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모

관련 속담 7

(1) 꼴같잖은 말은 이도 들쳐 보지 않는다

(2) 베주머니에 의송 들었다

(3) 빈 외양간에 소 들어간다

(4) 기생의 자릿저고리

(5) 초가집 대교가 없고 물 건너 대교가 없고 얽은 대교가 없다

(6) 외모는 거울로 보고 마음은 술로 본다

(7) 정들면 미운 사람도 고와 보인다

3

2

1

말을 살 때 겉모양이 제대로 생기지 아니한 말은 나이를 세려고 이를 들쳐 보지도 아니한다는 뜻으로, 외모와 언동이 점잖지 못한 사람은 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외모 관련 속담 7개 중 1번째

보기에는 허름한 베주머니에 기밀한 서류가 들었다는 뜻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외모를 보아서는 허름하고 못난 듯하나 실상은 비범한 가치와 훌륭한 재질을 지녔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외모 관련 속담 7개 중 2번째

빈 외양간에 소를 들여다 매면 어떤 빈자리가 적절하게 채워지게 된다는 뜻으로, 일의 형편이나 외모가 좋아져 꼭 짜이게 잘 어울리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외모 관련 속담 7개 중 3번째

기생의 자릿저고리는 기름때가 묻고 분 냄새가 나는 더러워진 것이라는 뜻으로, 외모가 단정하지 못하고 말씨가 간사스러운 사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외모 관련 속담 7개 중 4번째

가난한 집에서 대교 벼슬이 나올 수 없고 물 건너 사는 세력 없는 집에서도 대교가 나올 수 없으며 낯이 얽어 못생긴 사람 가운데서도 대교가 나올 수 없다는 뜻으로, 어떤 자격으로서 돈 많고 세력 있고 외모가 번듯해야 함을 요건으로 내세울 때 이르는 말. 옛날 규장각(奎章閣) 대교 벼슬의 인선이 매우 까다로웠다 하여 나온 말이다.

외모 관련 속담 7개 중 5번째

술이 들어가면 본심을 털어놓고 이야기함을 이르는 말.

외모 관련 속담 7개 중 6번째

사람이 밉게 또는 예쁘게 보이는 것은 외모에 따른 것이 아니라 사귀어 온 정에 의한다는 말.

외모 관련 속담 7개 중 7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