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 다난 다남 다낭 다내 다네 다년 다념 다놈 다뇨 다누 다는 다능 다니 다님 닥날 닥낭 단나 단내 단년 단념 단녕 단노 단뇌 단누 단뉴 단능 단니 단님 달낯 달뉘 달능 달님 닭날 닭니 담날 담낭 담뇨 답농 당날 당낭 당내 당네 당녀 당년 당녕 당노 당뇨 당능 닻낚 대나 대낚 대난 대남 대납 대낫 대낮 대내 대녀 대년 대념 대노 대놈 대농 대뇌 대뇸 대뉵 대늠 대님 댁내 댁네 댄님 댓닢 댕님 댱니 더냐 더냬 더넘 더녀 더뇨 더늠 더니 덕니 던나 덧낚 덧날 덧널 덧눈 덧니 덩니 데낭 데너 데넘 데늠 데니 데님 덴나 덴난 덴내 덴넨 덴닌 덴님 뎃놈 뎌녁 도난 도남 도내 도너 도넛 도네 도녁 도년 도념 도노 도농 도뇨 도니 도닉 독남 독납 독낭 독내 독널 독녀 독념 독노 독농 독니 돈낭 돈냥 돈녕 돈뇌 돈닢 돌날 돌낫 돌널 돌넘 돌년 돌놈 돌눈 돌눔 돌늣 돌니 돗날 동날 동남 동낭 동내 동냥 동넌 동넝 동네 동녀 동년 동녕 동녘 동농 동뇌 동눅 동능 동니 돼놈 되놈 된내 된님 됫놈 두나 두남 두낫 두낭 두네 두뇌 두뇨 둑논 뒈놈 뒤날 뒤낭 뒤뇌 뒷날 뒷내 뒷널 뒷논 뒷뇌 뒷눈 뒷뉘 듕년 드난 드냐 드니 득난 득남 득녀 들내 들녘 등날 등내 등널 등년 디닉 딜녀 딧날 딧논

ㄷㄴ

초성 단어

ㄷㄴ


다나

(구어체로) 간접 인용절에 쓰여, 인용되는 내용이 못마땅하거나 귀찮거나 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인용문의 주어나 인용 동사는 생략되고 인용절만 남을 때가 많다.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1번째

ㄷㄴ


다난

多難 ‘다난하다’의 어근.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2번째

ㄷㄴ


다남

多男 아들이 많음. 또는 그 아들.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3번째

ㄷㄴ


다낭

Da Nang 베트남 중부, 남중국해의 다낭만 연안에 있는 항구 도시. 프랑스령 시대에는 투란이라 불렀다. 베트남 전쟁 때는 최대의 미군 기지가 있었으며, 우리나라의 청룡 부대가 주둔하였다. 쾅남다낭주의 주도(州都)이다.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4번째

ㄷㄴ


다내

‘편도선염’의 방언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5번째

ㄷㄴ


다네

하게할 자리에 쓰여, 화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객관화하여 청자에게 일러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친근감이나 감탄, 자랑의 뜻을 나타낼 때가 있다.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6번째

ㄷㄴ


다년

多年 여러 해.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7번째

ㄷㄴ


다념

‘대님’의 방언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8번째

ㄷㄴ


다놈

‘되놈’의 방언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9번째

ㄷㄴ


다뇨

多尿 오줌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많음.

초성 "ㄷㄴ" 단어 30+개 중 10번째

초성 단어 더보기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


‘닻’의 방언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닻’의 옛말.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초성 단어 더보기

서양 음악의 7음 체계에서, 일곱 번째 음이름. 계이름 ‘시’와 같다.


‘낙하다’의 어근.


물방아 따위의 사용료로 떠 내던 곡식.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수정 후 발달하여 배(胚)를 형성한다.


곡식의 알.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동안. 자정에서 다음 자정까지의 동안으로 24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