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에 관한 한자 모두 236

  • 百術千慮 획순 百術千慮(백술천려) : 여러 가지 방책(方策)을 깊이 생각함.
    百: 일백 術: 千: 일천 慮: 생각할

  • 顧名思義 획순 顧名思義(고명사의) : 어떤 일을 당하여 자신의 명예를 더럽히는 일이 아닌지 돌이켜 보고, 또한 의리에 어긋나는 일이 아닌지 생각함.
    顧: 돌아볼 名: 이름 思: 생각할 義: 옳을

  • 弊帚千金 획순 弊帚千金(폐추천금) : 닳아 빠진 비를 천금같이 여긴다는 뜻으로, 자기의 분수를 모름을 이르는 말.
    弊: 해어질 帚: 千: 일천 金:

  • 追遠報本 획순 追遠報本(추원보본) : 조상의 덕을 생각하여 제사에 정성을 다하고 자기가 태어난 근본을 잊지 않고 은혜를 갚음.
    追: 쫓을 遠: 報: 갚을 本:

  • 置之忘域 획순 置之忘域(치지망역) : 잊어버리고 생각하지 아니함.
    置: 之: 忘: 잊을 域: 지경

  • 猪突(저돌) : (1) (멧돼지처럼)앞뒤를 헤아리지 않고 불쑥 돌진(突進)함 (2) 앞일을 생각지 않고 맹목적(盲目的)으로 일을 처리(處理)함.
    猪: 멧돼지 突: 갑자기

  • 三人文殊(삼인문수) : 평범(平凡)한 인간(人間)이라도 세 사람이 모여서 의논(議論)하면, 지혜(智慧)를 다스리는 문수(文殊) 보살(菩薩)과 같은 좋은 생각이 떠오른다는 말.
    三: 人: 사람 文: 글월 殊: 죽일

  • 再三思之(재삼사지) : 여러 번 거듭하여 생각함.
    再: 三: 思: 생각할 之:

  • 能見難思(능견난사) : (1)눈으로 볼 수 있지만 이치를 알기가 어려운 일. (2)쇠로 만든 그릇.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데, 중국 원나라에서 보조 국사에게 주었다는 전설이 있다.
    能: 능할 見: 難: 어려울 思: 생각할

  • 色思必溫貌思必恭(색사필온모사필공) :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溫和)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할 것을 생각함.
    色: 思: 생각할 必: 반드시 溫: 따뜻할 貌: 얼굴 思: 생각할 必: 반드시 恭: 공손할

  • 延促劫智(연촉겁지) : 자기 마음대로 겁(劫)을 늘리기도 하고 줄이기도 하는 부처의 지혜.
    延: 促: 재촉할 劫: 으를 智: 슬기

  • 見利思義(견리사의) :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
    見: 利: 날카로울 思: 생각할 義: 옳을

  • 出其不意(출기불의) : (1)일이 뜻밖에 일어남. (2)뜻밖에 나섬.
    出: 其: 不: 아니 意:

  • 螳螂之斧(당랑지부) :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螳: 버마재비 螂: 버마재비 之: 斧: 도끼

  • 苦心焦思(고심초사) : 마음을 태우며 애써 생각함.
    苦: 心: 마음 焦: 그스를 思: 생각할

  • 可呵(가가) : 주로 편지에서, 스스로 생각하여도 우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可: 옳을 呵: 꾸짖을

  • 學原於思(학원어사) : 학문은 생각에 근원을 둔다는 뜻으로, 학문은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처럼 사색(思索)이 학문의 근본임을 이르는 말.
    學: 배울 原: 언덕 於: 어조사 思: 생각할

  • 匪躬之節(비궁지절) : 자기 개인의 이해(利害)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오로지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지조.
    匪: 비적 躬: 之: 節: 마디

  • 革圖易慮(혁도역려) : 계획을 고치고 생각을 바꾼다는 뜻으로, 도모하고 생각했던 내용을 고치고 바꾼다는 의미.
    革: 가죽 圖: 그림 易: 바꿀 慮: 생각할

  • 獨善其身(독선기신) : 남을 돌보지 아니하고 자기 한 몸의 처신만을 온전하게 함.
    獨: 홀로 善: 착할 其: 身:

  • 夢外之事(몽외지사) : 꿈에도 생각지 못했던 뜻밖의 일.
    夢: 外: 바깥 之: 事:

  • 輕擧妄動(경거망동) : 경솔하여 생각 없이 망령되게 행동함. 또는 그런 행동.
    輕: 가벼울 擧: 妄: 망령될 動: 움직일

  • 掩耳盜鈴(엄이도령) :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여씨춘추≫ <불구론(不苟論)>의 <자지편(自知篇)>에 나오는 말이다.
    掩: 가릴 耳: 盜: 도둑 鈴: 방울

  • 架空妄想(가공망상) : 터무니없는 상상이나 근거 없는 생각.
    架: 시렁 空: 妄: 망령될 想: 생각

  • 閉閤思過(폐합사과) : 방 안에 칩거(蟄居)하며 제 잘못을 생각함.
    閉: 닫을 閤: 쪽문 思: 생각할 過: 지날

  • 大驚小怪(대경소괴) : 몹시 놀라서 좀 괴이쩍게 생각함.
    大: 驚: 놀랄 小: 작을 怪: 기이할

  • 出於禍福(출어화복) : 화복(禍福)을 생각하고 두려워함.
    出: 於: 어조사 禍: 재난 福:

  • 目前之計(목전지계) : 눈앞에 보이는 한때만을 생각하는 꾀.
    目: 前: 之: 計: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妻: 아내

  • 心機一轉(심기일전) : 어떤 동기가 있어 이제까지 가졌던 마음가짐을 버리고 완전히 달라짐.
    心: 마음 機: 베틀 一: 轉: 구를

  • 深謀遠慮(심모원려) : 깊은 꾀와 먼 장래를 내다보는 생각.
    深: 깊을 謀: 꾀할 遠: 慮: 생각할

  • 天涯如比隣(천애여비린) : 친지(親知)가 멀리 떨어진 곳에 있어도 마치 이웃에 있는 것처럼 생각함.
    天: 하늘 涯: 물가 如: 같을 比: 견줄 隣: 이웃

  • 枯木寒巖(고목한암) : 말라 죽은 나무가 선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죽은 재처럼 아무 생각이 없음, 사람의 무위무심(無爲無心)함을 이름.
    枯: 마를 木: 나무 寒: 巖: 바위

  • 泰然無心(태연무심) : 매우 태연스럽고 아무런 잡념도 없음.
    泰: 然: 그러할 無: 없을 心: 마음

  • 再考三思(재고삼사) : 다시 헤아리고 여러 번 거듭 생각함.
    再: 考: 상고할 三: 思: 생각할

  • 白雲孤飛(백운고비) :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白: 雲: 구름 孤: 외로울 飛:

  • 大違所料(대위소료) : 생각하는 바와 크게 다름.
    大: 違: 어길 所: 料: 헤아릴

  • 餘事風景(여사풍경) : 필요하지 않아 생각에 두지 않는 일.
    餘: 남을 事: 風: 바람 景:

  • 我田引水(아전인수) :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我: 田: 引: 당길 水:

  • 懲忿窒慾(징분질욕) : 분한 생각을 경계하고 욕심을 막음.
    懲: 혼날 忿: 성낼 窒: 막을 慾: 욕심

  • 千思萬考(천사만고) : 여러 가지로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千: 일천 思: 생각할 萬: 일만 考: 상고할

  • 鴻鵠將至(홍곡장지) : 큰 기러기나 고니가 장차 이른다는 뜻으로, 글을 배우면서 마음은 새 잡는 일 따위를 생각하는 것처럼, 마음이 엉뚱한 곳에 있어 일이 몸에 배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鴻: 큰기러기 鵠: 고니 將: 장수 至: 이를

  • 見得思義是謂九思(견득사의시위구사) : 이득(利得)을 보면 반드시 의를 생각해야 하니, 이것을 구사(九思)라 함.
    見: 得: 얻을 思: 생각할 義: 옳을 是: 옳을 謂: 이를 九: 아홉 思: 생각할

  • 破涕(파체) : 눈물을 거둔다는 뜻으로, 슬픔을 기쁨으로 돌리어 생각함을 이르는 말.
    破: 깨뜨릴 涕: 눈물

  • 變出不意(변출불의) : 생각지도 않은 괴상한 일이 뜻밖에 생김.
    變: 변할 出: 不: 아니 意:

  • 不可思議(불가사의) : (1)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 없이 이상하고 야릇함. (2)나유타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64을 이른다. (3)예전에, 나유타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20을 이른다.
    不: 아니 可: 옳을 思: 생각할 議: 의논할

  • 念佛誦經(염불송경) : 마음속으로 부처를 생각하고 불경을 외는 일.
    佛: 부처 誦: 經: 지날

  • 無我(무아) : (1)자신의 욕심을 채우려는 마음이 없음. (2)일체의 존재는 모두 무상하며 고(苦)이므로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 인무아와 법무아 둘로 나눈다. (3)자기의 존재를 잊음.
    無: 없을 我:

  • 可考文獻(가고문헌) : 참고해 볼 만한 문헌.
    可: 옳을 考: 상고할 文: 글월 獻: 바칠

  • 千思萬量(천사만량) : 여러 가지로 생각하여 헤아림.
    千: 일천 思: 생각할 萬: 일만 量: 헤아릴

  • 開化思想(개화사상) : 낡은 제도나 풍습 등을 없애고 외국의 발전된 문화를 받아들이려는 생각.
    開: 化: 화할 思: 생각할 想: 생각

  • 千萬夢外(천만몽외) : 전혀 생각하지 아니한 상태.
    千: 일천 萬: 일만 夢: 外: 바깥

  • 無望之福(무망지복) : 바램이 없었던 복이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복이나 생각지 않았던 행운의 의미.
    無: 없을 望: 바랄 之: 福:

  • 思無邪(사무사) : 생각함에 사특함이 없음. 공자가 시 305편을 산정(刪定)한 후 한 말이다.
    思: 생각할 無: 없을 邪: 간사할

  • 感舊之懷(감구지회) : 지난 일을 떠올리며 느끼는 회포.
    感: 느낄 舊: 之: 懷: 품을

  • 向國之誠(향국지성) : 나라를 생각하는 정성.
    向: 향할 國: 나라 之: 誠: 정성

  • 夢幻(몽환) : (1)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헛되고 터무니없는 생각을 이르는 말. (2)이 세상의 모든 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夢: 幻: 변할

  • 掩耳偸鈴(엄이투령) :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1)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2) 방울 소리가 제 귀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귀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掩: 가릴 耳: 偸: 훔칠 鈴: 방울

  • 邪思妄念(사사망념) : 좋지 못하고 망령된 생각.
    邪: 간사할 思: 생각할 妄: 망령될 念: 생각

  • 行無越思(행무월사) : 행동이 생각을 넘음이 없다는 뜻으로, 행동이 그 생각하고 있는 바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말.
    行: 無: 없을 越: 넘을 思: 생각할

  • 念念不忘(념념불망) : (1)자꾸 생각이 나서 잊지 못함. (2)‘염념불망’의 북한어.
    念: 생각 不: 아니 忘: 잊을

  • 望雲之懷(망운지회) :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望: 바랄 雲: 구름 之: 懷: 품을

  • 歡如平昔(환여평석) : 원한을 버리고 옛정을 다시 회복함.
    歡: 기뻐할 如: 같을 平: 평평할 昔:

  • 昨非今是(작비금시) : 전날에는 그르다고 여기던 것이 오늘에 와서는 옳다고 여기게 됨.
    昨: 어제 非: 아닐 今: 이제 是: 옳을

  • 氣味相合(기미상합) : 생각하는 바나 취미가 서로 맞음.
    氣: 기운 味: 相: 서로 合: 합할

  • 胡思亂想(호사난상) : 몹시 뒤엉키어 어수선하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胡: 오랑캐 思: 생각할 想: 생각

  • 諸法皆空(제법개공) :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인연으로 생겼으며 변하지 않는 참다운 자아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
    諸: 모든 法: 皆: 空:

  • 千慮一得(천려일득) : 천 번을 생각하여 하나를 얻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면 그 과정에서 한 가지쯤은 좋은 것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千: 일천 慮: 생각할 一: 得: 얻을

  • 雲出無心(운출무심) : 구름이 가는데 마음이 없다는 뜻으로, 구름이 아무 생각 없이 흘러가듯이 인생을 유유하게 사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雲: 구름 出: 無: 없을 心: 마음

  • 責人則明(책인즉명) : 남을 탓하는 데 밝다는 뜻으로, 제 잘못은 생각하지 않고 남의 잘못만 나무람을 이르는 말.
    責: 꾸짖을 人: 사람 則: 明: 밝을

  • 虛心坦懷(허심탄회) : 품은 생각을 터놓고 말할 만큼 아무 거리낌이 없고 솔직함.
    虛: 心: 마음 坦: 평평할 懷: 품을

  • 望文生義(망문생의) : 글을 바라보면서 의미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고전을 해석하는데 정밀한 고증을 하지 않고 멋대로 추측하여 판단한다는 행위로 학자가 가장 경계해야 할 부분임.
    望: 바랄 文: 글월 生: 義: 옳을

  • 夢想不到(몽상부도) : 꿈에도 생각할 수 없음.
    夢: 想: 생각 不: 아닌가 到: 이를

  • 抑何心思(억하심사) : 도대체 무슨 심사냐라는 뜻으로,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지 알 수 없거나 마음속 깊이 맺힌 마음을 이르는 말.
    抑: 누를 何: 어찌 心: 마음 思: 생각할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賢: 어질 妻: 아내 國: 나라 難: 어려울 思: 생각할 相: 서로

  • 愚者一得(우자일득)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잘하는 것이 있음.
    愚: 어리석을 者: 一: 得: 얻을

  • 抑何心腸(억하심장) : 도대체 무슨 심정이냐라는 뜻으로,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지 알 수 없거나 마음속 깊이 맺힌 마음을 이르는 말.
    抑: 누를 何: 어찌 心: 마음 腸: 창자

  • 敬老思想(경로사상) : 노인을 공경하는 생각.
    敬: 공경 老: 늙을 思: 생각할 想: 생각

  • 居安思危(거안사위) : 편안하게 있을 때, 위태로움을 생각하라는 뜻으로, 근심 걱정이 없을 때 미리 준비하고 대비하라는 의미.
    居: 있을 安: 편안할 思: 생각할 危: 위태할

  • 無念無想(무념무상) : 무아의 경지에 이르러 일체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여러 가지 생각을 떠남.
    無: 없을 念: 생각 無: 없을 想: 생각

  • 匹夫之勇(필부지용) :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소인의 용기. ≪맹자≫의 <양혜왕(梁惠王) 하편>에 나오는 말이다.
    匹: 夫: 지아비 之: 勇: 날랠

  • 破邪顯正(파사현정) : 사견(邪見)과 사도(邪道)를 깨고 정법(正法)을 드러내는 일. 삼론종의 근본 교의이다.
    破: 깨뜨릴 邪: 간사할 顯: 나타날 正: 바를

  • 同床異夢(동상이몽) : (1)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2)겉으로는 지지하고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반대함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床: 異: 다를 夢:

  • 虛心平意(허심평의) : 마음을 비우고 뜻을 공평하게 한다는 뜻으로, 마음에 아무 일도 생각하지 아니하고, 고요하게 있는 상태로, 애증오호(愛憎惡好)의 생각이 없고 공평무사(公平無私)한 태도를 이르는 말.
    虛: 心: 마음 平: 평평할 意:

  • 豬突豨勇(저돌희용) : (1)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뜀. (2)중국 한(漢)나라 때에,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죄수나 가노(家奴) 등을 모아 조직한 군대.
    豬: 돼지 突: 갑자기 豨: 멧돼지 勇: 날랠

  •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 갖옷의 털이 상할까하여 뒤집어 입고, 나무를 등(等)에 졌더니 도리어 갖옷이 못쓰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나 생각이 좁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反: 돌이킬 裘: 갖옷 而: 말 이을 負: 薪: 섶나무

  • 取適非取魚(취적비취어) : 낚시질을 하는 참뜻이 고기 잡는 데에 있지 않고 세상 생각을 잊고자 하는 데에 있다는 뜻으로, 어떤 행동의 목적이 거기에 있지 않고 다른 데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取: 취할 適: 非: 아닐 取: 취할 魚: 고기

  • 看雲步月(간운보월) :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看: 雲: 구름 步: 걸을 月:

  • 念佛三昧(념불삼매) : (1)염불로 잡념을 없애고, 제법 실상을 보기에 이르는 경지. (2)정토문에서, 일심으로 아미타불을 부르고 부처만을 생각하는 경지. (3)‘염불 삼매’의 북한어.
    佛: 부처 三: 昧: 어두울

  • 運數所關(운수소관) : 모든 일이 운수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運: 數: 所: 關: 빗장

  • 無分別智(무분별지) : 올바르게 진여(眞如)를 체득하는 지혜. 진여의 모양은 형용할 수도, 분별할 수도 없으므로 모든 생각과 분별을 초월한 참 지혜로서만 비로소 알 수 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無: 없을 分: 나눌 別: 나눌 智: 슬기

  • 心猿意馬(심원의마) : 마음은 원숭이 같고 뜻은 말이 뛰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번뇌로 중생의 마음이 잠시도 고요하지 못하고 언제나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心: 마음 猿: 원숭이 意: 馬:

  • 池魚之殃(지어지앙) : 못의 물고기에 미치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池: 魚: 고기 之: 殃: 재앙

  • 放言高論(방언고론) : 생각하는 대로 거리낌 없이 드러내 놓고 큰 소리로 논의함. 또는 그 말.
    放: 놓을 言: 말씀 高: 높을 論: 의논할

  • 刻船求劍(각선구검)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刻: 새길 船: 求: 구할 劍:

  • 生知安行(생지안행) : 천성이 총명하여 배우지 아니하고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쉽게 도(道)를 행함.
    生: 知: 安: 편안할 行:

  • 抑何心情(억하심정) : 도대체 무슨 심정이냐라는 뜻으로,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지 알 수 없거나 마음속 깊이 맺힌 마음을 이르는 말.
    抑: 누를 何: 어찌 心: 마음 情:

  • 綈袍戀戀(제포연연) :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우정이 두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위나라의 수가(須賈)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전에 허물이 없이 그에게 내쫓김을 당한 범저(范雎)가 재상(宰相)이면서도 짐짓 거지 행세를 하고 나타난 것을 보고 가엾이 여겨 옷 한 벌을 주었기 때문에, 범저로부터 이전의 죄를 용서받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綈: 袍: 핫옷

  • 愼終追遠(신종추원) : 상사(喪事)를 당하여 예절을 정중히 갖추고 조상의 덕을 생각하며 제사에 정성을 다함.
    愼: 삼갈 終: 끝날 追: 쫓을 遠:

  • 自己矛盾(자기모순) : 스스로의 생각이나 주장이 앞뒤가 맞지 아니함. 자기 자신의 정립에 대하여 동시에 그것을 폐기ㆍ부정하는 작용이 동일한 주체에 갖추어져 있는 일을 이른다.
    自: 스스로 己: 矛: 盾: 방패

1 3
#물건 136 #정도 153 #자식 104 #모습 66 #여자 101 #잘못 93 #표현 88 #태도 72 #훌륭 85 #사람 1461 #가난 90 #집안 93 #문장 59 #하늘 251 #가운데 104 #이익 89 #부모 136 #군자 56 #유래 280 #아내 81 #의지 69 #아침 72 #시대 114 #인간 65 #학문 107 #사이 200 #의미 1817 #마음 496 #서로 71 #예전 6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245개) : 사가, 사각, 사간, 사갈, 사감, 사갑, 사갓, 사강, 사개, 사객, 사갱, 사거, 사건, 사걸, 사검, 사겁, 사게, 사겍, 사격, 사견, 사결, 사경, 사계, 사고, 사곡, 사골, 사곳, 사공, 사과, 사관, 사광, 사괘, 사괴, 사교, 사굠, 사구, 사국, 사군, 사굴, 사궁, 사권, 사귀, 사규, 사그, 사극, 사근, 사금, 사급, 사긔, 사기, 사깅, 삭각, 삭감, 삭갑, 삭개, 삭거, 삭계, 삭고, 삭과, 삭관, 삭구, 삭금, 삭기, 삯김, 산가, 산각, 산간, 산감, 산갑, 산값, 산갓, 산강, 산개, 산객, 산거, 산견, 산경, 산계, 산고, 산곡, 산골, 산과, 산곽, 산관, 산광, 산괴, 산구, 산국, 산군, 산굴, 산굼, 산굽, 산궁, 산규, 산근, 산금, 산기, 산길, 산깁, 삳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