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칭

관련 한자어 7

(1) 大王大妃 (대왕대비): 살아 있는, 전전 임금의 …

(2) 村學究 (촌학구): (1)시골 글방의 스승. …

(3) 都邑華夏 (도읍화하): 도읍(都邑)은 왕성(王城)…

(4) 梅蘭菊竹 (매난국죽):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5) 碧眼紫髥 (벽안자염): 파란 눈과 검붉은 수염이라…

(6) 寡德之人 (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7) 夷蠻戎狄 (이만융적): 동쪽의 이(夷), 남쪽의 …

3

2

1

大王大妃


대왕대비

살아 있는, 전전 임금의 비(妃). 주로 왕의 할머니를 이르는 말이다.

지칭 관련 한자어 7개 중 1번째

村學究


촌학구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지칭 관련 한자어 7개 중 2번째

都邑華夏


도읍화하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화하(華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지칭 관련 한자어 7개 중 3번째

梅蘭菊竹


매난국죽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2)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매란국죽’이다.

지칭 관련 한자어 7개 중 4번째

碧眼紫髥


벽안자염

파란 눈과 검붉은 수염이라는 뜻으로, 서양 사람의 모습을 이르는 말.

지칭 관련 한자어 7개 중 5번째

寡德之人


과덕지인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지칭 관련 한자어 7개 중 6번째

夷蠻戎狄


이만융적

동쪽의 이(夷), 남쪽의 만(蠻), 서쪽의 융(戎), 북쪽의 적(狄)이라는 뜻으로, 모든 오랑캐를 이르는 말.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생겨난 말로 외국인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지칭 관련 한자어 7개 중 7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