童子如何

동자여하

‘동자가 어찌 알리오!’라는 뜻으로, 동자는 사물의 이치를 모른다고 단정해서 어린 아이 같은 것이 무엇을 아느냐고 마구 꾸짖…

‘동자가 어찌 알리오!’라는 뜻으로, 동자는 사물의 이치를 모른다고 단정해서 어린 아이 같은 것이 무엇을 아느냐고 마구 꾸짖고 나무라는 말.

#사물 #아이 #이치 #무엇 #단정

(1) 何其多也(하기다야): 의외로 많음을 이르는 말.

(2) 無何之症(무하지증):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

(3) 精神一到何事不成(정신일도하사불성):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

(4) 何常師之有(하상사지유): '어찌 일정(一定)한 스승…

(5) 末如之何(말여지하): 아주 엉망이 되어서 어찌할…

(1) 天時不如地利地利不如人和(천시불여지리지리불여인화): 하늘이 주는 좋은 때는 지…

(2) 春山如笑(춘산여소):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

(3) 如眞如夢(여진여몽):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지경…

(4) 知女莫如母(지녀막여모): 딸을 아는 것은 어머니만 …

(5) 如怨如訴(여원여소): 원망하는 것 같기도 하고 …

(1) 是父是子(시부시자):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

(2) 嗟爾小子敬受此(書차이소자경수서): 자, 너희 어린이들아! 공…

(3) 京華子弟(경화자제):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4) 孝子愛日(효자애일): 효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

(5) 醉中無天子(취중무천자): 취중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

(1) 孩提之童(해제지동): 나이가 적은 아이.

(2) 樵童汲婦(초동급부):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3) 鶴髮童顔(학발동안):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

(4) 樵童牧豎(초동목수):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풀밭…

(5) 街童走卒(가동주졸):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

(1) 形端表正(형단표정): 몸 형상(形像)이 단정(端…

(2) 女慕貞烈(여모정렬): 여자(女子)는 정조(貞操)…

(3) 目容必端口容必止(목용필단구용필지): 눈의 모습은 반드시 단정(…

(4) 金玉君子(금옥군자): 몸가짐이 단정하고 점잖으며…

(5) 童子如何(동자여하): ‘동자가 어찌 알리오!’라…

(1) 殺氣膽盛(살기담성): 살기가 있어서 무엇이라도 …

(2) 若烹小鮮(약팽소선):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

(3) 徙家忘妻(사가망처):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4) 晩食當肉(만식당육): 배가 고플 때는 무엇을 먹…

(5) 無物不存(무물부존): 무엇이든지 없는 물건이 없…

(1) 擧棋不定(거기부정):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

(2) 博引旁證(박인방증): 널리 예(例)를 인용하고 …

(3) 圓孔方木(원공방목):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

(4) 薪盡火滅(신진화멸):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

(5) 廓然大公(확연대공):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1) 推燥居濕(추조거습):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

(2) 破甕救兒(파옹구아): 항아리를 깨뜨려 아이를 구…

(3) 黃口乳臭(황구유취):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

(4) 孩提之童(해제지동): 나이가 적은 아이.

(5) 兩小無猜(양소무시): 두 아이가 시기(猜忌)하지…

(1) 自損損他(자손손타): 그릇된 이치를 믿어 자신을…

(2) 善惡不二(선악불이): 선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3) 知者不言(지자불언):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4) 朝聞夕死(조문석사): 아침에 참된 이치를 들어 …

(5) 曖昧模糊(애매모호): 말이나 태도 따위가 희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