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468

  • 藏頭隱尾 획순 藏頭隱尾(장두은미) :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뜻으로, 의 전말을 분명히 밝히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藏: 감출 頭: 머리 隱: 숨을 尾: 꼬리

  • 四十而不惑 획순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 : 나이 사십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의 도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어 어떠한 에도 의혹되는 이 없었다는 공자의 말로, '不惑'은 나이 40세로 사용됨. [ 不惑之年(불혹지년) ].
    四: 十: 而: 말 이을 不: 아니 惑: 미혹할

  • 氾愛兼利 획순 氾愛兼利(범애겸리) :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氾: 넘칠 愛: 사랑 兼: 겸할 利: 날카로울

  • 悔過遷善 획순 悔過遷善(회과천선) : 잘못을 뉘우치고 착한 을 하게 됨.
    悔: 뉘우칠 過: 지날 遷: 옮길 善: 착할

  • 葛藤 획순 葛藤(갈등) : (1)칡과 등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서로 적대시하거나 충돌함. 또는 그런 상태. (2)소설이나 희곡에서, 등장인물 사이에 어나는 대립과 충돌 또는 등장인물과 환경 사이의 모순과 대립을 이르는 말. (3)두 가지 이상의 상반되는 요구나 욕구, 기회 또는 목표에 직면하였을 때, 선택을 하지 못하고 괴로워함. 또는 그런 상태.
    葛: 藤: 등나무

  • 掩目捕雀(엄목포작) :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아주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掩: 가릴 目: 捕: 잡을 雀: 참새

  • 如反掌(여반장) : 손바닥을 뒤집는 것 같다는 뜻으로, 이 매우 쉬움을 이르는 말.
    如: 같을 反: 돌이킬 掌: 손바닥

  • 茫然自失(망연자실) : 멍하니 정신을 잃음.
    茫: 아득할 然: 그러할 自: 스스로 失: 잃을

  • 方圓可施(방원가시) : 方形(방형)에나 원형(圓形)에나 다 잘 들어맞다는 뜻으로, 갖가지 재능(才能)이 있어서 어떤 에도 적합(適合)함을 이르는 말.
    方: 圓: 둥글 可: 옳을 施: 베풀

  • 學業精進(학업정진) : 배우는 에 정성(精誠)을 다해 몰두(沒頭)함.
    學: 배울 業: 精: 정미할 進: 나아갈

  • 波瀾曲折(파란곡절) : 사람의 생활이나 의 진행에서 어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시련. 또는 그런 변화.
    波: 물결 瀾: 물결 曲: 굽을 折: 꺾을

  • 沙鉢農事(사발농사) : 사발로 짓는 농사라는 뜻으로, 을 하지 아니하고 밥을 빌어먹는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沙: 모래 鉢: 바리때 農: 농사 事:

  • 恒産恒心(항산항심) : 정(一定)한 생산(生産)이 있으면 마음이 변(變)치 않는다는 뜻으로, 정(一定)한 직업(職業)과 재산(財産)을 가진 자는 마음에 그만 큼 여유(餘裕)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자는 정신적(精神的)으로 늘 불안정(不安定)하여 하찮은 에도 동요함을 이르는 말.
    恒: 항상 産: 낳을 恒: 항상 心: 마음

  • 人定勝天(인정승천) : 사람이 노력하면 하늘을 이길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노력을 하면 어떤 어려운 도 극복할 수 있어 인력(人力)은 능히 운명을 만회(挽回)할 수 있다는 의미.
    人: 사람 定: 정할 勝: 이길 天: 하늘

  • 百代之親(백대지친) : 먼 조상 때부터 가까이 지내 온 집안 사이의 친분.
    百: 일백 代: 대신 之: 親: 친할

  • 魯魚之謬(노어지류) : 노(魯)와 어(魚)는 글자 모양(模樣)이 비슷해 틀리기 쉽다는 뜻으로, 글자를 잘못 쓰는 을 이르는 말.
    魚: 고기 之: 謬: 그릇될

  • 難事必作易(난사필작이) : 어려운 은 반드시 쉬운 에서 생겨난다는 말.
    難: 어려울 事: 必: 반드시 作: 지을 易: 쉬울

  • 燈臺不自照(등대부자조) : 등대는 자신을 비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남의 은 잘 보이나 자신의 은 도리어 잘 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燈: 등불 臺: 不: 아닌가 自: 스스로 照: 비출

  • 福生於微(복생어미) :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福: 生: 於: 어조사 微: 작을

  • 當局者迷(당국자미) : 을 담당한 사람이 미혹된다는 뜻으로, 방관자(傍觀者)보다 직접 담당자가 사리의 판단에 더 어둡다는 의미. ‘燈下不明(등하불명)’의 비유적 표현.
    當: 마땅할 局: 者: 迷: 미혹할

  • 閉門造車(폐문조거) :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閉: 닫을 門: 造: 지을 車: 수레

  • 三年不蜚不鳴(삼년불비불명) : 새가 삼 년 간을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뒷날에 큰 을 하기 위(爲)하여 침착(沈着)하게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三: 年: 不: 아니 蜚: 바퀴 不: 아니 鳴:

  • 南行北走(남행북주) : 이리저리 바삐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南: 남녘 行: 北: 북녘 走: 달릴

  • 上山求魚(상산구어) : 산 위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上: 山: 求: 구할 魚: 고기

  • 賣鹽逢雨(매염봉우) : 소금을 팔다가 비를 만났다는 뜻으로, 하려는 에 뜻하지 아니한 장애가 생기게 됨을 이르는 말.
    賣: 鹽: 소금 逢: 만날 雨:

  • 得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들을 잊어버림을 이르는 말. ≪장자≫의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말이다.
    得: 얻을 魚: 고기 忘: 잊을 筌: 통발

  • 富卽多事(부즉다사) : 돈이나 재물(財物)이 많으면 도 많음.
    富: 가멸 卽: 多: 많을 事:

  • 守常不變(수상불변) : 떳떳함을 지켜 변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정당한 도리(道理)를 지키며 부당한 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守: 지킬 常: 항상 不: 아니 變: 변할

  • 食不二味(식불이미) : 먹을 것이 두 맛을 아니라는 뜻으로, 반찬 한 가지로 만족하고 두 가지를 차리지 않는 검약(儉約)하는 의 의미.
    食: 不: 아니 二: 味:

  • 子爲父隱(자위부은) :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숨긴다는 뜻으로, 자식이 타인을 위해 아비의 나쁜 을 숨기는 것처럼 부자간의 천륜(天倫)을 컫는 말. <論語>.
    子: 아들 爲: 父: 아비 隱: 숨을

  • 分段同居(분단동거) : 부처와 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분단생사하는 세계에서 범부와 함께 사는 .
    分: 나눌 段: 구분 同: 한가지 居: 있을

  • 臨陣易將(임진역장) : 전쟁터에서 장수를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이 생겼을 때 그 에 알맞은 자격을 지닌 사람을 쓰지 아니하고 자격을 지니지 못한 사람을 씀을 이르는 말.
    陣: 진칠 易: 바꿀 將: 장수

  •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 : 닭을 가르는 데에 소잡는 큰 칼을 쓸 필요(必要)까지는 없다는 뜻으로, 조그만 을 처리(處理)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手段)을 쓸 필요(必要)는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割: 나눌 鷄: 焉: 어찌 用: 牛: 刀:

  • 治而不忘亂(치이불망란) : 다스려질 때 어지러워짐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먼 훗날의 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治: 다스릴 而: 말 이을 不: 아니 忘: 잊을 亂: 어지러울

  • 秋分(추분) : 이십사절기의 하나.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들며, 해가 추분점에 이르러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진다. 9월 23경이다.
    秋: 가을 分: 나눌

  • 推此可知(추차가지) : 이 로 미루어 다른 을 알 수 있음.
    推: 옮을 此: 可: 옳을 知:

  • 止足之戒(지족지계) : 그치고 만족하는 경계라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만족할 때 만족하여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 의 의미.
    止: 그칠 足: 之: 戒: 경계할

  • 三日點考(삼일점고) : 수령(守令)이 부임한 뒤 사흘 되는 날에 관속을 점고하던 .
    三: 日: 點: 考: 상고할

  • 濫觴(남상) : (1)‘남상’의 북한어. (2)양쯔강(揚子江) 같은 큰 하천의 근원도 잔을 띄울 만큼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처음이나 기원을 이르는 말.
    觴:

  • 精勵恪勤(정려각근) : 삼가 게을리 하지 않고 에 힘씀.
    精: 정미할 勵: 힘쓸 恪: 삼갈 勤: 부지런할

  • 醉死(취사) : (1)술에 취하여 죽음. (2)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醉: 취할 死: 죽을

  • 雁行(안행) : (1)기러기의 행렬이란 뜻으로, 남의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2)기러기의 행렬이란 뜻으로, 남의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안항’이다.
    雁: 기러기 行:

  • 傷弓之鳥(상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傷: 다칠 弓: 之: 鳥:

  • 一葉知秋(일엽지추) : 하나의 나뭇잎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안다는 뜻으로, 조그마한 을 가지고 장차 올 을 미리 짐작함. ≪회남자(淮南子)≫ <설산훈편(說山訓篇)>에서 유래한다.
    一: 葉: 知: 秋: 가을

  • 埋頭沒身(매두몰신) : (1)머리와 몸이 파묻혔다는 뜻으로, 에 파묻혀 헤어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에 매달려 물러날 줄 모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埋: 묻을 頭: 머리 沒: 빠질 身:

  • 每事可堪(매사가감) : 어떤 이라도 감당할 만함.
    每: 매양 事: 可: 옳을 堪: 견딜

  • 百事不成(백사불성) : 여러 가지 이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하는 마다 실패하여 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百: 일백 事: 不: 아니 成: 이룰

  • 黃河千年一淸(황하천년일청) : 황하(黃河)가 천년에 한번쯤 맑아질는지도 모르겠다는 뜻으로, (1) 성인(聖人)의 탄생(誕生)이 이처럼 어려움 (2) 이루어지기 힘든 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黃: 누를 河: 강 이름 千: 일천 年: 一: 淸: 맑을

  • 事勢當然(사세당연) : 의 형세가 본디 그러함.
    事: 勢: 기세 當: 마땅할 然: 그러할

  • 慮無所不到(여무소부도) : 생각이 이르지 않는 바가 없다는 뜻으로, 모든 에 생각이 미치지 않는 데가 없이 아주 세밀하게 함을 이르는 말.
    無: 없을 所: 不: 아닌가 到: 이를

  • 首鼠兩端(수서양단) :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首: 머리 鼠: 端: 바를

  • 小隙沈舟(소극침주) : 조그만 틈으로 물이 새어 들어 배가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작은 을 게을리하면 큰 재앙이 닥치게 됨을 이르는 말.
    小: 작을 隙: 沈: 잠길 舟:

  • 不當之事(부당지사) : 이치에 맞지 아니한 .
    不: 아닌가 當: 마땅할 之: 事:

  • 茶飯事(다반사) :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이라는 뜻으로,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을 이르는 말.
    茶: 飯: 事:

  • 絲來線去(사래선거) : 이 얽히고설켜 몹시 번거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絲: 來: 線: 去:

  • 自將擊之(자장격지) : (1)남에게 시키지 아니하고 손수 함. (2)자기 스스로 군사를 거느리고 나아가 싸움.
    自: 스스로 將: 장수 擊: 之:

  • 至誠感天(지성감천) : 지극한 정성은 하늘을 감동시킨다는 뜻으로, 무슨 에든 정성을 다하면 아주 어려운 도 순조롭게 풀리어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다는 말.
    至: 이를 誠: 정성 感: 느낄 天: 하늘

  • 陸地行船(육지행선) : 육지에서 배를 저으려 한다는 뜻으로, 안되는 을 억지로 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地: 行: 船:

  • 三始(삼시) : 연(年)ㆍ월(月)ㆍ(日)의 처음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의 아침을 이르는 말.
    三: 始: 처음

  • 半身不隨(반신불수) : 병이나 사고로 반신이 마비되는 . 또는 그런 사람.
    半: 身: 不: 아니 隨: 따를

  • 射幸數跌(사행삭질) : 요행(僥倖)을 노려 쏘는 화살은 번번이 차질(蹉跌)을 으킨다는 뜻으로, 사행심(射倖心)으로 하는 행위는 성취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射: 幸: 다행할 數: 자주 跌: 넘어질

  • 前途遙遠(전도요원) : (1)가야 할 길이 아득히 멂. (2)장래가 창창하게 멂.
    前: 途: 遙: 遠:

  • 白面郞(백면랑) : (1) 희고 고운 얼굴에 글만 읽는 사람이란 뜻 (2) 세상(世上-)에 조금도 경험(經驗)이 없는 사람.
    白: 面: 郞: 사내

  • 狐濡尾(호유미) : 여우가 물을 건너려다 겨우 꼬리만 적시고 그만두었다는 뜻으로, 어떤 이 시작과 동시에 중단됨을 이르는 말.
    狐: 여우 濡: 젖을 尾: 꼬리

  • 國恥民辱(국치민욕) : 나라의 부끄러움과 백성의 욕됨. 외세에 국권이 농락당하는 것을 이른다.
    國: 나라 恥: 부끄러워할 民: 백성 辱: 욕될

  • 創業守文(창업수문) : 어떤 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는 뜻.
    創: 비롯할 業: 守: 지킬 文: 글월

  • 見善如渴(견선여갈) : 착한 을 보기를 마치 목마른 것같이 하라는 뜻.
    見: 善: 착할 如: 같을 渴: 목마를

  • 妨工害事(방공해사) : 남의 에 헤살을 놓아 해롭게 함.
    妨: 방해할 工: 장인 害: 해칠 事:

  • 大言不慙(대언불참) : 큰소리만 내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실천 못할 을 말로만 떠들어대면서도 부끄러운 줄 모르는 것을 이르는 말.
    大: 言: 말씀 不: 아니 慙: 부끄러울

  • 相互扶助(상호부조) : 공동생활에서 개인들끼리 서로 돕는 . 사회 진화의 근본적 동력이 된다.
    相: 서로 互: 서로 扶: 도울 助: 도울

  • 蓋棺事定(개관사정) : 시체를 관에 넣고 뚜껑을 덮은 후에야 을 결정할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죽은 후에야 비로소 그 사람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됨을 이르는 말.
    蓋: 덮을 棺: 事: 定: 정할

  • 身邊雜記(신변잡기) : 자신의 주변에서 어나는 여러 가지 을 적은 수필체의 글.
    身: 邊: 雜: 섞일 記: 적을

  • 晝寢夜梳(주침야소) : 낮잠 자는 과 밤에 하는 빗질이라는 뜻으로, 위생에 해로운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晝: 寢: 잠잘 夜: 梳:

  • 豁然大悟(활연대오) : 마음이 활짝 열리듯이 크게 깨달음을 얻는 .
    豁: 뚫린 골 然: 그러할 大: 悟: 깨달을

  • 之東之西(지동지서) : 동쪽으로도 가고 서쪽으로도 간다는 뜻으로, 뚜렷한 목적 없이 이리저리 갈팡질팡함을 이르는 말.
    之: 東: 동녘 之: 西: 서녘

  • 師心自用(사심자용) : 마음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쓴다는 뜻으로, 자기가 생각하는 은 다 옳다 하여 그대로만 하고 남의 말은 귀기울이지 않는다는 의미.
    師: 스승 心: 마음 自: 스스로 用:

  • 已發之矢(이발지시) : 이미 쏘아 놓은 화살이라는 뜻으로, 이왕에 시작한 이라 중도에 그만두기 어려운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已: 그칠 發: 之: 矢: 화살

  • 以長補短(이장보단) : 장점을 단점에 보탠다는 뜻으로, 남의 장점을 보고서 나의 단점을 고치는 을 이르는 말.
    以: 長: 補: 기울 短: 짧을

  • 活殺自在(활살자재) : 살리고 죽임을 마음대로 할 수 있음.
    活: 殺: 죽일 自: 스스로 在: 있을

  • 年少成冠(연소성관) : 젊은 나이에 관례를 치르는 .
    少: 적을 成: 이룰 冠:

  • 越津乘船(월진승선) : 나루를 건너고 나서 배를 탄다는 뜻으로, 을 순서대로 하지 않고 거꾸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越: 넘을 津: 나루 乘: 船:

  • 能手能幹(능수능간) : 을 잘 해치우는 재간과 익숙한 솜씨.
    能: 능할 手: 能: 능할 幹: 줄기

  • 氣高萬丈(기고만장) : (1)펄펄 뛸 만큼 대단히 성이 남. (2)이 뜻대로 잘될 때, 우쭐하여 뽐내는 기세가 대단함.
    氣: 기운 高: 높을 萬: 일만 丈: 어른

  • 上求菩提(상구보리) :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노력하는 .
    上: 求: 구할 菩: 보살

  • 量體裁衣(양체재의) : 몸에 맞게 옷을 고친다는 뜻으로, 의 처한 형편(形便)에 따라 적합(適合)하게 을 처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體: 裁: 마를 衣:

  • 彼一時此一時(피일시차일시) : 그때는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이다라는 뜻으로, 저때 한 과 이때 한 이 서로 사정이 다름을 이르는 말.
    彼: 一: 時: 此: 一: 時:

  • 慶弔相問(경조상문) : 경사스러운 은 서로 축하하고 불행한 은 서로 위문함.
    慶: 경사 弔: 조상할 相: 서로 問: 물을

  • 天網恢恢疎而不失(천망회회소이불실) : 하늘이 친 그물은 눈이 성기지만 그래도 굉장히 넓어서 악인(惡人)에게 벌(罰)을 주는 을 빠뜨리지 않음.
    天: 하늘 網: 그물 恢: 넓을 恢: 넓을 疎: 트일 而: 말 이을 不: 아니 失: 잃을

  • 難中之難(난중지난) : 어려운 가운데서도 가장 어려움.
    難: 어려울 中: 가운데 之: 難: 어려울

  • 自作自受(자작자수) : 자기가 저지른 죄로 자기가 그 악과(惡果)를 받음.
    自: 스스로 作: 지을 自: 스스로 受: 받을

  • 方便道德(방편도덕) :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 못하고 다른 것의 수단이 되는 도덕.
    方: 便: 편할 道: 德:

  • 七旬(칠순) : (1)흔 날. (2)흔 살.
    七: 일곱 旬: 열흘

  • 經國大業(경국대업) : 나라를 다스리는 큰 .
    經: 지날 國: 나라 大: 業:

  • 神氣漏泄(신기누설) : 신묘한 계기(契機)나 기략(機略)을 누설한다는 뜻으로, 비밀히 한 을 누설함을 이르는 말.
    神: 氣: 기운 泄:

  • 背恩忘德(배은망덕) : 남에게 입은 은덕을 저버리고 배신하는 태도가 있음.
    背: 恩: 은혜 忘: 잊을 德:

  • 桑田碧海(상전벽해) :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桑: 뽕나무 田: 碧: 푸를 海: 바다

  • 農時方劇(농시방극) : 농사철이 되어 이 한창 바쁨.
    農: 농사 時: 方: 劇: 심할

  • 天日照臨(천일조림) : (1)하늘과 해가 내려다본다는 뜻으로, 속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2)임금이 잘 살펴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日: 照: 비출 臨: 임할

  • 開示悟入(개시오입) : 부처가 이 세상에 출현한 네 가지 뜻. 중생이 진리를 열고, 보고, 깨닫고, 그 길에 들게 하는 이다.
    開: 示: 보일 悟: 깨달을 入:

  • 感而遂通(감이수통) : 점괘에서 신(神)이 감응하여 모든 이 통함.
    感: 느낄 而: 말 이을 遂: 드디어 通: 통할

1 2 3 5 6 7
#자신 208 #나이 97 #동안 70 #경우 64 #경계 56 #아래 86 #고사 108 #문장 59 #관계 90 #태도 72 #생활 82 #재능 61 #방법 59 #잘못 93 #예전 60 #행동 137 #따위 228 #부부 76 #근심 65 #모양 142 #은혜 70 #천하 94 #편안 62 #이익 89 #사랑 91 #사용 312 #목숨 58 #상대 56 #얼굴 99 #싸움 6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