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에 관한 한자 모두 119

  • 束手無策 획순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束: 묶을 手: 無: 없을 策:

  • 雪上加霜 획순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雪: 上: 加: 더할 霜: 서리

  • 啞然失色 획순 啞然失色(아연실색) : 뜻밖의 일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람.
    啞: 벙어리 然: 그러할 失: 잃을 色:

  • 笑啼兩難 획순 笑啼兩難(소제양난) : 웃거나 울기가 둘 다 어렵다는 뜻으로,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기쁜 일과 슬픈 일이 함께 닥치는 상황을 이르는 말.
    笑: 웃을 啼: 難: 어려울

  • 百戰百勝 획순 百戰百勝(백전백승) : 싸울 때마다 다 이김.
    百: 일백 戰: 싸움 百: 일백 勝: 이길

  • 被髮纓冠(피발영관) : 머리를 풀어 헤친 채 갓끈을 맨다는 뜻으로, 몹시 바쁜 상황을 이르는 말. ≪맹자≫의 <이루하(離婁下)>에 나오는 말이다.
    被: 이불 髮: 터럭 纓: 갓끈 冠:

  • 不知不識間(부지불식간) : 생각하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사이.
    不: 아닌가 知: 不: 아니 識: 間:

  • 醉翁之意(취옹지의) : 취한 노인의 뜻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도나 속셈이 있거나 안팎의 모습이 다른 상황을 이르는 말.
    醉: 취할 翁: 늙은이 之: 意:

  • 已往之事(이왕지사) : 이미 지나간 일.
    已: 그칠 往: 之: 事:

  • 意氣銷沈(의기소침) : 기운이 없어지고 풀이 죽음.
    意: 氣: 기운 銷: 녹일 沈: 잠길

  • 累卵之勢(루란지세) : (1)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형세라는 뜻으로,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누란지세’의 북한어.
    卵: 之: 勢: 기세

  • 華而不實(화이부실) :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華: 빛날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實: 열매

  • 風雲才子(풍운재자) : 비바람을 무릅쓰는 인재라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에 위급하고 곤란한 상황을 무릅쓰고 활약하여 공명을 세우는 전도양양(前途揚揚)한 청년을 이르는 말.
    風: 바람 雲: 구름 才: 재주 子: 아들

  • 羊頭狗肉(양두구육) :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羊: 頭: 머리 狗: 肉: 고기

  • 別而聽之(별이청지) : 구별해서 듣는다는 뜻으로, 한사람 한사람에 대하여 따로따로 듣거나 따로 묻는 상황을 의미하는 말.
    別: 나눌 而: 말 이을 聽: 들을 之:

  • 客反爲主(객반위주) : 손이 도리어 주인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인 것을 주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客: 反: 돌이킬 爲: 主: 주인

  • 萬覇不聽(만패불청) : 많은 패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본래 바둑에서 큰 패가 생겼을 때 상대자가 어떤 패를 써도 응하지 않고 팻자리를 해소하는 일인데, 후에 아무리 싸움을 걸려고 집적거려도 못들은 체 하고 응하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萬: 일만 覇: 으뜸 不: 아니 聽: 들을

  • 殺頭便冠(쇄두편관) : 머리를 깎아내서 관 쓰기에 편하도록 한다는 뜻으로, 본말(本末)이 전도(顚倒)된 상황을 이르는 말.
    殺: 頭: 머리 便: 편할 冠: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冶: 불릴 家: 無: 없을 食: 刀:

  • 喜喜樂樂(희희낙락) :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喜: 기쁠 喜: 기쁠 樂: 즐거울

  • 立錐之地(입추지지) : (1)‘입추지지’의 북한어. (2)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錐: 송곳 之: 地:

  • 勢如破竹(세여파죽) : 기세가 매우 대단하여 감히 대항할 만한 적이 없음.
    勢: 기세 如: 같을 破: 깨뜨릴 竹:

  • 西山落日(서산낙일) : (1)서산에 지는 해. (2)세력이나 힘 따위가 기울어져 멸망하게 된 판국을 이르는 말.
    西: 서녘 山: 日:

  •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拍: 掌: 손바닥 大: 笑: 웃을

  • 閉門造車(폐문조거) :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閉: 닫을 門: 造: 지을 車: 수레

  • 無依無托(무의무탁) : 의지하거나 의탁할 데가 없다는 뜻으로, 매우 빈곤하고 고독한 처지의 상황을 이르는 말.
    無: 없을 依: 의지할 無: 없을 托:

  • 難中之難(난중지난) : 어려운 일 가운데서도 가장 어려움.
    難: 어려울 中: 가운데 之: 難: 어려울

  • 孰能禦之(숙능어지) : 누가 감히 막을 수 있겠느냐는 뜻으로, 능히 막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孰: 누구 能: 능할 禦: 막을 之:

  • 意思不到處(의사부도처) : 미처 생각이 미치지 못한 곳.
    意: 思: 생각할 不: 아닌가 到: 이를 處: 머무를

  • 焦眉之急(초미지급) : 눈썹에 불이 붙어 다급하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焦: 그스를 眉: 눈썹 之: 急: 급할

  • 魚遊釜中(어유부중) : 물고기가 솥 안에서 논다는 뜻으로, 지금은 살아 있기는 하여도 생명이 얼마 남지 아니하였음을 이르는 말.
    魚: 고기 遊: 釜: 가마 中: 가운데

  • 樂而不淫(낙이불음) : 즐거우나 음탕하지 않다는 뜻으로, 즐기되 도를 넘지 않는다는 유가사상의 중용의 가치를 표현하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기본적인 선을 지킨다는 의미로 활용됨. [ = 樂而不荒 (낙이불황) ].
    而: 말 이을 不: 아니 淫: 음란할

  • 事不如意(사불여의) : 일이 뜻대로 되지 아니함.
    事: 不: 아니 如: 같을 意:

  • 已過之事(이과지사) : 이미 지나간 일.
    已: 그칠 過: 지날 之: 事:

  • 進退兩難(진퇴양난)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
    進: 나아갈 退: 물러날 難: 어려울

  • 雲合霧集(운합무집) : 구름이 모이고 안개가 모여든다는 뜻으로, 많은 것이 일시에 모여드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雲: 구름 合: 합할 霧: 안개 集: 모일

  • 萬古不變(만고불변) :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하지 아니함.
    萬: 일만 古: 不: 아니 變: 변할

  • 知希之貴(지희지귀) : 아는 이가 드물어 귀하다는 뜻으로, 노자(老子)가 세상에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가 행해지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개탄하며, 세상이 나를 아는 사람이 드무니 나 혼자 귀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한 구절임.
    知: 希: 바랄 之: 貴: 귀할

  • 名面各知(명면각지) : 같은 사람인 줄 모르고 이름은 이름대로 얼굴은 얼굴대로 따로따로 앎.
    名: 이름 面: 各: 각각 知:

  • 乙丑甲子(을축갑자) :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乙: 丑: 甲: 갑옷 子: 아들

  • 杯盤狼藉(배반낭자) : 술잔과 접시가 이리의 깔개처럼 어지럽다는 뜻으로, 술 마신 뒷자리의 어지러운 상황이나, 너무 지나치면 쇠한다는 의미.
    杯: 盤: 소반 藉: 깔개

  • 惜指失掌(석지실장) : 손가락을 아끼려다가 손바닥마저 잃는다는 뜻으로, 작을 것을 아끼려다 큰 일을 그르치는 상황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惜: 아낄 指: 손가락 失: 잃을 掌: 손바닥

  • 生面大責(생면대책) : 어떠한 일의 상황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잘못이 없는 사람을 호되게 꾸짖음.
    生: 面: 大: 責: 꾸짖을

  •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 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처지나 상황이 때에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春: 來: 不: 아니 似: 같을 春:

  • 語不擇發(어불택발) : 말을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함.
    語: 말씀 不: 아니 擇: 가릴 發:

  • 無窮無盡(무궁무진) : 끝이 없고 다함이 없음.
    無: 없을 窮: 다할 無: 없을 盡: 다할

  • 凍足放尿(동족방뇨) :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뜻으로, 잠시 동안만 효력이 있을 뿐 효력이 바로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凍: 足: 放: 놓을 尿: 오줌

  • 如渡得船(여도득선) : 강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나루터에서 배를 얻었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한 것이나 상황(狀況)이 바라는 대로 됨이나 부처의 자비(慈悲)를 입음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渡: 건널 得: 얻을 船:

  • 蚌鷸之爭(방휼지쟁) : 도요새가 조개와 다투다가 다 같이 어부에게 잡히고 말았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다투다가 결국은 구경하는 다른 사람에게 득을 주는 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蚌: 방합 鷸: 도요새 之: 爭: 다툴

  • 言過其實(언과기실) : 말이 사실보다 과장되고 실행이 부족함.
    言: 말씀 過: 지날 其: 實: 열매

  • 舍本治末(사본치말) :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다스린다는 뜻으로, 일의 본말이 전도된 상황을 의미함.
    舍: 本: 治: 다스릴 末:

  • 毫分縷析(호분누석) : 털을 나누고 실오라기를 쪼갠다는 뜻으로, 아주 잘게 나눔을 이르는 말.
    毫: 가는 털 分: 나눌 析: 가를

  • 迫不得已(박부득이) : 일이 매우 급하게 닥쳐와서 어찌할 수 없이.
    迫: 다그칠 不: 아닌가 得: 얻을 已: 그칠

  • 眼目所視(안목소시) : 남들이 보고 있는 터.
    眼: 目: 所: 視:

  • 今始初聞(금시초문) : 이제서야 비로소 처음 들었다는 뜻으로, 듣어보지 못한 상황을 처음으로 접한다는 의미.
    今: 이제 始: 처음 初: 처음 聞: 들을

  • 一觸卽發(일촉즉발) : 한 번 건드리기만 해도 폭발할 것같이 몹시 위급한 상태.
    一: 觸: 닿을 卽: 發:

  • 急難之風(급난지풍) : 남이 어려운 일에 처했을 때 구해 주는 의로운 태도.
    急: 급할 難: 어려울 之: 風: 바람

  • 敢怒不敢言(감노불감언) : 감히 성나지만 감히 말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화가 나지만 말을 못하는 상황을 이르는 말.
    敢: 감히 怒: 성낼 不: 아니 敢: 감히 言: 말씀

  • 觸目傷心(촉목상심) : 눈에 보이는 사물마다 슬픔을 자아내어 마음을 아프게 함.
    觸: 닿을 目: 傷: 다칠 心: 마음

  • 無病自灸(무병자구) : 병이 없는 데 스스로 뜸을 뜬다는 뜻으로, 쓸데없이 불필요한 노력을 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無: 없을 病: 自: 스스로 灸:

  • 名實相符(명실상부) : 이름과 실상이 서로 꼭 맞음.
    名: 이름 實: 열매 相: 서로 符: 부신

  • 不知何歲月(부지하세월) : 언제 이루어질지 그 기한을 알 수 없음.
    不: 아닌가 知: 何: 어찌 歲: 月:

  • 尤而效之(우이효지) : 허물하면서도 그것을 본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잘못을 나무라면서 자신이 그것을 본받는 잘못을 저지르는 상황이나 그것을 경계하는 말로 사용됨.
    尤: 더욱 而: 말 이을 效: 본받을 之:

  • 續短斷長(속단단장) : 짧은 것을 잇고 긴 것을 자른다는 뜻으로, 짧고 긴 것을 잇고 자르는 것처럼 적절하게 맞추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續: 이을 短: 짧을 斷: 끊을 長:

  • 窮餘之策(궁여지책) : 별수가 없어서 겨우 짜낸 해결책.
    窮: 다할 餘: 남을 之: 策:

  • 覆杯之水(복배지수) : 엎지른 물이라는 뜻으로, 다시 수습하기 곤란한 상황을 이르는 말.
    覆: 뒤집힐 杯: 之: 水:

  • 涸轍鮒漁(확철부어) :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 속에 있는 붕어라는 뜻으로,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이르는 말.
    轍: 바퀴 자국 鮒: 붕어 漁: 고기잡을

  • 愈往愈甚(유왕유심) : 갈수록 더욱 심함.
    愈: 나을 往: 愈: 나을 甚: 심할

  • 犬兎之爭(견토지쟁) :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대상이 서로 싸우고 있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 ◈ 한자로(韓子廬)라는 빠른 개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교활한 토끼의 싸움으로 농부가 두 마리를 모두 잡아갔다는 고사.《戰國策》.
    犬: 兎: 토끼 之: 爭: 다툴

  • 不可思議(불가사의) : (1)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 없이 이상하고 야릇함. (2)나유타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64을 이른다. (3)예전에, 나유타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20을 이른다.
    不: 아니 可: 옳을 思: 생각할 議: 의논할

  • 恩反爲仇(은반위구) : 은혜를 베푼 것이 도리어 원수가 됨.
    恩: 은혜 反: 돌이킬 爲: 仇: 원수

  • 啐啄同時(줄탁동식) : 울고 쪼는 것이 같은 시기에 한다는 뜻으로, 알에서 나오려는 병아리의 껍질 쪼는 소리에 어미 닭이 껍질을 쪼아서 나오도록 도와주는 것을 동시에 한다는 의미에서 사제간(師弟間)의 연분이 서로 무르익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啐: 떠들 啄: 쪼을 同: 한가지

  • 去去益甚(거거익심) : 갈수록 더욱 심함.
    去: 去: 益: 더할 甚: 심할

  • 氣盡脈盡(기진맥진) : 힘을 모두 써서 지쳐 쓰러질 것 같은 상태가 됨.
    氣: 기운 盡: 다할 脈: 盡: 다할

  • 獨也靑靑(독야청청) : 남들이 모두 절개를 꺾는 상황 속에서도 홀로 절개를 굳세게 지키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獨: 홀로 也: 잇기 靑: 푸를 靑: 푸를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는 않음.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渴: 목마를 不: 아니 飮: 마실 盜: 도둑 泉: 水:

  • 衆目所視(중목소시) : 여러 사람이 다 같이 보고 있는 형편.
    衆: 무리 目: 所: 視:

  • 無處可考(무처가고) : 서로 견주어서 볼 만한 곳이 없음.
    無: 없을 處: 머무를 可: 옳을 考: 상고할

  • 敢不生心(감불생심) :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함.
    敢: 감히 不: 아니 生: 心: 마음

  • 目不忍見(목불인견) : 눈앞에 벌어진 상황 따위를 눈 뜨고는 차마 볼 수 없음.
    目: 不: 아니 忍: 참을 見:

  • 鷄肋(계륵) : (1)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修傳)>에 나오는 말이다. (2)몸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肋: 갈빗대

  • 炊骨易子(취골역자) : 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
    炊: 불땔 骨: 易: 바꿀 子: 아들

  • 先病者醫(선병자의) : 먼저 병을 앓아 본 사람이 의원이라는 뜻으로, 먼저 경험을 해 본 사람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先: 먼저 病: 者: 醫: 의원

  • 且驚且喜(차경차희) : 한편으로 놀라면서 한편으로 기뻐함.
    且: 驚: 놀랄 且: 喜: 기쁠

  • 百藥無效(백약무효) : 온갖 약이 효과가 없다는 뜻으로,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것처럼 해결이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
    百: 일백 藥: 無: 없을 效: 본받을

  • 如拔痛齒(여발통치) :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괴로운 일에서 벗어나 시원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拔: 痛: 아플 齒:

  • 方底圓蓋(방저원개) : 네모진 바닥에 둥근 뚜껑이란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方: 底: 圓: 둥글 蓋: 덮을

  • 弱肉强食(약육강식) : 약자의 살은 강자의 먹이가 된다는 뜻으로,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침해하거나, 폭력이 난무하고 무질서한 상황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됨.
    弱: 약할 肉: 고기 强: 굳셀 食:

  • 牽强附會(견강부회) : 억지로 끌어다 붙여 모은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나 상황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끌어댄다는 의미.
    牽: 强: 굳셀 附: 붙을 會: 모일

  • 吳越同舟(오월동주) :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서로 적대시하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으나 풍랑을 만나서 서로 단합하여야 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출전은 ≪손자(孫子)≫의 <구지편(九地篇)>이다.
    吳: 나라 이름 越: 넘을 同: 한가지 舟:

  • 車水馬龍(거수마룡) : 수레들은 흐르는 물과 같고 말의 움직임은 하늘을 오르는 용과 같다는 뜻으로, 수레와 말의 왕래(往來)가 많아 매우 떠들석한 상황. 즉, 행렬(行列)이 성대(盛大)한 모양(模樣)을 말함.
    車: 수레 水: 馬: 龍:

  • 霹靂閃電(벽력섬전) : 벼락과 천둥, 번개의 뜻으로, 매우 빠른 상황을 비유하는 말.
    霹: 벼락 靂: 벼락 閃: 번쩍일 電: 번개

  • 多多益善(다다익선) : (1)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중국 한(漢)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高祖)와 장수의 역량에 대하여 얘기할 때, 고조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2)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1988년에, 10월 3일 개천절의 의미를 담아 1003개의 티브이 모니터로 마치 하나의 거대한 탑처럼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이 작품은 전화, 라디오, 티브이 방송 따위의 신호를 받는 수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
    多: 많을 多: 많을 益: 더할 善: 착할

  • 黑白顚倒(흑백전도) : 흑과 백이 뒤바뀌어 거꾸로 되었다는 뜻으로, 옳고 그름이나 선악이 서로 뒤집히거나 그러한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黑: 검을 白: 顚: 넘어질 倒: 넘어질

  • 猫頭縣鈴(묘두현령)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는 뜻으로, 불가능한 일을 의논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猫: 고양이 頭: 머리 縣: 고을 鈴: 방울

  • 開門揖盜(개문읍도) : 문을 열어 도둑을 맞이한다는 뜻으로, 상황을 깨닫지 못하고 스스로 화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開: 門: 揖: 읍할 盜: 도둑

  • 改頭換面(개두환면) : 머리와 얼굴을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근본은 고치지 아니하고 사람만 바꾸어 그 일을 그대로 시킴을 이르는 말.
    改: 고칠 頭: 머리 換: 바꿀 面:

  • 擊鼓鳴金(격고명금) : 북을 치고 징을 울린다는 뜻으로, 전쟁에서 북을 치면 진격하고 징을 치면 후퇴하던 일을 이르는 말.
    擊: 鼓: 鳴: 金:

  • 主客顚倒(주객전도) : 주인과 손의 위치가 서로 뒤바뀐다는 뜻으로, 사물의 경중ㆍ선후ㆍ완급 따위가 서로 뒤바뀜을 이르는 말.
    主: 주인 客: 顚: 넘어질 倒: 넘어질

  • 粟紅貫朽(속홍관후) : 곡식이 붉게 변질되고 돈꿰미가 썩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세상에 물자가 남아도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粟: 紅: 붉을 貫: 朽: 썩을

2
#하늘 251 #방법 59 #재주 82 #노력 69 #조금 96 #천하 94 #마음 496 #정도 153 #상태 110 #고사 108 #가운데 104 #관계 90 #자연 73 #싸움 61 #집안 93 #구름 67 #따위 228 #시대 114 #무리 64 #잘못 93 #재능 61 #어버이 60 #재앙 64 #여자 101 #서로 71 #사용 312 #가난 90 #모습 66 #나이 97 #의지 6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5개) : 사하, 사학, 사한, 사할, 사함, 사합, 사항, 사해, 사핵, 사행, 사향, 사헐, 사헤, 사혁, 사현, 사혈, 사혐, 사형, 사혜, 사호, 사혹, 사혼, 사홈, 사화, 사환, 사활, 사황, 사홰, 사회, 사횡, 사효, 사후, 사훈, 사훤, 사훼, 사휘, 사흔, 사흘, 사흥, 사희, 삭하, 삭회, 삭흔, 산하, 산학, 산한, 산합, 산해, 산행, 산향, 산험, 산현, 산혈, 산협, 산형, 산호, 산화, 산회, 산효, 산후, 산훼, 산휴, 산희, 살해, 살헤, 살현, 살홍, 살활, 살획, 살흉, 살흙, 삼하, 삼학, 삼한, 삼함, 삼합, 삼행, 삼향, 삼허, 삼헌, 삼혁, 삼현, 삼형, 삼혜, 삼호, 삼혹, 삼혼, 삼화, 삼환, 삼황, 삼회, 삼효, 삼휘, 삼흉, 삼힐, 삽향, 삽혈, 삽혜, 삽화, 상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