻:

  • 判官使令(판관사령) : 감영이나 유수영의 판관에 딸린 사령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하라는 대로 잘 따르는 남자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判: 뻐갤 官: 벼슬 使: 부릴 令: 하여금

  • 螳螂在後(당랑재후) :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螳: 버마재비 螂: 버마재비 在: 있을 後:

  • 浮雲驚龍(부운경룡) : 떠다니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필세(筆勢)가 매우 자유분방(自由奔放)함을 비유하는 말.
    浮: 雲: 구름 驚: 놀랄 龍:

  • 張冠李戴(장관이대) : 장(張)가의 모자를 이(李)가가 썼다는 뜻으로, 이름과 실상이 일치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張: 베풀 冠: 戴:

  • 蹄涔(제잠) : 소나 말의 발자국 속에 조금 괴어 있는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적은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蹄: 涔: 괸물

  • 北轅適楚(북원적초) : 나릇을 북쪽으로 향(向)하게 해 놓고 남쪽인 초(楚)나라로 가려 한다는 뜻으로, 의도(意圖)하는 바와 행(行)하는 바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北: 북녘 轅: 끌채 適: 楚: 모형

  • 足重目仄(족중목측) : 발은 겹쳐지고 눈은 곁눈질한다는 뜻으로, 남의 위세에 눌려 두려워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
    足: 重: 무거울 目: 仄: 기울

  • 表裏山河(표리산하) : 밖에는 강이 있고 안에는 산이 있다는 뜻으로 견고한 요새(要塞)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表: 裏: 山: 河: 강 이름

  • 夢中夢(몽중몽) : 꿈속의 꿈이란 뜻으로, 이 세상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夢:

  • 越津乘船(월진승선) : 나루를 건너고 나서 배를 탄다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하지 않고 거꾸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越: 넘을 津: 나루 乘: 船:

  • 戰戰兢兢(전전긍긍) :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함. ≪시경≫의 <소민편(小旻篇)>에서 나온 말이다.
    戰: 싸움 戰: 싸움 兢: 삼갈 兢: 삼갈

  • 湯池鐵城(탕지철성) : 끓는 물이 괴어 있는 해자(垓字)와 쇠로 만든 성이라는 뜻으로, 아주 견고하게 방비하고 있는 성(城)을 이르는 말.
    湯: 끓일 池: 鐵: 城:

  • 正出之日(정출지일) : 바로 뜨는 태양이라는 뜻으로, 때마침 돋는 태양처럼 기세가 더욱 성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 正出].
    正: 바를 出: 之: 日:

  • 木石(목석) :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 逆鱗(역린) : 임금의 노여움을 이르는 말. 용의 턱 아래에 거꾸로 난 비늘을 건드리면 용이 크게 노하여 건드린 사람을 죽인다고 한다. ≪한비자≫의 <세난편(說難編)>에서 유래한다.
    逆: 거스를 鱗: 비늘

  • 媒蘖(매얼) : 매(媒)는 술밑이요, 얼(蘖)은 누룩이니 술밑과 누룩이 어울려서 술이 된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事物)이 어울려서 이루어짐의 비유(比喩).
    媒: 중매 蘖: 그루터기

  • 臥龍鳳雛(와룡봉추) : 누워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영웅(英雄)이 아직 세상에 나타나지 않고 숨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伏龍鳳雛(복룡봉추)].
    臥: 누울 龍: 鳳: 봉새 雛: 병아리

  • 兩雄相爭(양웅상쟁) : 용과 범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雄: 수컷 相: 서로 爭: 다툴

  • 乾星照濕土(건성조습토)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땅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乾: 마를 星: 照: 비출 濕: 축축할 土:

  • 埳中之蛙(감중지와) : 우물 안의 개구리라는 뜻에서, 식견(識見)이 좁은 사람의 비유(比喩).
    埳: 구덩이 中: 가운데 之: 蛙: 개구리

  • 豆萁之喩(두기지유) : 콩과 콩까지의 비유라는 뜻으로, 콩까지를 태워 콩을 볶는 것에 비유 들어 형제가 서로 해침을 이르는 말.
    豆: 萁: 콩깍지 之: 喩: 깨우칠

  • 蜂蝶隨香(봉접수향) : 벌과 나비가 향기를 따른다는 뜻으로, 남자가 여자의 아름다움을 따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
    蜂: 蝶: 나비 隨: 따를 香: 향기

  • 肉腐出蟲(육부출충) : 고기가 썩어 벌레가 나온다는 뜻으로, 근본이 무너진 뒤에 화난(禍難)이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肉: 고기 腐: 썩을 出: 蟲: 벌레

  • 狗尾續貂(구미속초) : (1)담비 꼬리가 모자라 개의 꼬리로 잇는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부로 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훌륭한 것 뒤에 보잘것없는 것이 뒤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狗: 尾: 꼬리 續: 이을 貂: 담비

  • 石心鐵腸(석심철장) : 돌 심장과 쇠 창자라는 뜻으로, 단단한 돌 같은 마음과 쇠 같은 창자처럼 지조가 굳음을 비유하는 말.
    石: 心: 마음 鐵: 腸: 창자

  • 空念佛(공염불) : (1)신심(信心)이 없이 입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空: 佛: 부처

  • 網之一目(망지일목) : 그물의 한 코라는 뜻으로, 한 눈 짜리를 그물을 만들어서는 새를 잡을 수 없는 것처럼 단독으로는 소용이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網: 그물 之: 一: 目:

  • 破竹之勢(파죽지세) : 대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두예전(杜預傳)>에서 나온 말이다.
    破: 깨뜨릴 竹: 之: 勢: 기세

  • 舟非水不行(주비수불행) : 배는 물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임금은 백성이 없으면 임금이 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舟: 非: 아닐 水: 不: 아니 行:

  • 鐵樹開花(철수개화) : 아무리 기다려도 소용(所用)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鐵: 樹: 나무 開: 花:

  • 天日照臨(천일조림) : (1)하늘과 해가 내려다본다는 뜻으로, 속일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2)임금이 잘 살펴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日: 照: 비출 臨: 임할

  • 干戚(간척) : (1)방패와 도끼라는 뜻으로, 전쟁에 쓰는 병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간척무를 출 때 손에 잡는 무구(舞具). 간은 왼손의 방패를, 척은 오른손의 도끼를 이른다.
    干: 방패 戚: 겨레

  • 千里比隣(천리비린) : 천리 거리도 이웃에 비견한다는 뜻으로, 천리의 먼 길도 이웃같이 생각되는 것처럼 교통이 매우 편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千: 일천 里: 마을 比: 견줄 隣: 이웃

  • 露尾藏頭(노미장두) : 꼬리는 드러낸 채 머리만 숨긴다는 뜻으로, 잘못을 숨기려 해도 결국 드러나게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尾: 꼬리 藏: 감출 頭: 머리

  • 泡幻(포환) : 물거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허무함을 이르는 말.
    泡: 거품 幻: 변할

  • 休戚相關(휴척상관) : 기쁨과 슬픔이 서로 관계한다는 뜻으로, 서로의 관계가 밀접하여 이해(利害)가 일치되거나 고락(苦樂)을 함께 나누는 사이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休戚與共 (휴척여공)].
    休: 戚: 겨레 相: 서로 關: 빗장

  • 白壁微瑕(백벽미하) : 흰 옥에도 흠이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缺點)이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白: 壁: 微: 작을 瑕:

  • 網漏呑舟(망루탄주) : 그물이 새면 배도 그 사이로 지나갈 수 있다는 뜻으로, 법령(法令)이 관대(寬大)하여 큰 죄(罪)를 짓고도 피할 수 있게 됨을 비유(比喩).
    網: 그물 漏: 呑: 삼킬 舟:

  • 蓬頭歷齒(봉두역치) : 쑥대강이같이 헙수룩하게 흐트러진 머리털에 성긴 이라는 뜻으로, 노인의 용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蓬: 頭: 머리 齒:

  • 風雲魚水(풍운어수) : 바람ㆍ구름ㆍ고기ㆍ물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의 친밀한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風: 바람 雲: 구름 魚: 고기 水:

  • 吠日之怪(폐일지괴) : 해를 보고 짖는 괴이함이라는 뜻으로, 비 오는 날이 많은 蜀(촉) 땅의 개가 해가 뜨면 괴이하게 여겨 짖는 것에서 신기한 것을 보고 놀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吠: 짖을 日: 之: 怪: 기이할

  • 拔地倚天(발지의천) : 땅에서 빼어나 하늘에 닿았다는 뜻으로, 시문(詩文) 등이 뛰어나고 웅대함을 비유하는 말.
    拔: 地: 倚: 의지할 天: 하늘

  • 爲虎傅翼(위호부익) : 호랑이에게 날개를 붙여준다는 뜻으로, 위세(威勢) 있는 악인(惡人)에게 힘을 더해주어 더욱 맹위(猛威)를 떨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爲: 虎: 傅: 스승 翼: 날개

  • 味如嚼蠟(미여작랍) : 맛이 양초를 먹는 것 같다는 뜻으로, 양초를 씹은 듯 아무런 맛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
    味: 如: 같을 嚼: 씹을 蠟:

  • 覆舟之下無伯(夷복주지하무백) : 뒤집힌 배 밑에는 백이(伯夷)와 같은 현인(賢人)은 없다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위험(危險)을 가까이 하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非僧非俗(비승비속) :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함을 이르는 말.
    非: 아닐 僧: 非: 아닐 俗: 풍속

1 2 4 5 6
#어려움 105 #의미 1817 #사람 1461 #경계 56 #사용 312 #머리 141 #임금 189 #사이 200 #조금 96 #부부 76 #관계 90 #아내 81 #가운데 104 #경우 64 #고사 108 #자신 208 #사물 172 #구름 67 #형제 68 #속담 63 #세상 339 #백성 105 #방법 59 #훌륭 85 #재능 61 #마음 496 #잘못 93 #세월 71 #자리 94 #나이 9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48개) : 바아, 바안, 바알, 바앙, 바애, 바얀, 바양, 바얘, 바에, 바오, 바올, 바옷, 바우, 바울, 바워, 바웨, 바위, 바유, 바을, 바이, 바일, 박아, 박악, 박안, 박암, 박애, 박액, 박야, 박약, 박연, 박열, 박염, 박엽, 박영, 박옥, 박외, 박용, 박우, 박운, 박위, 박유, 박은, 박음, 박읍, 박의, 박이, 박인, 밖에, 반아, 반악, 반암, 반애, 반액, 반야, 반약, 반양, 반어, 반역, 반연, 반열, 반염, 반엽, 반영, 반오, 반옥, 반와, 반완, 반외, 반요, 반우, 반운, 반움, 반원, 반월, 반위, 반유, 반음, 반응, 반의, 반이, 반인, 반일, 반입, 받이, 발아, 발악, 발안, 발암, 발앙, 발양, 발어, 발언, 발여, 발연, 발열, 발염, 발왕, 발외, 발욕, 발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