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식

관련 한자어 13

(1) 魚魯不辨 (어로불변): 어(魚) 자와 노(魯) 자…

(2) 目不識丁 (목불식정):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3) 稍解文字 (초해문자): 글자나 겨우 볼 정도로 무…

(4) 判無識 (판무식): 아주 무식함. 또는 그런 …

(5) 街童走卒 (가동주졸):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

(6) 三尺童子 (삼척동자): (1)키가 석 자 정도밖에…

(7) 全無識 (전무식): 아주 무식함. 또는 그런 …

(8) 堂狗三年吠風月 (당구삼년폐풍월): 서당(書堂)개 삼년이면 풍…

(9) 菽麥不辨 (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10+) 모두 13개

3

2

1

魚魯不辨


어로불변

어(魚) 자와 노(魯) 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무식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1번째

目不識丁


목불식정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2번째

稍解文字


초해문자

글자나 겨우 볼 정도로 무식을 면함.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3번째

判無識


판무식

아주 무식함. 또는 그런 사람.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4번째

街童走卒


가동주졸

길거리에서 노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떠돌아다니는 사람들.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5번째

三尺童子


삼척동자

(1)키가 석 자 정도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 철없는 어린아이를 이른다. (2)무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6번째

全無識


전무식

아주 무식함. 또는 그런 사람.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7번째

堂狗三年吠風月


당구삼년폐풍월

서당(書堂)개 삼년이면 풍월(風月)을 읊는다는 우리말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무식(無識)한 사람도 유식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감화(感化)를 받는다는 말.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8번째

菽麥不辨


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9번째

不辨菽麥


불변숙맥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간단한 내용도 알지 못하는 아주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菽麥.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10번째

堂狗風月


당구풍월

서당에서 기르는 개가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그 분야에 대하여 경험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경험과 지식을 가짐을 이르는 말.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11번째

遼東之豕


요동지시

요동의 돼지라는 뜻으로, 요동의 농부가 머리가 흰 돼지를 기이하게 여겨 임금에게 진상하려고 하동(河東)으로 갔더니 그곳의 돼지는 모두 머리가 희어 무안해서 돌아왔다는 고사에서 견문이 좁은 사람이 …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12번째

曳白


예백

지필(紙筆)을 손에 들고서도 시문을 짓지 못함. 중국 당나라의 장석(張奭)이 하루 종일 글을 짓지 못하고 임금 앞에 백지를 내놓은 고사에서 유래한다.

무식 관련 한자어 13개 중 13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