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91

  • 山中開野 획순 山中開野(산중개야) : 속에 넓게 자리 잡은 편평한 평야.
    山: 中: 가운데 開: 野:

  • 山珍海饌 획순 山珍海饌(산진해찬) : 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珍: 보배 海: 바다 饌: 반찬

  • 登山臨水 획순 登山臨水(등산임수) : 에 오르기도 하고 물에 가기도 함. 곧 명대천의 명승지를 유람한다는 뜻이다.
    登: 오를 山: 水:

  • 揭斧入淵 획순 揭斧入淵(게부입연) : 도끼를 들고 으로 가지 않고 물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짓을 함을 이르는 말.
    揭: 斧: 도끼 入: 淵:

  • 洞深花意懶山疊水聲幽 획순 洞深花意懶山疊水聲幽(동심화의라산첩수성유) : 마을이 깊으니 꽃의 뜻(開花)이 게으르고, 이 쌓이고 쌓이니 물소리가 그윽함.
    洞: 深: 깊을 花: 意: 懶: 게으를 山: 疊: 겹쳐질 水: 聲: 소리 幽: 그윽할

  • 泰山鳴動鼠一匹(태산명동서일필) : 태이 떠나갈 듯 요동쳤으나 뛰어나온 것은 쥐 한 마리뿐이라는 뜻으로, 예고는 거창하게 했으나 결과가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泰: 山: 鳴: 動: 움직일 鼠: 一: 匹:

  • 泰山峻嶺(태산준령) : 큰 과 험한 고개.
    泰: 山: 峻: 높을 嶺:

  • 背山臨水(배산임수) : 뒤로는 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을 바라보고 있는 지형.
    背: 山: 水:

  • 山川萬里(산천만리) : 을 넘고 내를 건너 아주 멂.
    山: 川: 萬: 일만 里: 마을

  • 山高水長(산고수장) : 은 높이 솟고 강은 길게 흐른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나 군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山: 高: 높을 水: 長:

  • 孤峰絶岸(고봉절안) : 우뚝 솟은 과 깎아지른 낭떠러지.
    孤: 외로울 峰: 봉우리 絶: 끊을 岸: 언덕

  • 未成一簣(미성일궤) : 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未: 아닐 成: 이룰 一: 簣: 삼태기

  • 山不厭高(산불염고) : 은 높음을 싫어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덕은 쌓을수록 좋음을 비유하는 말.[魏武帝 <短歌行>].
    山: 不: 아니 厭: 싫어할 高: 높을

  • 南船北馬(남선북마) : 중국의 남쪽은 강이 많아서 배를 이용하고 북쪽은 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南: 남녘 船: 北: 북녘 馬:

  • 肉山脯林(육산포림) : 고기가 을 이루고 포(脯)가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몹시 사치스러운 잔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肉: 고기 山: 脯: 林: 수풀

  • 鳧耕蒼海去鷺割靑山來(부경창해거로할청산래) : 물오리는 푸른 바다를 갈고 가고, 백로는 푸른 을 갈라 옴.
    鳧: 오리 耕: 蒼: 푸를 海: 바다 去: 鷺: 해오라기 割: 나눌 靑: 푸를 山: 來:

  • 煙霞之癖(연하지벽)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煙: 연기 霞: 之: 癖: 버릇

  • 桃梨千機錦江山一畵屛(도리천기금강산일화병) : 복숭아와 배는 일 천 개 베틀의 비단(緋緞)이요, 강과 은 한 폭의 병풍(屛風)임.
    桃: 복숭아나무 梨: 배나무 千: 일천 機: 베틀 錦: 비단 江: 山: 一: 畵: 그림 屛: 병풍

  • 山中歷日(산중역일) : 속에서 한가(閑暇)로이 지내며 자연(自然)을 즐기느라고 세월(歲月)이 가는 줄 모름.
    山: 中: 가운데 日:

  • 名山大川(명산대천) : 이름난 과 큰 내.
    名: 이름 山: 大: 川:

  • 無主空山(무주공산) : (1)임자 없는 빈. (2)인가도 인기척도 전혀 없는 쓸쓸한 곳.
    無: 없을 主: 주인 空: 山:

  • 號令如山(호령여산) : 큰 소리로 꾸짖는 호령이 과 같다는 뜻으로, 호령은 엄중(嚴重)하여 움직일 수 없음을 이르는 말.
    號: 부를 令: 하여금 如: 같을 山:

  • 山村水廓(산촌수곽) : 중에 있는 마을과 물가에 있는 성(城)이나 마을이라는 뜻으로, 시골의 여러 마을을 이르는 말.
    山: 村: 마을 水: 廓: 둘레

  • 天地藏萬物江河束千山(천지장만물강하속천산) : 하늘과 땅은 온갖 물건(物件)을 감추고, 강과 바다는 모든 을 묶음.
    天: 하늘 地: 藏: 감출 萬: 일만 物: 만물 江: 河: 강 이름 束: 묶을 千: 일천 山:

  • 十長生(십장생) :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열 가지. 해, ,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이다.
    十: 長: 生:

  • 山深然後寺花落以前春(산심연후사화락이전춘) : 이 깊은 뒤에 절이 있고, 꽃이 떨어지기 이전(以前)이 봄임.
    山: 深: 깊을 然: 그러할 後: 寺: 花: 落: 떨어질 以: 前: 春:

  •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 강과 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江: 山: 萬: 일만 古: 主: 주인 人: 사람 物: 만물 百: 일백 年: 賓:

  • 白頭(백두) : (1)허옇게 센 머리. (2)탕건(宕巾)을 쓰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던 말. (3)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 장백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白: 頭: 머리

  • 登高能賦(등고능부) : 군자(君子)는 높은 에 오르면 반드시 시를 지어 회포(懷抱)를 품.
    登: 오를 高: 높을 能: 능할 賦: 구실

  • 泰山壓卵(태산압란) : (1)큰 이 알을 누른다는 뜻으로, 큰 위엄의 힘으로 여지없이 누름을 이르는 말. (2)큰 의 무게로 알을 눌러 깨뜨리는 것처럼 아주 쉬움을 이르는 말.
    泰: 山: 壓: 누를 卵:

  • 傘壽(산수) : (傘)자의 팔(八)과 십(十)을 팔십(八十)으로 간주(看做)하여 80세를 일컬음.
    傘: 우산 壽: 목숨

  • 山峻水急(산준수급) : 의 형세가 험하고 물살이 빠름.
    山: 峻: 높을 水: 急: 급할

  • 山溜穿石(산류천석) : 에서 졸졸 흐르는 물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을로, 끊임없이 열심히 하면 어떠한 일도 성취할 수 있다는 말.
    山: 溜: 방울질 穿: 뚫을 石:

  • 使蚊負山(사문부산) : 모기로 하여금 을 지게 한다는 뜻으로, 적은 힘으로 무거운 임무를 감당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使: 부릴 蚊: 모기 負: 山:

  • 八字春山(팔자춘산) : 여덟 팔 자 모양의 봄 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눈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字: 글자 春: 山:

  • 山鳴谷應(산명곡응) : 이 울면 골짜기가 응한다는 뜻으로, 소리가 과 골짜기에 울림을 이르는 말.
    山: 鳴: 谷: 應: 응할

  • 海誓山盟(해서산맹) : 영구히 존재하는 바다와 에 맹세한다는 뜻으로, 매우 굳게 맹세함을 이르는 말.
    海: 바다 誓: 맹세할 山: 盟: 맹세

  • 山寺野店(산사야점) : 속의 절간과 들의 객줏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山: 寺: 野: 店: 가게

  • 山情無限(산정무한) : 에서 느끼는 정취가 한이 없음.
    山: 情: 無: 없을 限: 한정

  • 草木皆兵(초목개병) : (1)적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목이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뜻으로, 몹시 놀라서 두려워하며 의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군사의 수효가 너무 많아 야에 가득 찬 상태.
    草: 木: 나무 皆: 兵: 군사

  • 北山之感(북산지감) : 북에서 느끼는 감회(感懷)라는 뜻으로, 나라 일에 힘쓰느라 부모(父母) 봉양(奉養)을 제대로 못한 것을 슬퍼하는 마음을 말함.
    北: 북녘 山: 之: 感: 느낄

  • 九折羊腸(구절양장) : 아홉 번 꼬부라진 양의 창자라는 뜻으로, 꼬불꼬불하며 험한 길을 이르는 말.
    九: 아홉 折: 꺾을 羊: 腸: 창자

  • 鳳鳴朝陽(봉명조양) : (1)봉황새가 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鳳: 봉새 鳴: 朝: 아침 陽:

  • 靑山只磨靑(청산지마청) : 푸른 의 모양(模樣)은 항상(恒常) 변(變)하지 않음.
    靑: 푸를 山: 只: 다만 磨: 靑: 푸를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夢:

  • 綠林(록림) : (1)푸른 숲. (2)화적이나 도둑의 소굴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말 왕광(王匡), 왕봉(王鳳) 등 망명자가 녹림에 숨어 있다가 도둑이 되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녹림’의 북한어.
    林: 수풀

  • 山窮水盡(산궁수진) : 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말.
    山: 窮: 다할 水: 盡: 다할

  • 山川草木(산천초목) : 과 내와 풀과 나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山: 川: 草: 木: 나무

  • 滿山遍野(만산편야) : (1)과 들에 가득함. (2)사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滿: 山: 遍: 두루 野:

  • 力拔山氣蓋世(역발산기개세) : 힘은 을 뽑을 만큼 매우 세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큼 웅대함을 이르는 말. ≪사기≫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가이샤(垓下)에서 한(漢)나라 군사에게 포위되었을 때 적군들이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듣고 읊었다는 시의 한 구절이다.
    拔: 山: 氣: 기운 蓋: 덮을 世: 인간

  • 山紫水麗(산자수려) : 은 자줏빛이고 물은 곱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山: 紫: 자주빛 水: 麗: 고울

  • 黃粱夢(황량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夢:

  • 泰山樑木(태산양목) : 중(中)의 인 태(泰山)이나 지붕을 받치는 대들보처럼 의지(依支)가 되는 사람이나 의지(依支)할 수 있는 거룩한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泰: 山: 木: 나무

  •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 : 사슴을 쫓는 사람은 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눈앞의 작은 일에 치우치다가 다른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됨을 이르는 말.
    逐: 쫓을 鹿: 사슴 者: 不: 아니 見: 山:

  • 鶴乘軒(학승헌) : 학이 수레를 탄다는 뜻으로, 에서 살면서 날아다녀야 할 학이 수레를 탄다는 것은 의(宜: 마땅함)를 잃었음을 이르는 말.
    鶴: 乘: 軒: 처마

  • 下山之勢(하산지세) : 어찌할 도리가 없어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 둘 수밖에 없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下: 아래 山: 之: 勢: 기세

  • 泰山北斗(태산북두) : (1)태(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泰: 山: 北: 북녘 斗:

  • 入山忌虎(입산기호) : 속에 들어가고서 범 잡을 것을 꺼린다는 뜻으로, 정작 바라던 일을 마주하게 되면 꽁무니를 빼는 것을 이르는 말.
    入: 山: 忌: 꺼릴 虎:

  • 登峰造極(등봉조극) : 에 올라 정상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기술이 심오한 경지에 도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登: 오를 峰: 봉우리 造: 지을 極: 다할

  • 風林火山(풍림화산) : 바람과 숲과 불과 이라는 뜻으로, 바람처럼 빠르게, 숲처럼 고요하게, 불처럼 맹렬하게, 처럼 묵직하게 적을 엄습(掩襲)해서 공격하는 것처럼, 기회가 왔을 때 이를 가장 적절하게 이용해서 승리를 거두라는 의미.
    風: 바람 林: 수풀 火: 山:

  • 會稽之恥(회계지치) : 회계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會: 모일 稽: 생각할 之: 恥: 부끄러워할

  • 山海珍味(산해진미) : 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海: 바다 珍: 보배 味:

  • 破山中敵易破心中敵難(파산중적이파심중적난) : 속에 있는 적을 무찌르기는 쉬우나 자기(自己) 속에 있는 나쁜 마음을 물리치기는 몹시 어렵다는 말.
    破: 깨뜨릴 山: 中: 가운데 敵: 원수 易: 쉬울 破: 깨뜨릴 心: 마음 中: 가운데 敵: 원수 難: 어려울

  • 生口不網(생구불망) : 입에 거미줄을 치지는 아니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궁하여도 그럭저럭 먹고살 수 있음을 이르는 말.
    生: 口: 不: 아니 網: 그물

  • 巫山之夢(무산지몽) : 무(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夢:

  • 山中宰相(산중재상) : 중에 은거하면서 나라에 중대한 일이 있을 때만 나와 일을 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의 도홍경이 속에 살면서 나라에 대사(大事)가 있을 때는 늘 참여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山: 中: 가운데 宰: 벼슬아치 相: 서로

  • 陟岵陟屺(척호척기) : 타향(他鄕)에 있는 자식(子息)이 고향(故鄕)의 부모(父母)를 그리워하여 자주 에 올라가 고향(故鄕) 쪽을 바라봄.
    陟: 오를 岵: 陟: 오를 屺: 민둥산

  • 積如邱山(적여구산) : 쌓인 것이 구릉이나 과 같다는 뜻으로, 처럼 많이 쌓여 있어 지천으로 많음을 이르는 말.
    積: 쌓을 如: 같을 邱: 땅 이름 山:

  • 蜀犬吠日(촉견폐일) : 식견이 좁은 사람이 현인(賢人)의 언행을 의심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는 이 높고 안개가 항상 짙어 해가 보이는 날이 드물기 때문에 개들이 해를 보면 이상히 여겨 짖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蜀: 나라 이름 犬: 吠: 짖을 日:

  • 千巖萬壑(천암만학) : 수많은 바위와 골짜기라는 뜻으로, 깊은 속의 경치를 이르는 말.
    千: 일천 巖: 바위 萬: 일만 壑:

  • 靑山流水(청산류수) : (1)푸른 에 흐르는 맑은 물이라는 뜻으로, 막힘없이 썩 잘하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청유수’의 북한어.
    靑: 푸를 山: 水:

  • 空山明月(공산명월) : (1)사람 없는 빈에 외로이 비치는 밝은 달. (2)‘대머리’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空: 山: 明: 밝을 月:

  • 尺山寸水(척산촌수) : 한 자 높이의 과 한 치 깊이의 물이라는 뜻으로, 높은 곳에서 멀리 내려다볼 때 수가 작게 보임을 이르는 말.
    尺: 山: 寸: 마디 水:

  • 山高天下立水深地上流(산고천하립수심지상류) : 이 높으나 하늘 아래 서 있고, 물이 깊으나 땅 위로 흐름.
    山: 高: 높을 天: 하늘 下: 아래 立: 水: 深: 깊을 地: 上: 流: 흐를

  • 山中白雲(산중백운) : 속의 흰 구름이라는 뜻으로, 山中의 白雲은 내 마음을 기쁘게 해 주지만 선물로 당신에게 줄 수 없다는 의미에서 방문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의미로 사용됨.
    山: 中: 가운데 白: 雲: 구름

  • 土積成山(토적성산)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土: 積: 쌓을 成: 이룰 山:

  • 山上說敎(산상설교) : 신약 성경 가운데 <마태복음>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山: 上: 說: 말씀 敎: 가르칠

  • 活剝生呑(활박생탄) : 채로 껍질을 벗기고 채로 삼킨다는 뜻으로, 남의 시문을 그대로 따서 자기 작품으로 삼음을 이르는 말.
    活: 剝: 벗길 生: 呑: 삼킬

  • 煙霞痼疾(연하고질)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煙: 연기 霞: 痼: 고질 疾:

  • 山河襟帶(산하금대) : 이 옷깃처럼 둘러 솟아 있고 강이 띠처럼 감돌아 있는 곳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요충지를 이르는 말.
    山: 河: 강 이름 襟: 옷깃 帶:

  • 一炊之夢(일취지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一: 炊: 불땔 之: 夢:

  • 山棲谷飮(산서곡음) : 에 깃들어 살며 계곡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는 말.
    山: 棲: 谷: 飮: 마실

  • 白菊粉山面丹楓脂洞口(백국분산면단풍지동구) : 흰국화는 의 얼굴에 단장(丹粧)을 하고, 단풍은 마을의 입구(入口)에 연지를 바름.
    白: 菊: 국화 粉: 가루 山: 面: 丹: 붉을 楓: 단풍나무 脂: 기름 洞: 口:

  • 花發千山紅葉生萬樹靑(화발천산홍엽생만수청) : 꽃이 피니 온이 붉고, 잎이 나니 모든 나무가 푸름.
    花: 發: 千: 일천 山: 紅: 붉을 葉: 生: 萬: 일만 樹: 나무 靑: 푸를

  • 登高必賦(등고필부) : 군자(君子)는 높은 에 오르면 반드시 시를 지어 회포(懷抱)를 품.
    登: 오를 高: 높을 必: 반드시 賦: 구실

  • 萬壑千峰(만학천봉) : 수많은 골짜기와 수많은 봉우리라는 뜻으로, 깊은 속이나 중첩된 의 모양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됨.
    萬: 일만 壑: 千: 일천 峰: 봉우리

  • 生呑活剝(생탄활박) : 채로 삼키고 채로 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시문(詩文)을 송두리째 도용(盜用)함을 비유하는 말.
    生: 呑: 삼킬 活: 剝: 벗길

  • 魚目燕石(어목연석) : 물고기의 눈과 중국 옌(燕山)에서 나는 돌은 구슬처럼 보이나 구슬이 아니라는 뜻으로, 진짜와 비슷하나 본질은 완전히 다른 것을 이르는 말.
    魚: 고기 目: 燕: 제비 石:

  • 山東出相山西出將(산동출상산서출장) : 동(山東)에서는 재상(宰相)이 나고 서(山西)에서는 장수(將帥)가 난다는 말로, 곳에 따라 다른 인재(人才)가 난다는 뜻.
    山: 東: 동녘 出: 相: 서로 山: 西: 서녘 出: 將: 장수

  • 海千山千(해천산천) : 바다에서 천년, 에서 천년을 뱀은 용이 된다는 뜻으로, 오랜 경험(經驗)으로 세상(世上) 안팎을 다 알아 지나치게 약삭빠름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海: 바다 千: 일천 山: 千: 일천

  • 千山萬壑(천산만학) : 천 개의 과 만 개의 깊은 골짜기라는 뜻으로, 수많은 봉우리와 골짜기를 이르는 말.
    千: 일천 山: 萬: 일만 壑:

1
#속담 63 #자신 208 #유래 280 #집안 93 #세상 339 #사용 312 #가난 90 #정도 153 #신하 62 #부부 76 #근심 65 #자연 73 #처음 91 #때문 58 #아내 81 #행동 137 #마음 496 #백성 105 #조금 96 #태도 72 #어려움 105 #노력 69 #벼슬 88 #시대 114 #의미 1817 #생활 82 #천하 94 #따위 228 #무리 64 #은혜 7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