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 낙상 만강 윤제 브롬크레졸자 번주 일 마간 정재 일륜 채지 강두 유록화 정인 백강 적강 안래 진분 전덕 백백홍 왜주 박종 여운 만자천 이덕 노극 흑강 진주

나는 단어

동천홍

(1)한국의 극작가인 오영진의 희곡. 갑신정변 때의 삼일천하를 극화한 작품이다.


퇴홍

(1)바래서 엷은 붉은색. (2)붉은 칠을 두껍게 바르고 그 위에 무늬를 새기는 일.


농홍

(1)‘농홍하다’의 어근.


낙상홍

(1)감탕나뭇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톱니가 있다. 초여름에 엷은 자주색 꽃이 네다섯 송이 피고 열매는 작고 둥글다.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한다.


서홍

(1)조생종 사과의 하나. 아오모리에서 생산되는 사과에 추광을 교배하여 만든 사과 품종이다. 열매는 원형이고 껍질은 선홍색이다. 8월 하순경에 수확한다.


"홍" 끝 단어: 1쪽

만강홍

(1)물개구리밥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비늘 모양으로 겹쳐 있고, 표면은 붉은색이 돌며, 뒷면 잎 사이에 홀씨주머니가 있다. 못이나 논물에서 떠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여홍

(1)예전에, 부녀자들이 하던 길쌈질. ⇒규범 표기는 ‘여공’이다. (2)사과 품종의 하나. 1993년 국립 원예 특작 과학원에서 홍옥에 후지를 교배하여 2007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숙기는 9월 하순으로 홍로와 감홍 사이에 출하가 가능하다. 과실 모양은 원편원형이고 홍색으로 착색된다. 평균 과실 무게는 278그램, 당도는 14.3도이며, 산도는 0.4%…


윤제홍

(1)조선 정조 때의 문신ㆍ화가(1764~?). 자는 경도(景道). 호는 학산(鶴山)ㆍ찬하(餐霞). 벼슬은 대사간에 이르렀으며, 글씨와 그림에 모두 뛰어났는데, 특히 산수화에 능하였다. 작품에 <월하우배적성도(月下牛背笛聲圖)>가 있다.


번주홍

(1)진홍색의 도료.


"홍" 끝 단어: 2쪽

영홍

(1)‘영웅’의 방언 (2)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서진 걸복모말(乞伏暮末) 때의 연호(428~431). 서진의 마지막 연호이다.


이홍

(1)신라의 대신(?~839). 836년 흥덕왕이 죽은 뒤 균정(均貞)을 죽이고 희강왕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고, 희강왕 2년에는 민애왕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뒤에 균정의 아들 우징(祐徵)이 군사를 일으켜 신무왕으로 즉위하자 잡혀 죽었다.


육홍

(1)살코깃빛.


북홍

(1)매우 짙은 붉은색의 물감.


암홍

(1)어두운 붉은색.


"홍" 끝 단어: 3쪽

일홍

(1)‘백일홍’의 옛말.


목홍

(1)차나무를 끓여 우려낸 붉은 물감. (2)차나무를 끓여 우려낸 물과 같이 붉은색. (3)차나무를 끓여 우려낸 물과 같이 붉은빛.


시홍

(1)망막의 간상체의 세포막에 있는 붉은 보라색의 광(光) 감각 색소 단백질.


양홍

(1)중남미 사막의 선인장에 기생하는 곤충인 깍지벌레의 암컷에서 뽑아 정제한 붉은 색소. 색소 성분은 카민산이다.


혈홍

(1)피의 빛깔과 같이 짙고 선명한 빨간색.


"홍" 끝 단어: 4쪽

번홍

(1)‘반홍’의 옛말.


마간홍

(1)말의 간과 같은 붉은색이라는 뜻으로, 짙은 붉은색을 이르는 말.


홍홍

(1)코찡찡이가 말할 때에, 헛김이 섞여 나오는 소리.


형광 분홍

(1)형광빛을 내는 분홍.


제홍

(1)사기에 바르는 선홍색 유약.


"홍" 끝 단어: 5쪽

정재홍

(1)독립운동가(?~1907). 을사조약이 체결된 후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우리나라에 왔을 때에 암살하려다 실패하고 자결하였다.


일륜홍

(1)붉게 떠오르는 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채지홍

(1)조선 후기의 학자(1683~1741). 자는 군범(君範). 호는 봉암(鳳巖)ㆍ삼환재(三患齋)ㆍ봉계(鳳溪)ㆍ사장와(舍藏窩). 강문 팔학사의 한 사람으로, 학문의 실천적 수행에 힘썼으며,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저서에 ≪봉암집≫이 있다.


연홍

(1)연한 붉은색. (2)연한 붉은빛. (3)주둥이의 둘레가 붉은빛으로 칠하여진 도자기.


강두홍

(1)중국 청나라 강희 때에 만든 연한 주홍색의 도자기.


"홍" 끝 단어: 6쪽

말홍

(1)도자기나 잿물 위에 산화 철로 만든 붉은색 물감을 바르는 일. 또는 그 물감.


애홍

(1)슬피 우는 기러기. (2)‘유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탈홍

(1)‘탈항’의 북한어.


유록화홍

(1)초록빛 버들잎과 붉은 꽃이라는 뜻으로, 봄의 자연 경치를 이르는 말.


정인홍

(1)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1535~1623). 자는 덕원(德遠). 호는 내암(萊庵). 임진왜란 때에 합천에서 의병을 모아 활약하여 영남 의병장의 호를 받았다. 대북(大北)의 영수(領袖)로 광해군 즉위 후에 영의정에 올랐다. 저서에 문집 ≪내암집≫이 있다.


"홍" 끝 단어: 7쪽

백강홍

(1)염화 수은 수용액에 암모니아수를 더하여 생긴 백색 침전물을 걸러 건조하여 만든 흰 가루. 연고로 만들어 안염(眼炎), 결막염 따위의 눈병이나 옴 따위의 피부병을 치료하는 데 쓴다.


적강홍

(1)적색 산화 수은과 황색 산화 수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적색 산화 수은은 수은을 공기 속에서 장시간 끓는점 가까운 온도로 가열하여 만들고, 황색 산화 수은은 승홍수 용액에 가성 알칼리를 작용시켜 만든다. 물에 녹기 어렵고, 독성이 있으며, 가열하면 산소와 수은으로 분해된다. 의약품이나 분석 시약으로 쓴다. 화학식은 HgO.


안래홍

(1)비름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80~10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마름모 모양의 달걀 모양 또는 피침 모양이며, 붉은색 또는 누런색의 무늬가 있다. 여러 개가 서로 접근하여 붙는다. 8~9월에 엷은 녹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개과(蓋果)이다.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인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백홍

(1)빛깔이 흰 무지개.


척홍

(1)주칠(朱漆)을 여러 번 되풀이하여 무늬를 나타냄. 또는 그런 기법.


"홍" 끝 단어: 8쪽

진분홍

(1)진한 분홍색. (2)진한 분홍빛.


전덕홍

(1)중국 명나라의 유학자(1496~1574). 자는 홍보(洪甫). 호는 서산(緖山). 왕양명의 수제자로, 벼슬은 형부시중에 이르렀고, 양명학의 보급에 노력하였다. 저서에≪평호기(平濠記)≫, ≪서산회어(緖山會語)≫ 따위가 있다.


백백홍홍

(1)희끗희끗하고 불긋불긋한 모양.


선홍

(1)세상에 널리 선포함. (2)사기에 바르는 선홍색 유약. (3)사과 품종의 하나. 홍로에 추광을 교배하여 선발한 품종이다. 열매는 8월 하순에 익고, 선홍색을 띤다.


진홍

(1)진한 빨강. (2)진하고 빨간 빛.


"홍" 끝 단어: 9쪽

고홍

(1)짝이 없는 한 마리의 기러기.


왜주홍

(1)선명한 빨간 물감.


박종홍

(1)철학자(1903~1976). 호는 열암(洌巖). 이화ㆍ서울ㆍ성균관 대학 교수와 대통령 특별 보좌관을 지냈다. 저서에 ≪일반 논리학≫, ≪인식 논리학≫, ≪한국 철학사≫ 따위가 있다.


여운홍

(1)정치가(1891~1973). 여운형의 동생으로, 상하이(上海) 임시 정부 의정원(議政院) 의원을 지내고, 광복 후에는 입법 의원, 참의원, 2대 민의원 등을 지냈다.


만자천홍

(1)울긋불긋한 여러 가지 꽃의 빛깔. 또는 그런 빛깔의 꽃.


"홍" 끝 단어: 10쪽

시작 단어 더보기

(1)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남양(南陽), 풍산(豊山), 개령(開寧) 등 40여 본이 현존한다. (2)‘헝가리’를 이르는 말. (3)사람의 입술이나 피의 빛깔과 같이 짙고 선명한 색. (4)‘부리망’의 방언


홍가

(1)중국 전한 성제 때의 연호(B.C.20~B.C.17). 성제의 네 번째 연호이다.


홍가매다

(1)‘호다’의 방언


홍가슴개미

(1)개밋과의 하나. 일개미의 길이는 0.8~1.2cm이며 검은색에 가슴과 배, 복부 제1 마디 앞쪽의 대부분은 어두운 적색이고 복부 각 마디의 뒤쪽은 갈색이다. 주로 건축물의 목재 속에 무리 지어 사는데 일본에 분포한다.


홍가시나무

(1)장미과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는 7~8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인데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5~6월에 흰 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공 모양의 이과(梨果)로 9월에 붉게 익는다. 잎이 새로 나올 때와 단풍이 들 때에 붉은빛이 돈다. 목재는 기구재, 세공용으로 쓴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홍가신

(1)조선 선조 때의 문신(1541~1615).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 1589년 정여립의 모반 사건 후 파직되었다가 1594년 홍주 목사(洪州牧使)로 부임하여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고 청난공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