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

관련 한자어 38

(1) 嘗膽 (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

(2) 筆削褒貶 (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

(3) 萬里長城 (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

(4) 華而不實 (화이부실):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5) 春秋筆法 (춘추필법): ≪춘추≫와 같이 비판적이고…

(6) 四書五經 (사서오경): 사서와 오경을 아울러 이르…

(7) 墨守 (묵수):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

(8) 三年不飛又不鳴 (삼년불비우불명): 새가 멀리 날고 크게 울 …

(9) 秦庭之哭 (진정지곡):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

(10+) 모두 38개

3

2

1

嘗膽


상담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번째

筆削褒貶


필삭포폄

쓰고 삭제하고 칭찬하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글에 대해 쓸 곳은 써 넣고 지울 곳은 지우고, 칭찬해야 할 곳은 칭찬하고, 나무랄 곳은 나무라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의 의미처럼 대의명분(大義名分…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2번째

萬里長城


만리장성

(1)중국의 북쪽에 있는 성. 서쪽 간쑤성(甘肅省)의 자위관(嘉峪關)에서 시작하여 동쪽 허베이성(河北省)의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른다. 춘추 전국 시대의 조(趙)ㆍ연(燕) 등이 변경 방위를 위하여…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3번째

華而不實


화이부실

꽃은 화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4번째

春秋筆法


춘추필법

≪춘추≫와 같이 비판적이고 엄정한 필법을 이르는 말. 대의명분을 밝히어 세우는 역사 서술 방법이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5번째

四書五經


사서오경

사서와 오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다섯 경서를 이른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6번째

墨守


묵수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옛날 습관 따위를 굳게 지킴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묵자(墨子)가 성을 잘 지켜 초나라의 공격을 아홉 번이나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7번째

三年不飛又不鳴


삼년불비우불명

새가 멀리 날고 크게 울 날을 기다려 삼 년 동안이나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 뜻을 펼치기 위하여 적절한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사기≫의 <골계열전(滑稽列傳)>과 ≪여씨춘추≫…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8번째

秦庭之哭


진정지곡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초(楚)나라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로 가서 담에 의지하여 이레 동안 곡(哭)을 한 후에 비로소 원군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9번째

董狐之筆


동호지필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을 이르는 말.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동호(董狐)가 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사실대로 직필(直筆)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0번째

拔本塞源


발본색원

좋지 않은 일의 근본 원인이 되는 요소를 완전히 없애 버려서 다시는 그러한 일이 생길 수 없도록 함. ≪춘추좌씨전≫에 나온 말이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1번째

鄭音


정음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에서 유행하였던 음악으로, 음란한 음악을 이르는 말.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2번째

皮裏陽秋


피리양추

피리(皮裏)는 피부(皮膚)의 안을 뜻하고, 양추(陽秋)는 공자(孔子)가 지은 『춘추(春秋)』를 뜻하는 말로, 사람마다 제각기 나름대로의 속셈과 분별력(分別力)이 있음을 이르는 말.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3번째

干將莫耶


간장막야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4번째

掩耳盜鈴


엄이도령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여씨춘추≫ <불구론(不苟論)>의 <자지편(自知篇)>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5번째

來者勿拒


내자물거

오는 사람을 막지 말라는 말. ≪춘추≫ <공양전(公羊傳)>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6번째

斑衣之戱


반의지희

색동저고리의 놀이라는 뜻으로, 춘추시대 노나라의 노래자가 일흔 살이 되어도 색동저고리를 입고 노모 앞에서 어리광을 부려 어머니의 늙음을 잊게 했다는 고사에서 효양(孝養)을 비유.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7번째

鄭衛桑間


정위상간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정나라와 위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악을 난세(亂世)의 음(音)이라고 한 데서, 음란한 망국(亡國)의 음악을 이르는 말.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8번째

吳越同舟


오월동주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서로 적대시하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으나 풍랑…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19번째

一字千金


일자천금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20번째

城下之盟


성하지맹

성 밑까지 쳐들어온 적군과 맺는 맹약이라는 뜻으로, 항복한 나라가 적국과 맺는 굴욕적인 맹약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21번째

燕趙悲歌士


연조비가사

우국지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연나라와 조나라에는 세상을 비관하여 슬픈 노래를 부르는 선비가 많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22번째

會稽之恥


회계지치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23번째

毛遂自薦


모수자천

자기가 자기를 추천함.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조나라 평원군이 초나라에 구원을 청하기 위하여 사신을 물색할 때에 모수가 스스로를 추천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춘추 관련 한자어 38개 중 24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