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에 관한 한자 모두 312

  • 用錢如水 획순 用錢如水(용전여수) : 돈을 물처럼 흔하게 씀.
    用: 錢: 如: 같을 水:

  • 負薪之憂 획순 負薪之憂(부신지우) :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負: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晝夜長川 획순 晝夜長川(주야장천) : 밤낮으로 쉬지 아니하고 연달아.
    晝: 夜: 長: 川:

  • 說長道短 획순 說長道短(설장도단) : 장점을 말하고 단점을 말한다는 뜻으로, 이러니저러니 비평함으로 사용되는데, 본래의 원말은 다음과 같다.
    說: 말씀 長: 道: 短: 짧을

  • 寤寐不忘 획순 寤寐不忘(오매불망) : (1)자나 깨나 잊지 못함. (2)자나 깨나 잊지 못하여.
    寤: 寐: 잠잘 不: 아니 忘: 잊을

  • 手下親兵(수하친병) : (1)자기에게 직접 딸린 병졸. (2)자기의 손발처럼 가까이 두고 쓰는 부하.
    手: 下: 아래 親: 친할 兵: 군사

  • 六尺之孤(육척지고) : (1)15세 정도의 고아. 일 척은 두 살 반에 해당한다. (2)나이가 젊은 후계자.
    尺: 之: 孤: 외로울

  • 取其所長(취기소장) : 그 장점을 취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장점을 취하여 자기의 것으로 한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가진 바의 장점을 골라서 쓴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取: 취할 其: 所: 長:

  • 依草附木(의초부목) :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는다는 뜻으로, 초목에 의지하는 것처럼 남에게 의뢰함을 이르거나, 불가(佛家)에서 사후(死後)에 다음 생(生)을 받지 못한 중간에 영혼이 초목의 그늘에 머물고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依: 의지할 草: 附: 붙을 木: 나무

  • 鳳鳴朝陽(봉명조양) :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鳳: 봉새 鳴: 朝: 아침 陽:

  • 鴛鴦之契(원앙지계) : 금실이 좋은 부부의 사이.
    鴛: 원앙 鴦: 원앙 之: 契: 맺을

  • 淺見薄識(천견박식) : 얕은 견문과 좁은 지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淺: 얕을 見: 薄: 엷을 識:

  • 道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외저설좌상편(外儲說左上篇)>에 나오는 말이다.
    道: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言外之意(언외지의) : 말에 나타난 뜻 이외의 숨어 있는 뜻.
    言: 말씀 外: 바깥 之: 意:

  • 金字塔(금자탑) : (1)‘金’ 자 모양의 탑이라는 뜻으로, 피라미드를 이르던 말. (2)길이 후세에 남을 뛰어난 업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金: 字: 글자 塔:

  • 堯舜時代(요순시대) : 요임금과 순임금이 덕으로 천하를 다스리던 태평한 시대. 치세(治世)의 모범으로 삼는다.
    堯: 요임금 舜: 순임금 時: 代: 대신

  • 寡德之人(과덕지인) :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寡: 적을 德: 之: 人: 사람

  • 喪家之狗(상가지구) :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
    喪: 복입을 家: 之: 狗:

  • 先病者醫(선병자의) : 먼저 병을 앓아 본 사람이 의원이라는 뜻으로, 먼저 경험을 해 본 사람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先: 먼저 病: 者: 醫: 의원

  • 痴人說夢(치인설몽) : 어리석은 사람이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허망한 말을 늘어놓는다는 뜻이나, 설명이 요령부득(要領不得)이라는 의미로 사용됨.
    痴: 어리석을 人: 사람 說: 말씀 夢:

  • 賢賢易色(현현역색) : 어진이를 어진이로 대하기를 여색을 좋아하듯 한다는 뜻으로, 평소 낯빛을 고쳐 삼가 현인을 공경한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부부사이에 마음씨 착함을 중히 여기고 용모에 치중하지 않는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賢: 어질 賢: 어질 易: 바꿀 色:

  • 十盲一杖(십맹일장) : 열 맹인(盲人)에 한 개의 지팡이라는 뜻으로, 여러 곳에 긴요하게 쓰이는 물건을 이르는 말.
    十: 盲: 소경 一: 杖: 지팡이

  • 暮鼓晨鐘(모고신종) : 저녁의 북과 새벽의 종이라는 뜻으로, 절에서 조석(朝夕)으로 북과 종을 쳐서 시각을 알린다는 의미인데, 현대에 와서는 미묘한 말로 남을 깨우쳐 주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
    暮: 저물 鼓: 晨: 새벽 鐘:

  • 得隴望蜀(득롱망촉)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得: 얻을 隴: 고개 이름 望: 바랄 蜀: 나라 이름

  • 華胥之夢(화서지몽) : 낮잠 또는 좋은 꿈을 이르는 말. ≪열자≫의 <황제편(黃帝篇)>에 나오는 말로, 고대 중국의 황제가 낮잠을 자다 꿈을 꾸었는데 화서라는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어진 정치를 보고 깨어나 깊이 깨달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華: 빛날 胥: 서로 之: 夢:

  • 弱肉强食(약육강식) : 약자의 살은 강자의 먹이가 된다는 뜻으로,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침해하거나, 폭력이 난무하고 무질서한 상황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됨.
    弱: 약할 肉: 고기 强: 굳셀 食:

  • 爬羅剔抉(파라척결) : (1)손톱으로 긁거나 후벼 모조리 파냄. (2)숨은 인재를 찾아냄. (3)남의 흠을 들추어냄.
    爬: 긁을 羅: 그물 剔: 바를 抉: 도려낼

  • 南田北畓(남전북답) : 밭은 남쪽에 논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南: 남녘 田: 北: 북녘 畓:

  • 下山之勢(하산지세) : 어찌할 도리가 없어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 둘 수밖에 없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下: 아래 山: 之: 勢: 기세

  • 狐裘而羔袖(호구이고수) : 여우 갖옷에 양 소매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우 갖옷에 양 새끼의 가죽으로 소매를 달면 보기 흉한 것처럼, 대체로 좋으나 작은 부분이 조금 있을 때 사용하는 말.
    狐: 여우 裘: 갖옷 而: 말 이을 羔: 새끼양 袖: 소매

  • 千篇一律(천편일률) : (1)여러 시문의 격조(格調)가 모두 비슷하여 개별적 특성이 없음. (2)여럿이 개별적 특성이 없이 모두 엇비슷한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千: 일천 篇: 一: 律:

  • 永字八法(영자팔법) : 서예에서, ‘永’ 자 한 글자로써 모든 한자에 공통되는 여덟 가지 쓰기를 보이는 법. 중국 한(漢)나라의 채옹이 고안하였다고 전한다.
    永: 字: 글자 八: 여덟 法:

  • 月露風雲(월로풍운) : 달, 이슬, 바람, 구름이라는 뜻으로, 시문을 짓는 것이 月露風雲을 형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무용무익(無用無益)한 문사(文辭)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月: 露: 이슬 風: 바람 雲: 구름

  • 鷄卵有骨(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鷄: 卵: 有: 있을 骨:

  • 千枝萬葉(천지만엽) : (1)무성한 식물의 가지와 잎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일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어수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千: 일천 枝: 가지 萬: 일만 葉:

  • 安貧樂道(안빈낙도)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
    安: 편안할 貧: 가난할 道:

  • 不俱戴天(불구대천) : 하늘을 함께 이지 못하는 원수라는 뜻으로, 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진 원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不: 아니 俱: 함께 戴: 天: 하늘

  • 無事泰平(무사태평) : 일이 없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아무 탈이 없이 편안하다는 의미거나, 어떤 일에도 개의하지 않고 마음이 태평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無: 없을 事: 泰: 平: 평평할

  • 弘益人間(홍익인간)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 단군의 건국 이념으로서 우리나라 정치, 교육, 문화의 최고 이념이다. ≪삼국유사≫ 고조선 건국 신화에 나온다.
    弘: 益: 더할 人: 사람 間:

  • 兩手執餠(양수집병) : (1)‘양수집병’의 북한어. (2)두 손에 떡을 쥐고 있다는 뜻으로, 두 가지 일이 똑같이 있어서 무엇부터 하여야 할지 모르는 경우를 이르는 말.
    手: 執: 잡을 餠:

  • 家給人足(가급인족) : 집집마다 먹고사는 것에 부족함이 없이 넉넉함.
    家: 給: 넉넉할 人: 사람 足:

  • 男女有別(남녀유별) : 유교 사상에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男: 사내 女: 여자 有: 있을 別: 나눌

  • 合浦珠還(합포주환) : 합포에 구슬이 돌아왔다는 뜻으로, 지방장관이 선정(善政)을 베풂을 이르거나 잊었던 것을 다시 찾았다는 의미로 사용됨.
    合: 합할 浦: 珠: 구슬 還: 돌아올

  • 附會(부회) : 작품을 조직하는 원리.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창작론(創作論)에 해당하는 제43장의 제목이다. 말을 하나로 모으고 뜻과 이치를 통하게 한다는 뜻을 지니는 ‘부사회의(附辭會義)’의 준말이다. 문학 작품에 깃든 언어와 사고를 폭넓게 이해할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이 장에서 유협은 작품이 예술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서술하였다.
    附: 붙을 會: 모일

  • 匠石運斤(장석운근) : 장석이 도끼를 사용한다는 뜻으로, 고대 전설적 명공(名工)인 장석(匠石)이 자귀를 휘둘러 물건을 만드는데 조금의 착오도 없었다는 데서 ‘기예(技藝)가 오묘한 경지’에 이름을 이르는 말.
    匠: 장인 石: 運: 斤: 도끼

  • 登高自卑(등고자비) : (1)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오른다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2)지위가 높아질수록 자신을 낮춤을 이르는 말.
    登: 오를 高: 높을 自: 스스로 卑: 낮을

  • 斗酒不辭(두주불사) : 말술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술을 매우 잘 마심을 이르는 말.
    斗: 酒: 不: 아니 辭: 말씀

  • 天方地軸(천방지축) : (1)못난 사람이 종작없이 덤벙이는 일. (2)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뜀. (3)못난 사람이 종작없이 덤벙이는 모양. (4)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天: 하늘 方: 地: 軸: 굴대

  • 言語道斷(언어도단) :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語: 말씀 道: 斷: 끊을

  • 寶學之人(보학지인) :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寶: 보배 學: 배울 之: 人: 사람

  • 朝雲暮雨(조운모우) :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비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朝: 아침 雲: 구름 暮: 저물 雨:

  • 落花難上枝(낙화난상지) : 한번 진 꽃은 다시 피기 어렵다는 뜻으로, 한번 저지른 일은 다시 돌이킬 수 없음을 이르는 말.
    花: 難: 어려울 上: 枝: 가지

  • 色難(색난) : (1)자식이 늘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부모를 섬기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2)자식이 부모의 얼굴빛을 보고 그 뜻에 맞게 봉양하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色: 難: 어려울

  • 天香國色(천향국색) : (1)천하에서 제일가는 향기와 빛깔이라는 뜻으로, ‘모란꽃’을 달리 이르는 말. (2)가장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香: 향기 國: 나라 色:

  • 張三李四(장삼이사) : (1)장씨(張氏)의 셋째 아들과 이씨(李氏)의 넷째 아들이라는 뜻으로, 이름이나 신분이 특별하지 아니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2)사람에게 성리(性理)가 있는 줄은 아나, 그 모양이나 이름을 지어 말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張: 베풀 三: 四:

  • 巫山之夢(무산지몽) :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夢:

  • 馬耳東風(마이동풍) : 동풍이 말의 귀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지나쳐 흘려버림을 이르는 말.
    馬: 耳: 東: 동녘 風: 바람

  • 毫毛斧柯(호모부가) : (1)어린싹을 뽑아 버리지 않으면 마침내 큰 나무가 된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은 크기 전에 없애야 함을 이르는 말. (2)나쁜 버릇은 어릴 때 고쳐야 함을 이르는 말.
    毫: 가는 털 毛: 斧: 도끼 柯: 가지

  • 壓卷(압권) : (1)여러 책이나 작품 가운데 제일 잘된 책이나 작품. 고대 중국의 관리 등용 시험에서 가장 뛰어난 답안지를 다른 답안지 위에 얹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하나의 책이나 작품 가운데 가장 잘된 부분. (3)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壓: 누를 卷:

  • 雲開見日(운개견일) : 구름이 열려 해를 보게된다는 뜻으로, 오랫동안 막히고 갇혔던 것이 비로소 열리어 통하는 의미나, 의문 또는 불안하던 것이 해소되거나 불화(不和)한 사이가 화해를 하게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雲: 구름 開: 見: 日:

  • 胡蝶之夢(호접지몽) :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서 나온 말이다.
    胡: 오랑캐 蝶: 나비 之: 夢:

  • 寡不敵衆(과부적중) : (1)‘과부적중’의 북한어. (2)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
    寡: 적을 不: 아닌가 敵: 원수 衆: 무리

  • 將計就計(장계취계) : 상대편의 계교를 미리 알아채고 그것을 역이용함. 또는 그 계교.
    將: 장수 計: 就: 이룰 計:

  • 無腸公子(무장공자) : (1)기개나 담력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창자가 없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게’를 이르는 말.
    無: 없을 腸: 창자 公: 공변될 子: 아들

  • 乞人憐天(걸인연천) :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불행한 처지에 놓여 있는 사람이 부질없이 행복한 사람을 동정함을 이르는 말.
    乞: 人: 사람 天: 하늘

  • 東西不辨(동서불변) : 동쪽과 서쪽을 가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물이나 사물의 현상을 분별할 수 없을 정도로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東: 동녘 西: 서녘 不: 아니 辨: 분별할

  • 花鳥風月(화조풍월) : (1)꽃과 새와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천지간의 아름다운 경치를 이르는 말. (2)멋스럽고 풍치가 있는 일. 또는 그렇게 노는 일.
    花: 鳥: 風: 바람 月:

  • 斷末魔(단말마) : '죽음의 구멍'이란 뜻의 사혈(四穴)의 범어 '末魔'를 끊는다는 뜻으로, 죽음이나 죽을 때의 의미에서 현재는 '사람이 죽을 때 마지막으로 지르는 비명'의 의미로 사용됨.
    斷: 끊을 末: 魔: 마귀

  • 暗中摸索(암중모색) :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확실한 방법을 모르는 채 짐작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3)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일의 실마리나 해결책을 찾아내려 함.
    暗: 어두울 中: 가운데 摸: 찾을 索: 찾을

  • 蜀犬吠日(촉견폐일) : 식견이 좁은 사람이 현인(賢人)의 언행을 의심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는 산이 높고 안개가 항상 짙어 해가 보이는 날이 드물기 때문에 개들이 해를 보면 이상히 여겨 짖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蜀: 나라 이름 犬: 吠: 짖을 日:

  • 南大門入納(남대문입납) : (1)주소를 알 수 없는 편지 또는 주소나 이름을 모르고 집을 찾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줄거리나 골자를 알 수 없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大: 門: 入: 納: 들일

  • 秋風落葉(추풍낙엽) : (1)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 (2)어떤 형세나 세력이 갑자기 기울어지거나 헤어져 흩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風: 바람 葉:

  • 抛塼引玉(포전인옥) : 병법에서, 좋아 보이거나 비슷해 보이는 미끼를 유인책으로 먼저 제시한 뒤에 여기에 속은 어리석은 적을 쳐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작전이나 전술을 이르는 말.
    抛: 던질 塼: 벽돌 引: 당길 玉: 구슬

  • 雲龍風虎(운룡풍호) :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오르는 용과 바람을 타고 달리는 범이라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거나 성주(聖主)가 현명한 신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雲: 구름 龍: 風: 바람 虎:

  • 從心所欲(종심소욕) : 마음에 하고 싶은 대로 좇아서 함. ≪논어≫의 <위정(爲政)> 편에 나오는 말이다.
    從: 좇을 心: 마음 所: 欲: 하고자 할

  • 萬折必東(만절필동) : 황허는 아무리 굽이가 많아도 반드시 동쪽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折: 꺾을 必: 반드시 東: 동녘

  • 破麥剖梨(파맥부리) : 보리를 찧고 배를 가른다는 뜻으로, 보리를 찧으면 기울(麩(부):속껄질)이 생기고 배를 쪼개면 씨(종자(種子))가 나오는 것처럼 부(麩)와 부(夫), 종(種)과 子(자)를 연결하여 잃거나 헤어졌던 남편과 자식을 다시 만나는 일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破: 깨뜨릴 麥: 보리 剖: 쪼갤 梨: 배나무

  • 九十春光(구십춘광) : (1)봄의 석 달 동안. (2)석 달 동안의 화창한 봄 날씨.
    九: 아홉 十: 春: 光:

  • 炊玉焚桂(취옥분계) : 옥을 불때고 계수나무를 불사른다는 뜻으로, 물가(物價)가 매우 비쌈을 비유하거나, 물건이 매우 귀중함의 비유로 사용하는 말.
    炊: 불땔 玉: 구슬 焚: 불사를 桂: 계수나무

  • 走馬燈(주마등) : (1)등(燈)의 하나. 등 한가운데에 가는 대오리를 세우고 대 끝에 두꺼운 종이로 만든 바퀴를 붙이고 종이로 만든 네 개의 말 형상을 달아서 촛불로 데워진 공기의 힘으로 종이 바퀴에 의하여 돌게 되어 있다. (2)무엇이 언뜻언뜻 빨리 지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走: 달릴 馬: 燈: 등불

  • 空中樓閣(공중누각) : 공중에 떠 있는 누각이라는 뜻으로, 아무런 근거나 토대가 없는 사물이나 생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空: 中: 가운데 閣: 문설주

  • 平地風波(평지풍파) : 평온한 자리에서 일어나는 풍파라는 뜻으로, 뜻밖에 분쟁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의 시인 유우석(劉禹錫)의 <죽지사(竹枝詞)>에 나오는 말이다.
    平: 평평할 地: 風: 바람 波: 물결

  • 空山明月(공산명월) : (1)사람 없는 빈산에 외로이 비치는 밝은 달. (2)‘대머리’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空: 山: 明: 밝을 月:

  • 耳順之年(이순지년) : 귀가 순해지는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가 나이 60이 되어서 천지 만물의 이치를 통달하고, 듣는 대로 모두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나이 60세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됨. [= 耳順(이순)] <論語(논어>.
    耳: 順: 순할 之: 年:

  • 自繩自縛(자승자박) : (1)제 마음으로 번뇌를 일으켜 괴로움을 만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자기의 줄로 자기 몸을 옭아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自: 스스로 繩: 노끈 自: 스스로 縛: 묶을

  • 四海爲家(사해위가) : 온 세상이 집이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제 집안으로 만든다는 의미로는 제업(帝業)의 광대함을 이르고, 온나라 어느 곳에도 집이 있다는 의미로는 떠돌아다니며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四: 海: 바다 爲: 家:

  • 山中白雲(산중백운) : 산 속의 흰 구름이라는 뜻으로, 山中의 白雲은 내 마음을 기쁘게 해 주지만 선물로 당신에게 줄 수 없다는 의미에서 방문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의미로 사용됨.
    山: 中: 가운데 白: 雲: 구름

  • 以肉委餓虎(이육위아호) : 고기를 굶주린 호랑이에게 맡긴다는 뜻으로, 고양이에 생선가게 맡기는 격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아무 가치 없는 개죽음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됨.
    以: 肉: 고기 委: 맡길 餓: 주릴 虎:

  • 活剝生呑(활박생탄) : 산 채로 껍질을 벗기고 산 채로 삼킨다는 뜻으로, 남의 시문을 그대로 따서 자기 작품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活: 剝: 벗길 生: 呑: 삼킬

  • 時和年豊(시화연풍) : 때가 화하여 해가 풍요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풍년이 든다는 의미. 보통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입춘첩(立春帖)으로 많이 사용됨.[= 時和歲豊].
    時: 和: 고를 豊: 풍년

  • 壺中天地(호중천지) :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壺: 中: 가운데 天: 하늘 地:

  • 土階茅茨(토계모자) : 흙 계단과 띠 지붕이라는 뜻으로, 흙으로 만든 계단이나 띠로 엮어 만든 엉성한 지붕을 사용한 집처럼 아주 질박하고 소박한 모양을 이르는 말. 요(堯)임금의 소박한 거처에서 유래한 말.
    土: 階: 섬돌 茅: 茨: 가시나무

  • 象牙塔(상아탑) :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象: 코끼리 牙: 어금니 塔:

  • 幾何級數(기하급수) : (1)서로 이웃하는 항의 비(比)가 일정한 급수. 예를 들어 1+2+4+8+16+……, a+ar+ar²+…… 따위를 이른다. (2)증가하는 수나 양이 아주 많음을 이르는 말.
    幾: 기미 何: 어찌 級: 등급 數:

  • 未亡人(미망인) : 남편을 여읜 여자. ≪춘추좌씨전≫의 <장공편(莊公篇)>에 나오는 말이다.
    未: 아닐 亡: 잃을 人: 사람

  • 矮子看戱(왜자간희) : 난쟁이가 연극을 본다는 뜻으로, 난쟁이가 키 큰 사람 뒤에서 연극을 관람하는 것처럼 앞사람의 비평에 덩달아 비평하듯이 식견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矮: 키 작을 子: 아들 看: 戱:

  • 換骨奪胎(환골탈태) : (1)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2)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惠洪)의 <냉재야화(冷齋夜話)>에 나오는 말이다.
    換: 바꿀 骨: 奪: 빼앗을 胎: 아이밸

  • 靑天白日(청천백일) : (1)혐의나 원죄(冤罪)가 풀리어 무죄가 됨. (2)하늘이 맑게 갠 대낮. (3)맑은 하늘에 뜬 해.
    靑: 푸를 天: 하늘 白: 日:

  • 齒亡舌存(치망설존) : 단단한 이는 빠져도 부드러운 혀는 남는다는 뜻으로, 강한 자가 먼저 망하고 유한 자가 나중까지 남음을 이르는 말.
    齒: 亡: 잃을 舌: 存: 있을

  • 推己及人(추기급인) :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으로, 자기의 처지에 비추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림을 이르는 말.
    推: 옮을 己: 及: 미칠 人: 사람

1 2 4
#하늘 251 #서로 71 #음식 79 #나라 392 #시대 114 #재능 61 #사이 200 #근심 65 #어머니 72 #군자 56 #자연 73 #때문 58 #목숨 58 #세상 339 #아침 72 #의미 1817 #태도 72 #싸움 61 #신하 62 #편안 62 #사랑 91 #천하 94 #속담 63 #어버이 60 #사람 1461 #무리 64 #재주 82 #조금 96 #관계 90 #상태 11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201개) : 사아, 사악, 사안, 사알, 사암, 사애, 사액, 사앵, 사야, 사약, 사양, 사어, 사언, 사업, 사에, 사여, 사역, 사연, 사열, 사염, 사영, 사예, 사오, 사옥, 사온, 사옵, 사옹, 사와, 사왕, 사왜, 사외, 사요, 사욕, 사용, 사우, 사운, 사울, 사움, 사웅, 사워, 사원, 사월, 사웨, 사위, 사유, 사육, 사윤, 사율, 사은, 사을, 사음, 사읍, 사의, 사이, 사익, 사인, 사일, 사임, 사입, 삭약, 삭여, 삭역, 삭연, 삭엽, 삭요, 삭월, 삭음, 삭인, 삭일, 삭임, 삯일, 산아, 산악, 산안, 산액, 산앵, 산야, 산약, 산양, 산언, 산업, 산역, 산연, 산열, 산염, 산엽, 산영, 산예, 산옹, 산와, 산외, 산요, 산욕, 산용, 산우, 산운, 산울, 산원, 산월, 산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