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

관련 한자어 29

(1) 學而知之 (학이지지): 삼지(三知)의 하나. 도(…

(2) 轉迷開悟 (전미개오): 어지러운 번뇌에서 벗어나 …

(3) 朝聞夕死 (조문석사): 아침에 참된 이치를 들어 …

(4) 無上正覺 (무상정각):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

(5) 不立文字 (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

(6) 自然悟道 (자연오도):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

(7) 豁然大悟 (활연대오): 마음이 활짝 열리듯이 크게…

(8) 上求菩提 (상구보리):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노력…

(9) 記問之學 (기문지학): 남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10+) 모두 29개

3

2

1

學而知之


학이지지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배워서 깨달음을 이른다.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번째

轉迷開悟


전미개오

어지러운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에 이름.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2번째

朝聞夕死


조문석사

아침에 참된 이치를 들어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한이 될 것이 없다는 말. ≪논어≫의 <이인편(里仁篇)>에 나오는 말이다.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3번째

無上正覺


무상정각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처의 깨달음.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4번째

不立文字


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5번째

自然悟道


자연오도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불도를 깨달음.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6번째

豁然大悟


활연대오

마음이 활짝 열리듯이 크게 깨달음을 얻는 일.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7번째

上求菩提


상구보리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노력하는 일.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8번째

記問之學


기문지학

남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익혀 두는 학문. 참된 깨달음이 없는 학문을 이른다.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9번째

三獸渡河


삼수도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0번째

難解難入


난해난입

이해하기도 어렵고, 깨쳐 그 속에 들어가기도 어려움. 법화경(法華經)의 뜻이 심오함을 이르는 말이다.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1번째

生而知之


생이지지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스스로 깨달음을 이른다.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2번째

何見之晩


하견지만

어찌 보는 바가 늦느냐는 뜻으로, 깨달음이 늦음을 이르는 말. 견(見)은 식견(識見)의 뜻.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3번째

三獸渡水


삼수도수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행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4번째

幡然開悟


번연개오

모르던 일을 갑자기 깨달음.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5번째

下學上達


하학상달

아래를 배워 위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지식을 배워 어려운 이치를 깨달음을 이르는 말.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6번째

生知


생지

도(道)를 스스로 깨달음.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7번째

等覺一轉


등각일전

깊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러 그 길의 한 파(派)를 새로 엶. 등각에서 일전하여 묘각의 자리에 이른다는 마하지관에서 유래한다.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8번째

無上上


무상상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다는 뜻으로, 부처 또는 부처의 깨달음을 이르는 말.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19번째

豁然貫通


활연관통

환하게 통하여 도를 깨달음.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20번째

寂光淨土


적광정토

천태종에서 세운 교의로, 부처가 머무는 진리의 세계 또는 깨달음의 세계를 이르는 말.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21번째

自受法樂


자수법락

부처가 그 광대한 깨달음의 경지에서 일어나는 즐거움을 스스로 누리는 일.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22번째

頓悟漸修


돈오점수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23번째

大道無門


대도무문

큰 깨달음이나 진리에 이르는 데에는 정해진 길이나 방식이 없음.

깨달음 관련 한자어 29개 중 24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