宋襄之仁

송양지인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송나라 양공(襄公)이 초나라를 칠 때, 공자(公子) 목이(目夷)가 적이 포진하…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송나라 양공(襄公)이 초나라를 칠 때, 공자(公子) 목이(目夷)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 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낭패 #사람 #춘추 # #시대

(1) 殺活之權(살활지권):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2) 刎頸之友(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

(3) 風木之悲(풍목지비):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

(4) 七步之才(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

(5) 自身之策(자신지책):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

(1) 取善輔仁(취선보인): 선을 모으고 인을 돕는다는…

(2) 仁者安仁(인자안인): 어진 사람은 천명을 알아 …

(3) 吮疽之仁(연저지인):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

(4) 仁者樂山(인자요산):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

(5) 仁言利博(인언이박):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1) 宋襄之仁(송양지인):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1) 宋襄之仁(송양지인):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1) 風斯在下(풍사재하):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2)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3) 感懷(감회):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

(4) 頭東尾西(두동미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

(5) 殺生有擇(살생유택):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

(1) 年矢每催(연시매최): 화살같이 매양 재촉함.

(2) 望洋之嘆(망양지탄): 망양지탄(望洋之歎).

(3) 梁上塗灰(양상도회): (1)‘양상도회’의 북한어…

(4) 男左女右(남좌여우):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쪽…

(5) 養祖父(양조부): 양자로 간 집의 할아버지.

(1) 仙聖先師(선성선사):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2)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

(3)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4) 筆削褒貶(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

(5) 抱痛西河(포통서하):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

(1) 觸處逢敗(촉처봉패): 가서 닥치는 곳마다 낭패를…

(2) 讀書亡羊(독서망양):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

(3) 狼狽(낭패): (1)‘낭패’의 북한어. …

(4) 怨天尤人(원천우인):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

(5) 宋襄之仁(송양지인):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1) 恕而行之(서이행지):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

(2) 兎死狐悲(토사호비): 토끼가 죽으니 여우가 슬퍼…

(3) 吾鼻三尺(오비삼척):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4) 兩寡分悲(양과분비): (1)‘양과분비’의 북한어…

(5) 乞人憐天(걸인연천):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

(1) 人鬼相半(인귀상반):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

(2) 天方地方(천방지방):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

(3) 殺活之權(살활지권):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4) 魂飛中天(혼비중천):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

(5) 三益友(삼익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

(1) 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

(2) 草木俱朽(초목구후):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

(3) 天下之志(천하지지): 세상 사람들의 생각이나 뜻.

(4) 拔山蓋世(발산개세): 힘은 산을 뽑을 만큼 매우…

(5) 無常遷流(무상천류): 인간 세상이 쉬지 않고 변…

(1) 刎頸之友(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

(2) 實事求是(실사구시):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3) 賜牌之地(사패지지):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4) 多發將吏(다발장리):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

(5)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

(1) 魯陽之戈(노양지과): 노양공(魯陽公)의 창이란 …

(2) 宋襄之仁(송양지인):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1) 刎頸之友(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

(2) 七步之才(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

(3)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4)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

(5) 絃歌不輟(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1) 擧棋不定(거기부정):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

(2) 束手無策(속수무책):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

(3) 空前絶後(공전절후):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

(4) 牛耳讀經(우이독경):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5) 百不一失(백불일실): 백 가운데 하나도 실수하지…

(1) 淳風美俗(순풍미속): 인정이 두텁고 아름다운 풍…

(2) 毒樹毒果(독수독과):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

(3) 破性宗(파성종): ‘가명종’을 달리 이르는 …

(4) 不可抗力(불가항력): (1)사람의 힘으로는 저항…

(5) 無根而固(무근이고): 뿌리는 없으나 굳고 견고하…

(1) 刎頸之友(문경지우):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

(2) 七步之才(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

(3)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4)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

(5) 荊山之玉(형산지옥): (1)중국 형산에서 나는 …

(1)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

(2) 筆削褒貶(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

(3) 萬里長城(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

(4) 華而不實(화이부실):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5) 春秋筆法(춘추필법): ≪춘추≫와 같이 비판적이고…

(1) 梅妻鶴子(매처학자):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

(2) 墨守(묵수):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

(3) 朝三暮四(조삼모사): (1)간사한 꾀로 남을 속…

(4) 朝三(조삼):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

(5) 百川學海(백천학해):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

(1) 北行至楚(북행지초): 북쪽으로 가면서 초(楚)나…

(2) 巫山之雨(무산지우):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

(3) 刺股懸梁(자고현량):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

(4) 雲雨之情(운우지정):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

(5) 墨守(묵수):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