廟堂公論

묘당공론

조정의 군신이 모여 나라의 일을 의논하는 일.

조정의 군신이 모여 나라의 일을 의논하는 일.

# #의논 #나라 #조정 #논의

(1)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2) 大公至平(대공지평): ‘대공지평하다’의 어근.

(3) 公卿大夫(공경대부): 삼공과 구경, 대부를 아울…

(4) 父公(부공):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

(5) 先公後私(선공후사):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

(1) 高堂畵閣(고당화각): 높다랗게 짓고 호화(豪華)…

(2) 堂內至親(당내지친):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3) 下堂伏地(하당복지): 윗사람에 대한 존경의 뜻으…

(4) 下堂迎之(하당영지): 윗사람이나 반가운 사람이 …

(5) 三堂叔母(삼당숙모): 삼당숙의 아내.

(1) 俯仰廊廟(부앙낭묘): 항상(恒常) 낭묘(廊廟)에…

(2) 宗廟社稷(종묘사직):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

(3) 廊廟之志(낭묘지지): 재상이 되어 국정을 맡아보…

(4) 廟堂公論(묘당공론): 조정의 군신이 모여 나라의…

(1) 抗表極論(항표극론): 상소문을 올리고 있는 힘을…

(2) 餘無可論(여무가론):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

(3) 談論風發(담론풍발): 담화(談話)나 의론(議論)…

(4) 堅白論(견백론):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

(5) 當以別論(당이별론): 상례(常例)에 따르지 않고…

(1) 天方地方(천방지방):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

(2) 可與樂成(가여낙성):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

(3)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4) 喜出望外(희출망외):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

(5) 感懷(감회):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

(1) 家無二主(가무이주): 한 집안에 주인(主人)이 …

(2) 三綱五倫(삼강오륜):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

(3) 蜂蟻君臣(봉의군신): 벌과 개미에게도 임금과 신…

(4) 廟堂公論(묘당공론): 조정의 군신이 모여 나라의…

(5) 聚精會神(취정회신): 정신을 가다듬어 한군데에 …

(1)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2) 堂內至親(당내지친):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3) 亡國之恨(망국지한): 나라가 망하여 없어진 것에…

(4) 賜牌之地(사패지지):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5) 嘗膽(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

(1) 餘無可論(여무가론):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

(2) 文質彬彬(문질빈빈):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

(3) 街談(가담): 길거리에 떠도는 말이나 화…

(4) 前事勿論(전사물론): 지난 일에 대하여는 옳고 …

(5) 草茅危言(초모위언): 초야에 묻힌 재야인사가 나…

(1) 與狐謀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

(2) 兩相和賣(양상화매):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3) 與狐謨皮(여호모피): 여우하고 여우의 모피(毛皮…

(4) 餘無可論(여무가론):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

(5) 道不同不相爲謀(도부동불상위모):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道…

(1) 百官有司(백관유사):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

(2) 面折廷爭(면절정쟁): (1)임금의 면전에서 허물…

(3) 三槐(삼괴): ‘삼공’을 달리 이르는 말…

(4) 或出或處(혹출혹처): 혹은 나가고 혹은 머물다는…

(5) 金玉滿堂(금옥만당): (1)금관자나 옥관자를 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