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468

  • 家和萬事成 획순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이 잘 이루어짐.
    家: 和: 고를 萬: 일만 事: 成: 이룰

  • 殆辱近恥 획순 殆辱近恥(태욕근치) : 총애(寵愛)를 받는다고 욕된 을 하면 머지 않아 위태(危殆)함과 치욕(恥辱)이 옴.
    殆: 위태할 辱: 욕될 近: 가까울 恥: 부끄러워할

  • 無常 획순 無常(무상) : (1)상주(常住)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나고 죽고 흥하고 망하는 것이 덧없음을 이르는 말. (2)모든 것이 덧없음. (3)정하지 않고 늘 변함.
    無: 없을 常: 항상

  • 耳懸鈴鼻懸鈴 획순 耳懸鈴鼻懸鈴(이현령비현령)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
    耳: 懸: 매달 鈴: 방울 鼻: 懸: 매달 鈴: 방울

  • 愚公移山 획순 愚公移山(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愚: 어리석을 公: 공변될 移: 옮을 山:

  • 自然選擇(자연선택) : 자연계에서 그 생활 조건에 적응하는 생물은 생존하고, 그러지 못한 생물은 저절로 사라지는 . 다윈이 도입한 개념이다.
    自: 스스로 然: 그러할 選: 가릴 擇: 가릴

  • 復命復唱(복명복창) :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復: 회복할 命: 목숨 復: 회복할 唱: 부를

  • 回光反照(회광반조) : 석양빛이 반사한다는 뜻으로, 등불이나 사람의 목숨이 다하려고 하는 마지막 한 때에 잠시 기운을 되차리는 을 의미함.
    回: 光: 反: 돌이킬 照: 비출

  • 戱綵娛親(희채오친) : 부러 채색 옷을 입고 어버이를 기쁘게 해드린다는 뜻으로, 노래자(老萊子)가 흔 살에 어버이 앞에서 무색옷을 입고 재롱을 부렸다는 고사에서, 어버이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 [= 彩衣娛親 (채의오친)].
    戱: 綵: 비단 娛: 즐길 親: 친할

  • 枉尺直尋(왕척직심) : 한 자를 굽혀서 여덟 자를 편다는 뜻으로, 조그만 양보로 큰 이득을 얻거나 작은 어려움을 참아 큰을 이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枉: 굽을 尺: 直: 곧을 尋: 찾을

  • 半字不成(반자불성) : (1)글자를 반만 쓰고 중간에 그만둠. (2)을 중도에서 그만두어 이루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半: 字: 글자 不: 아니 成: 이룰

  • 多事之秋(다사지추) : 이 많이 벌어진 때. 주로 국가적ㆍ사회적 이 벌어진 때를 이른다.
    多: 많을 事: 之: 秋: 가을

  • 驚弓之鳥(경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驚: 놀랄 弓: 之: 鳥:

  • 四十初襪(사십초말) : 사십에 첫 버선이라는 뜻으로, 나이 들어 처음으로 해 보는 을 이르는 말.
    四: 十: 初: 처음 襪: 버선

  • 逐鷄望籬(축계망리) :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맥이 빠진 경우를 이르는 말.
    逐: 쫓을 鷄: 望: 바랄 籬: 울타리

  • 萬事如意(만사여의) : 모든 이 뜻과 같음.
    萬: 일만 事: 如: 같을 意: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掃: 地: 黃: 누를 金: 出:

  • 雌伏(자복) : (1)새의 암컷이 수컷에게 복종한다는 뜻으로, 남에게 스스로 복종함을 이르는 말. (2)가만히 숨어 지냄.
    雌: 암컷 伏: 엎드릴

  • 屋下架屋(옥하가옥) : 지붕 아래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선인(先人)들이 이루어 놓은 을 후세의 사람들이 무익하게 거듭하여 발전한 바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屋: 下: 아래 架: 시렁 屋:

  • 到處狼狽(도처낭패) : (1)하는 마다 실패함. (2)가는 곳마다 변(變)을 만남.
    到: 이를 處: 머무를 狽: 짐승 이름

  • 無微不測(무미불측) : 아주 작은 까지 샅샅이 다 헤아림.
    無: 없을 微: 작을 不: 아니 測:

  • 武裝蜂起(무장봉기) : 지배자의 무력에 대항하여 피지배자가 무장을 하고 떼 지어 세차게 어나는 .
    武: 호반 裝: 꾸밀 蜂: 起: 일어날

  • 蛇無頭不行(사무두불행) : 뱀이 머리가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무리를 지어 횡행하는 자는 두목이 없으면 을 할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蛇: 無: 없을 頭: 머리 不: 아니 行:

  • 層生疊出(층생첩출) : 이 여러 가지로 겹쳐서 자꾸 생겨남.
    層: 生: 疊: 겹쳐질 出:

  • 自取其禍(자취기화) : 자기에게 재앙이 되는 을 함. 또는 그 로 화를 입게 됨.
    自: 스스로 取: 취할 其: 禍: 재난

  • 封庫罷職(봉고파직) : 어사나 감사가 못된 짓을 많이 한 고을의 원을 파면하고 관가의 창고를 봉하여 잠금. 또는 그런 .
    封: 봉할 庫: 곳집 罷: 그만둘 職: 벼슬

  • 樂天知命(낙천지명) : 천명(天命)을 깨달아 즐기면서 이에 순응(順應)하는 .
    天: 하늘 知: 命: 목숨

  • 事事件件(사사건건) : (1)해당되는 모든 또는 온갖 사건. (2)해당되는 모든 마다. 또는 매사에.
    事: 事: 件: 件:

  • 夜而忘寢(야이망침) : 밤이 되어도 잠자는 것을 잊었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에 열중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夜: 而: 말 이을 忘: 잊을 寢: 잠잘

  • 適本主義(적본주의) : 목적(目的)은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꾸미고, 실상(實相)은 그 하고자 하는 목적(目的)으로 나아가는 .
    適: 本: 主: 주인 義: 옳을

  • 抱炭希涼(포탄희량) : 불을 끼고 있으면서 시원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과 바라는 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炭: 希: 바랄 涼: 서늘할

  • 圖南(도남) : 대붕이 날개를 펴고 남명(南冥)으로 날아가려고 한다는 뜻으로, 웅대한 을 계획하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의 <소요유편(逍遙遊篇)>에 나오는 말이다.
    圖: 그림 南: 남녘

  • 慈悲忍辱(자비인욕) : 사랑하고 가엾게 여기며 욕됨과 고통을 참는 .
    慈: 사랑 悲: 슬플 忍: 참을 辱: 욕될

  • 到處春風(도처춘풍)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到: 이를 處: 머무를 春: 風: 바람

  • 破除萬事(파제만사) : 한 가지 에만 전력하기 위하여 다른 은 다 제쳐 놓음.
    破: 깨뜨릴 除: 萬: 일만 事:

  • 他人之宴曰梨曰栗(타인지연왈리왈률) : 남의 잔치에 배 놓아라 밤 놓아라 한다는 뜻으로, 남의 에 공연히 쓸데없는 참견(參見)을 한다는 뜻.
    他: 다를 人: 사람 之: 宴: 잔치 曰: 가로 梨: 배나무 曰: 가로 栗: 밤나무

  • 百郡秦幷(백군진병) : 진시황(秦始皇)이 천하(天下)를 봉군(封郡)하는 법(法)을 폐(廢)하고 백군(100郡)을 둠.
    百: 일백 郡: 고을 秦: 나라 이름 幷: 어우를

  • 或可或不可(혹가혹불가) : 혹은 옳다하고 혹은 옳지 않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은 옳다 하고 어떤 사람은 그르다 하여 가부(可否)가 결정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或: 可: 옳을 或: 不: 아니 可: 옳을

  • 在家無日(재가무일) : 바삐 돌아다니느라고 집에 있는 날이 없음.
    在: 있을 家: 無: 없을 日:

  • 慷慨之士(강개지사) : 세상의 옳지 못한 에 대하여 의분을 느끼고 탄식하는 사람.
    慷: 강개할 慨: 분개할 之: 士: 선비

  • 獨木橋冤家遭(독목교원가조) : 원수(怨讐)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회피(回避)할 수 없는 경우(境遇)를 가리킴. 이 나쁜 형태(形態)로 공교(工巧)롭게 마주치는 것을 이르는 말.
    獨: 홀로 木: 나무 橋: 다리 冤: 원통할 家: 遭: 만날

  • 作心三日(작심삼일) :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이르는 말.
    作: 지을 心: 마음 三: 日:

  • 一言居士(일언거사) : 말참견하기를 좋아하는 사람.
    一: 言: 말씀 居: 있을 士: 선비

  • 終身不齒(종신불치) : 그 사람을 한평생(-平生) 인간(人間)다운 대접(待接)을 해 주지 않는 .
    終: 끝날 身: 不: 아니 齒:

  • 不飛不鳴(불비불명) : 새가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을 하기 위하여 조용히 적절한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不: 아니 飛: 不: 아니 鳴:

  • 多事多難(다사다난) : 여러 가지 도 많고 어려움이나 탈도 많음.
    多: 많을 事: 多: 많을 難: 어려울

  • 萬覇不聽(만패불청) : 많은 패도 듣지 않는다는 뜻으로, 본래 바둑에서 큰 패가 생겼을 때 상대자가 어떤 패를 써도 응하지 않고 팻자리를 해소하는 인데, 후에 아무리 싸움을 걸려고 집적거려도 못들은 체 하고 응하지 않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萬: 일만 覇: 으뜸 不: 아니 聽: 들을

  • 長久之計(장구지계) : 어떤 이 오래 계속되도록 꾀하는 계책.
    長: 久: 오랠 之: 計:

  • 不恥下問(불치하문)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不: 아니 恥: 부끄러워할 下: 아래 問: 물을

  • 尙有良心(상유양심) : 악한 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尙: 오히려 有: 있을 心: 마음

  • 釜底抽薪(부저추신) :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釜: 가마 底: 抽: 薪: 섶나무

  • 無緣衆生(무연중생) : 불보살과 인연을 맺은 이 없는 중생.
    無: 없을 緣: 가선 衆: 무리 生:

  • 三十而立(삼십이립) : 서른 살이 되어 자립을 한다는 뜻으로,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이다.
    三: 十: 而: 말 이을 立:

  • 却之不恭(각지불공) : 주는 것을 거절하여 물리치는 은 공손하지 못함.
    却: 물리칠 之: 不: 아니 恭: 공손할

  • 半上落下(반상낙하) : 처음에는 성의껏 하다가 중도에 그만두어 이루지 못함.
    半: 上: 下: 아래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家: 有: 있을 賢: 어질 妻: 아내 丈: 어른 夫: 지아비 不: 아닌가 遭: 만날 橫: 가로 事:

  • 本願往生(본원왕생) : 부처의 발원으로 구제를 받아 극락에 왕생하는 .
    本: 願: 원할 往: 生:

  • 錦上添花(금상첨화) :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위에 또 좋은 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錦: 비단 上: 添: 더할 花:

  • 難行苦行(난행고행) : (1)아주 심하게 고생함. (2)몹시 괴로운 수행.
    難: 어려울 行: 苦: 行:

  • 恫疑虛喝(통의허갈) : 두려워하면서 헛되게 소리친다는 뜻으로, 속으로는 떨면서 겉으로 위협함을 이르거나, 숨을 헐떡거리며 두려워하는 을 이르는 말.
    恫: 상심할 疑: 의심할 虛: 喝: 꾸짖을

  • 不可抗力(불가항력) : (1)사람의 힘으로는 저항할 수 없는 힘. (2)외부의 사건에서 거래 관념상의 가능한 주의와 예방으로도 막을 수 없는 .
    不: 아니 可: 옳을 抗: 막을 力:

  • 先失其道(선실기도) : 어떤 을 할 때 먼저 그 방법을 그르침.
    先: 먼저 失: 잃을 其: 道:

  • 乾坤一擲(건곤일척) : 주사위를 던져 승패를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룸을 이르는 말.
    乾: 마를 坤: 곤괘 一: 擲: 던질

  • 伐齊爲名(벌제위명) : 겉으로는 어떤 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伐: 齊: 가지런할 爲: 名: 이름

  • 道謀是用(도모시용)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道: 謀: 꾀할 是: 옳을 用:

  • 治山治水(치산치수) : 산과 내를 잘 관리하고 돌봐서 가뭄이나 홍수 따위의 재해를 입지 아니하도록 예방함. 또는 그런 .
    治: 다스릴 山: 治: 다스릴 水:

  • 興盡悲來(흥진비래) : 즐거운 이 다하면 슬픈 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세상은 순환되는 것임을 이르는 말.
    興: 盡: 다할 悲: 슬플 來:

  • 左脯右醯(좌포우혜)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 .
    左: 脯: 右: 오른쪽 醯:

  • 得意揚揚(득의양양) :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냄.
    得: 얻을 意: 揚: 오를 揚: 오를

  • 匪石之心(비석지심) : 돌처럼 단단하여 어떤 에 쉽게 동요하지 않는 마음을 이르는 말.
    匪: 비적 石: 之: 心: 마음

  • 事半功倍(사반공배) : 들인 노력은 적고 얻은 성과는 큼.
    事: 半: 功: 倍:

  • 照松之勤(조송지근) : 소나무에 비춘 부지런함이라는 뜻으로, 등불을 켤 돈이 없어서 관솔불[송진이 많이 엉긴 소나무 가지나 옹이에 붙인 불]에 비춰 글을 읽는 에서 면학(勉學)에 간절함을 이르는 말.
    照: 비출 松: 之: 勤: 부지런할

  • 街童走卒(가동주졸) :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街: 거리 童: 아이 走: 달릴 卒: 군사

  • 波瀾萬丈(파란만장) : 사람의 생활이나 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波: 물결 瀾: 물결 萬: 일만 丈: 어른

  • 放蕩無賴(방탕무뢰) : 술과 여자(女子)에 빠져 은 하지 아니하고 불량(不良)한 짓만 함.
    放: 놓을 蕩: 쓸어없앨 無: 없을 賴: 힘입을

  • 亦參其中(역참기중) : 남의 에 또한 참여함.
    亦: 參: 참여할 其: 中: 가운데

  • 暮夜無知(모야무지) : 이슥한 밤에 하는 이라서 보고 듣는 사람이 없거나 알 사람이 없음.
    暮: 저물 夜: 無: 없을 知:

  • 塵飯塗羹(진반도갱) : 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塵: 티끌 飯: 塗: 진흙 羹:

  • 一箭雙雕(일전쌍조) : 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 수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로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는 의미.
    一: 箭: 화살 雙: 雕: 독수리

  • 遠禍召福(원화소복) : 화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임.
    遠: 禍: 재난 召: 부를 福:

  • 自讚(자찬) : 자기를 스스로 칭찬함.
    自: 스스로 讚: 기릴

  • 咳唾成珠(해타성주) :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咳: 기침 唾: 成: 이룰 珠: 구슬

  • 名譽毁損(명예훼손) : 다른 사람의 이름이나 인격, 신분 등의 사회적 평가에 해를 끼쳐 손해를 입히는 .
    名: 이름 譽: 기릴 毁: 損:

  • 與世無涉(여세무섭) : 세상과 상관이 없음. 또는 세상에 관여하지 않음.
    與: 世: 인간 無: 없을 涉: 건널

  • 福緣善慶(복연선경) : 복(福)은 착한 에서 오는 것이니, 착한 을 하면 경사(慶事)가 옴.
    福: 緣: 가선 善: 착할 慶: 경사

  • 第看下回(제간하회) : 나중에 결과가 나타나게 되는 .
    第: 차례 看: 下: 아래 回:

  • 蛇心佛口(사심불구) :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蛇: 心: 마음 佛: 부처 口:

  • 輕車熟路(경거숙로) : 가볍고 빠른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에 숙달하여 조금도 막힘이나 머뭇거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輕: 가벼울 車: 수레 熟: 익을 路:

  • 謝恩肅拜(사은숙배) :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
    謝: 사례할 恩: 은혜 肅: 엄숙할 拜:

  • 愼終如始(신종여시) : 끝을 신중하게 하는 것을 마치 처음 같이 한다는 뜻으로, 의 종말(終末)에 이르러서도 처음과 같이 마음을 늦추지 않고 애쓴다는 의미.
    愼: 삼갈 終: 끝날 如: 같을 始: 처음

  • 藥房甘草(약방감초) : 약방의 감초라는 뜻으로, 어느 이나 사건에 끼어 들어 앞장서서 해결사 노릇을 하며 잘난 체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藥: 房: 甘: 草:

  • 非一非再(비일비재) : 같은 현상이나 이 한두 번이나 한둘이 아니고 많음.
    非: 아닐 一: 非: 아닐 再:

  • 應接無暇(응접무가) : 응접에 바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이 몹시 바쁜 상태를 이르는 말.
    應: 응할 接: 사귈 無: 없을 暇: 겨를

  • 喜喜樂樂(희희낙락) :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
    喜: 기쁠 喜: 기쁠 樂: 즐거울

  • 忘年之交(망년지교)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忘: 잊을 年: 之: 交: 사귈

  • 事勢固然(사세고연) : 의 형세가 본디 그러함.
    事: 勢: 기세 固: 굳을 然: 그러할

  • 勿輕小事(물경소사) : 작은 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는 뜻으로, 사소한 이라 하더라도 신중하게 대처하라는 의미.
    勿: 輕: 가벼울 小: 작을 事:

  • 內助之賢(내조지현) : 아내가 집안 을 잘 다스려 남편(男便)을 돕는 을 말함.
    內: 助: 도울 之: 賢: 어질

  • 白面書郞(백면서랑) : (1) 희고 고운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이란 뜻 (2) 세상(世上-)에 조금도 경험(經驗)이 없는 사람.
    白: 面: 書: 郞: 사내

  • 兄肥弟瘦(형비제수) : 형은 살찌고 아우는 마르다는 뜻으로, 형제의 신분이 다름을 이르거나, 형은 동생 대신 동생은 형 대신 서로 돕는 의 의미로 사용됨.
    兄: 肥: 살찔 弟: 아우 瘦: 파리할

1 2 4 5 6
#근심 65 #음식 79 #하늘 251 #형제 68 #재앙 64 #사물 172 #죽음 73 #모습 66 #부모 136 #싸움 61 #천하 94 #생각 236 #정도 153 #사랑 91 #물건 136 #어머니 72 #나무 166 #자리 94 #근본 66 #비유 1177 #임금 189 #훌륭 85 #의지 69 #가운데 104 #여자 101 #재능 61 #조금 96 #백성 105 #소리 96 #머리 14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