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한자어 12

(1) 兩豆塞耳 (양두색이):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

(2) 老馬厭太乎 (노마염태호): 늙은 말이 콩 마다 하랴라…

(3) 豆萁之喩 (두기지유): 콩과 콩까지의 비유라는 뜻…

(4) 菽水之供 (숙수지공): 콩과 물로 드리는 공양이라…

(5) 煮豆燃萁 (자두연기): 콩을 삶기 위하여 같은 뿌…

(6) 旱時太出 (한시태출): 가뭄에 콩 나듯 한다라는 …

(7) 種豆得豆 (종두득두):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

(8) 菽麥不辨 (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9) 不辨菽麥 (불변숙맥):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

(10+) 모두 12개

3

2

1

兩豆塞耳


양두색이

두 콩으로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귀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1번째

老馬厭太乎


노마염태호

늙은 말이 콩 마다 하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본능적(本能的)인 욕망(慾望)은 늙는다고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2번째

豆萁之喩


두기지유

콩과 콩까지의 비유라는 뜻으로, 콩까지를 태워 콩을 볶는 것에 비유 들어 형제가 서로 해침을 이르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3번째

菽水之供


숙수지공

콩과 물로 드리는 공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검소한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이르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4번째

煮豆燃萁


자두연기

콩을 삶기 위하여 같은 뿌리에서 자란 콩대를 태운다는 뜻으로, 형제끼리 서로 시기하고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 때 조식(曹植)의 칠보시(七步詩)에서 유래한다.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5번째

旱時太出


한시태출

가뭄에 콩 나듯 한다라는 뜻으로, 일이나 물건이 드문드문 나타난다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6번째

種豆得豆


종두득두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7번째

菽麥不辨


숙맥불변

콩인지 보리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름을 이르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8번째

不辨菽麥


불변숙맥

콩과 보리를 분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간단한 내용도 알지 못하는 아주 어리석고 무식한 사람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준말] 菽麥.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9번째

豆剖瓜分


두부과분

콩이나 오이같이 갈라지고 나뉜다는 뜻으로, 국토(國土)가 쉽게 나뉨을 이르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10번째

如斗小邑


여두소읍

말의 크기와 같은 고을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고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11번째

啜菽飮水


철숙음수

콩을 먹고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집은 가난하여도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극진(極盡)히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콩 관련 한자어 12개 중 12번째