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나라

관련 한자어 12

(1) 七步之才 (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

(2) 七步才 (칠보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

(3) 七步詩 (칠보시):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

(4) 政如魯衛 (정여노위):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

(5) 桑中之喜 (상중지희):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

(6) 煮豆燃萁 (자두연기): 콩을 삶기 위하여 같은 뿌…

(7) 食少事煩 (식소사번): 먹을 것은 적은데 할 일은…

(8) 鄭衛桑間 (정위상간):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

(9) 綈袍戀戀 (제포연연):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

(10+) 모두 12개

3

2

1

七步之才


칠보지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1번째

七步才


칠보재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2번째

七步詩


칠보시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말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3번째

政如魯衛


정여노위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4번째

桑中之喜


상중지희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5번째

煮豆燃萁


자두연기

콩을 삶기 위하여 같은 뿌리에서 자란 콩대를 태운다는 뜻으로, 형제끼리 서로 시기하고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 때 조식(曹植)의 칠보시(七步詩)에서 유래한다.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6번째

食少事煩


식소사번

먹을 것은 적은데 할 일은 많음.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사마의가 제갈량을 두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7번째

鄭衛桑間


정위상간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라와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난세(亂世)의 음(音)이라고 한 데서, 음란한 망국(亡國)의 음악을 이르는 말.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8번째

綈袍戀戀


제포연연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우정이 두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위나라의 수가(須賈)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전에 허물이 없이 그에게 내쫓김을 당한 범저(范雎)가 재상(宰…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9번째

結草報恩


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10번째

鄭衛之音


정위지음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라와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난세(亂世)의 음(音)이라고 한 데서, 음란한 망국(亡國)의 음악을 이르는 말.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11번째

伯仲之勢


백중지세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든 형세. 위나라 문제(文帝)의 ≪전론(典論)≫에서 나온 말이다.

위나라 관련 한자어 12개 중 12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