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관련 한자어 46

(1) 仙聖先師 (선성선사):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2)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

(3) 絃歌不輟 (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4) 筆削褒貶 (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

(5) 抱痛西河 (포통서하):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

(6) 非禮勿動 (비례물동):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

(7) 而立之年 (이립지년): 홀로 선 나이라는 뜻으로,…

(8) 金聲玉振 (금성옥진): (1)시가(詩歌)나 음악의…

(9) 過猶不及 (과유불급):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

(10+) 모두 46개

3

2

1

仙聖先師


선성선사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번째

溫故知新


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2번째

絃歌不輟


현가불철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3번째

筆削褒貶


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4번째

抱痛西河


포통서하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5번째

非禮勿動


비례물동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6번째

而立之年


이립지년

홀로 선 나이라는 뜻으로, 공자가 말한 30세에 홀로 섰다는 말에서 나이 30세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보통 ‘而立’으로 표현함].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7번째

金聲玉振


금성옥진

(1)시가(詩歌)나 음악의 아름다운 가락. (2)사물을 집대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은 종(鐘), 옥은 경(磬)을 뜻하는 것으로, 팔음(八音)을 합주할 때에 종을 쳐서 시작하고 마지막에 경…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8번째

過猶不及


과유불급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으로, 중용(中庸)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9번째

辭達而已矣


사달이이의

말이 통달할 뿐이라는 뜻으로, 말은 그 뜻이 남에게 전달되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말의 정교함[辭巧]보다는 의미의 전달[辭達]에 역점을 둔 공자(孔子)의 입장. <論語>.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0번째

三十而立


삼십이립

서른 살이 되어 자립을 한다는 뜻으로,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1번째

文質彬彬


문질빈빈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2번째

不惑之年


불혹지년

불혹의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3번째

四十而不惑


사십이불혹

나이 사십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의 도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어 어떠한 일에도 의혹되는 일이 없었다는 공자의 말로, '不惑'은 나이 40세로 사용됨. [ 不惑之年(불혹지년) ].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4번째

泗上弟子


사상제자

공자의 제자.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5번째

必也使無訟


필야사무송

아무쪼록 서로 타협하여 말썽이 없도록 함.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6번째

志學之年


지학지년

학문에 뜻을 둔 나이라는 뜻으로, <논어(論語)>에서 공자(孔子)가 15세 때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연유한 15세를 의미하는 말.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7번째

東家丘


동가구

(1)‘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의 서쪽 이웃에 사는 사람이 공자가 훌륭한 인물임을 모르고 ‘동쪽 이웃인 구(丘)’라고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사람을 알아볼 줄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8번째

庭訓


정훈

가정의 교훈. ≪논어≫의 <계씨편(季氏篇)>에서 공자가 아들 이(鯉)가 뜰을 달려갈 때 불러 세우고 시(詩)와 예(禮)를 배워야 한다고 가르친 데서 유래한다.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19번째

子路負米


자로부미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子路(자로)는 가난하여 매일(每日) 쌀을 등짐으로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運搬)하여 그 운임(運賃)을 받아 양친(兩親)을 봉양(奉養)했다함.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20번째

三戒


삼계

(1)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계. 청년 시절에는 여색을, 장년 시절에는 투쟁을, 노년 시절에는 이욕(利慾)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공자의 교훈이다. (2)부처의 세 가지 계율. 재가계,…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21번째

良藥苦口


양약고구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로움을 이르는 말. ≪공자가어≫의 <육본편(六本篇)>과 ≪설원(說苑)≫의 <정간편(正諫篇)>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22번째

天縱之大聖


천종지대성

하늘이 재능(才能)을 충분(充分)히 발휘(發揮)하게 점지한 성인(聖人)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를 두고 이르는 말.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23번째

韋編三絶


위편삼절

가죽으로 엮은 것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공자가 역경(易經)을 세 번이나 애독하여 죽간(竹簡)을 엮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고사에서 독서에 힘씀을 이르는 말.

공자 관련 한자어 46개 중 24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