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레굿 장수거리굿 내당굿 뜰항굿 광대굿 뿔굿뿔굿 콩노굿 방틀굿 오기굿 집구리굿 외마치질굿 대거리굿 우환굿 당산굿굿 싯겜굿굿 낙성굿 새암굿 오귀굿굿 탈복굿 기신굿 을자진굿 우물굿 제왕굿 지신굿 맞이굿굿 천왕굿 전야굿 결혼굿 동맞이굿 고사굿 미지기굿 강낭굿 방심굿 허천굿 노래굿굿 거리굿 망월굿 쪽박굿 사례굿 되풀이진굿 띠배굿 퇴송굿 대상씻김굿 장진굿 물롱굿 대보름굿 축원굿 풍류굿 흘림당산굿

굿

나는 단어

두레굿

(1)‘풍물놀이’를 달리 이르는 말.


장수거리굿

(1)환자에게 붙은 역신을 쫓기 위하여 무당이 갑옷을 입고 창과 활로 무장한 다음 말을 타고 하는 굿.


내당굿

(1)안방이나 대청에서 성주신, 조상신, 삼신에게 먼저 굿을 고하는 절차. (2)안당 앞에 굿상을 차려 놓고 밖에서 떠도는 서낭신, 손님신 따위를 모셔다 놓고 하는 굿.


뜰항굿

(1)‘홍역’의 방언


광대굿

(1)농악 십이채 가운데 상쇠의 개인 놀이 가락.


"굿" 끝 단어: 1쪽

뿔굿뿔굿

(1)‘뿔긋뿔긋’의 방언


콩노굿

(1)콩의 꽃.


방틀굿

(1)땅속으로 곧게 파 내려가 ‘井’ 자 모양으로 만든 방틀을 쌓아 올린 광산 구덩이.


오기굿

(1)‘오구굿’의 방언


집구리굿

(1)농악 십이채 가운데 보통의 굿 가락.


"굿" 끝 단어: 2쪽

외마치질굿

(1)호남 지방의 풍물놀이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대거리굿

(1)별신굿 절차의 맨 마지막에 굿에 따라 든 잡귀들을 풀어먹이는 굿. 1인극으로 엮은 긴 대사가 들어가며 험하게 죽은 여러 귀신의 모습을 흉내 내면서 한을 풀어준다.


우환굿

(1)집안에 우환이 있을 때에 하는 굿.


당산굿

(1)당산에서 마을을 위하여 제사를 지낼 때에, 풍물놀이를 하며 노는 굿.


안굿

(1)안방이나 대청에서 성주신, 조상신, 삼신에게 먼저 굿을 고하는 절차.


"굿" 끝 단어: 3쪽

싯겜굿

(1)‘씻김굿’의 방언


은산 별신굿

(1)충청남도 부여군 은산에서 수호신에게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별신굿. 진대베기, 꽃받기, 상당굿, 당상강신굿, 하당굿, 독산제, 장신제 따위의 차례로 구성된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은산 별신제’이다.


풋굿

(1)농가에서 농사일, 특히 논매기의 만물을 끝낸 음력 7월쯤에 날을 받아 하루를 즐겨 노는 일. ⇒규범 표기는 ‘호미씻이’이다.


낙성굿

(1)집을 다 짓고 나서 하는 굿.


새암굿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규범 표기는 ‘샘굿’이다.


"굿" 끝 단어: 4쪽

오귀굿

(1)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하여 극락왕생을 하기를 비는 굿. 대개 죽은 지 한 해나 두 해 뒤에 한다. ⇒규범 표기는 ‘오구굿’이다.


버굿

(1)‘보굿’의 옛말.


탈복굿

(1)전라도 풍물놀이 판굿에서, 농악대원 모두가 농악복을 벗으면서 하는 놀이.


기신굿

(1)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을자진굿

(1)농악대원들이 을자진을 치는 놀이.


"굿" 끝 단어: 5쪽

우물굿

(1)마을의 공동 우물에 물이 잘 나오라고 치성을 드리는 일. 음력 정월 중 수신(水神)이 내려오는 날을 점쳐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 세 명이 한밤중에 우물가에서 드린다.


제왕굿

(1)삼신에게 아기를 낳게 해 달라고 또는 낳은 뒤에 오래 살게 해 달라고 비는 굿.


지신굿

(1)땅을 다스리는 신령을 위하는 굿.


맞이굿

(1)‘영고’의 방언


숫굿

(1)‘숯가마’의 방언


"굿" 끝 단어: 6쪽

천왕굿

(1)동해안(東海岸) 지역에서 행하는 별신굿의 한 거리.


전야굿

(1)기념일의 전날 밤에 하는 굿.


결혼굿

(1)진도 씻김굿의 하나. 총각과 처녀로 죽은 넋을 달래 준다. 총각의 무덤을 처녀의 무덤 옆으로 옮기거나 서로 합장하여 혼인 시킨 뒤, 그날 밤 총각 집 뜰에 차일을 두 곳에 치고 각각 넋을 씻긴다.


동맞이굿

(1)경상남도 진주, 사천 지방의 풍물놀이에 나오는 가락의 이름.


고사굿

(1)강원도에서 음력 정월에 의식으로 하는 풍물.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면서 한 해의 복을 빌어 주는 행사로서 경상 지신밟기, 전라 지신밟기에 해당한다.


"굿" 끝 단어: 7쪽

미지기굿

(1)전라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한 줄은 상쇠가, 한 줄은 부쇠가 앞에 서서 서로 마주 보고 상쇠 둘이 전진하면 부쇠 둘이 물러나고 부쇠 둘이 전진하면 상쇠 둘이 물러나며 하는 놀이이다.


강낭굿

(1)풋옥수수를 이삭 껍질째로 쪄 내는 일


평안도 다리굿

(1)고려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도 지방에 정착된 사령 천도굿.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이 죽은 뒤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방심굿

(1)지노귀굿 절차의 하나.


허천굿

(1)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굿" 끝 단어: 8쪽

노래굿

(1)호남(湖南) 풍물놀이에서, 상쇠가 전원을 한 줄로 세워 놓고 진양조장단으로 소리를 하는 과정.


판굿

(1)걸립패나 두레패들이 넓은 마당에서 갖가지 풍물을 갖추고 순서대로 재주를 부리며 노는 풍물놀이.


남해안 별신굿

(1)남해안의 거제, 통영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 마을과 도서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별신굿.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는 굿으로, 주로 음력 정월 초에 거행된다.


거리굿

(1)길에서 하는 굿. (2)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마지막 날 마을 앞길에 제물을 차려 놓고 하는 굿. (3)동해안 별신굿의 맨 마지막 거리. 잡신을 풀어 먹여 보낸다. (4)굿에 모였던 귀신들에게 밥을 주고 경문을 읽어 마지막으로 귀신들을 보내는 굿.


망월굿

(1)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에 달집에 불을 지르며 노는 풍속. 달집이 훨훨 타야만 마을이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한다. 그해 액운이 든 사람의 저고리 동정이나 동정에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붙여 함께 태우기도 한다.


"굿" 끝 단어: 9쪽

평안 다리굿

(1)고려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도 지방에 정착된 사령 천도굿. 죽은 사람의 영혼이 극락으로 가기를 염원하거나 생존한 노인이 죽은 뒤 극락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쪽박굿

(1)돌림병이 돌 때, 집집마다 마루나 토방에 쪽박을 문질러 그 요란한 소리로 병마를 놀래어 쫓는 굿. 바가지 대신 베 짜는 북을 문지르기도 한다.


사례굿

(1)굿을 하고 난 후 소원이 이루어졌다 하여 귀신에게 고마운 뜻을 전하려고 하는 굿.


되풀이진굿

(1)풍물놀이에서, 도래진 대형에서 상쇠를 앞세워 도로 풀어 나오는 놀이.


띠배굿

(1)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서 전해 오는 굿. 정월 초사흗날 바닷가 당집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비는 제사를 지내고, 띠로 만든 배에 허수아비를 실어 보내 묵은해의 불행한 운수를 씻어 낸다.


"굿" 끝 단어: 10쪽

굿

시작 단어 더보기

굿

(1)여러 사람이 모여 떠들썩하거나 신명 나는 구경거리. (2)무속의 종교 제의. 무당이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를 하고 춤을 추며 귀신에게 인간의 길흉화복을 조절하여 달라고 비는 의식이다. (3)땅이 움푹하게 파인 곳. (4)뫼를 쓸 때에, 널이 들어갈 만큼 알맞게 파서 다듬은 속 구덩이. (5)광산에서, 무너지지 아니하도록 손을 보아 놓은 구덩이. (6…


굿갈리다

(1)작물을 잘 자라게 하기 위해서 이미 자라고 있는 작물의 고랑을 다시 갈아서 이랑에 흙을 덮다


굿감독

(1)굿단속하는 일을 맡은 사람.


굿거

(1)‘귀신’의 방언


굿거리

(1)무당이 굿할 때에 치는 9박자의 장단. (2)풍물놀이에 쓰이는 느린 4박자의 장단. 일반적인 굿거리장단과 남도 굿거리장단이 있으며, 보통 행진곡과 춤의 반주에 쓴다. ⇒규범 표기는 ‘굿거리장단’이다.


굿거리가락

(1)승무(僧舞)의 춤사위 가운데 하나. 자진 타령 가락에서 북을 친 다음, 춤판의 정면으로 나와 춤을 춘다. 어깨춤으로 시작하여 북을 칠 준비를 하고 장삼에서 손을 빼어 북채를 쥐고 북 앞에서 어르는 동작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